[한마당] 인류와 빈대의 전쟁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날 빈대는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지만, 원래는 정반대였다고 한다.
곤충학계는 오래전 중동의 어느 동굴에서 박쥐의 피를 빨던 빈대(시멕스 아드융투스)가 인간의 피를 빠는 빈대(시멕스 렉툴라리우스)로 진화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생체 리듬까지 180도 바꿨던 빈대의 적응력은 DDT의 공습 속에서 그에 맞설 변이 유전자를 만들고 있었다.
국내 연구진이 내성 빈대용 살충 성분을 찾아냈다는 소식도 들리는 걸 보면, 인류와 빈대의 오랜 전쟁에서 새 라운드가 시작됐지 싶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빈대는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지만, 원래는 정반대였다고 한다. 곤충학계는 오래전 중동의 어느 동굴에서 박쥐의 피를 빨던 빈대(시멕스 아드융투스)가 인간의 피를 빠는 빈대(시멕스 렉툴라리우스)로 진화했다고 보고 있다. 야행성 박쥐가 잠잘 때 피를 빠느라 낮에 활동하던 놈들이, 어느 순간 그 동굴을 거처로 삼았을 원시인류의 피 맛을 보면서 인간이 잠자는 밤에 피를 찾아다니게 됐다는 것이다. 박쥐에서 인간으로 숙주를 바꾼 건 탁월한 선택이었다. 집단 거주의 도시 문명은 빈대에게 마르지 않는 혈액 공급원이 됐고, 인류의 여정을 따라 세계로 퍼져 나갔다.
이 성가신 동반자를 떨쳐내려고 유황 훈증법부터 수은 스프레이까지 온갖 독한 방법을 동원했지만 번번이 패하던 인류는 2차 대전 무렵 마침내 승기를 잡았다. 전쟁은 역시 혁신의 보고였다. 전투보다 전염병에 더 많이 희생되던 병사들을 지키려고 개발한 아주 독한 살충제 DDT가 제대로 먹혀들었다. 살포한 자리에 길게는 1년까지 잔유물이 남는 DDT의 특성은 빈대가 발붙일 곳을 남겨두지 않았고, 전후(戰後) 태어난 베이비부머는 빈대의 생김새를 모르는 첫 세대가 됐다.
하지만 생체 리듬까지 180도 바꿨던 빈대의 적응력은 DDT의 공습 속에서 그에 맞설 변이 유전자를 만들고 있었다. DDT는 생체막의 미세한 이온통로로 침투해 빈대의 신경계를 파괴하는데, 이 구멍을 닫아 살충제를 차단토록 진화한 놈들이 등장했다. 빈대계의 ‘전후세대’격인 살충제 내성 빈대는 종전 반세기 만인 1996년 뉴욕에 출몰하더니, 2000년대 미국 전역으로, 2010년대 유럽 각지로 퍼졌고, 이제 아시아 끄트머리의 한국까지 왔다.
정부가 빈대 방역에 나섰다. 국내 연구진이 내성 빈대용 살충 성분을 찾아냈다는 소식도 들리는 걸 보면, 인류와 빈대의 오랜 전쟁에서 새 라운드가 시작됐지 싶다. 말로만 듣던 낯선 놈들이라 실제 피해보다 공포와 히스테리가 더 큰 듯한데, 당황하지 말자. 코로나바이러스의 숨 가쁜 변이에 비하면 이놈들의 전술은 심플한 편이다.
태원준 논설위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의 직장’ 한전의 몰락… 2026년까지 1200명 자른다
- “400만원 주얼리 예물 못해준 남친과 파혼했습니다”
- 도로 한복판서 난동 부리고 경찰 물어 뜯은 ‘문신남’ [영상]
- “전청조, 범죄자라도 존중했어야”… 카라큘라의 사과?
- 中서 퍼지는 ‘마이코플라즈마’ 어떤 병… 국내도 긴장
- ‘노란불 90㎞/h’ 차에 엄마 택배 돕던 중학생 참변
- “제가 죽을까요? 그래야 끝날까요?” 남현희 심경 토로
- ‘지디 제스처, 마약 이상현상?’…검사 출신 변호사 답변
- “KTX 타고 왔는데 코트에…” 대중교통 빈대 확산 공포
- 신원식, 국회 회의중 ‘주식거래 카톡’ 포착…해명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