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년 전 미국에서 벌어진 의문사, 해소되지 않는 불편함
[안치용 기자]
▲ 영화 <플라워 킬링 문> 스틸 이미지 |
ⓒ 롯데엔터테인먼트 |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80살이 넘은 거장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플라워 킬링 문>을 보고 가장 먼저 떠올린 단어는 '서발턴(subaltern)'이었다. 안토니오 그람시가 만들고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가인 가야트리 스피박을 통해 널리 퍼진 '서발턴'이란 용어는 간단히는 '하층민'이란 뜻이지만 보통 더 큰 함의를 갖는다. 하층민인 서발턴은 지배 계급에 종속된 존재지만, 민중이나 프롤레타리아트와 달리 어떤 주체적인 저항조차 불가능한 무기력한 무기명의 집단으로 정의된다.
저항에 관한 한 의지와 수단을 상실해 유령처럼 역사의 뒤편으로 밀려났고, 그것에 그치지 않고 핍박하고 학대한 지배 계급으로부터 존재 자체를 부정당한 상태이다. 지배 계급으로부터 언급조차 되지 않을뿐더러 스스로도 말하기를 포기한 역사의 사각에 놓인 집단이다.
꽃을 죽이는 달
지난 10월 19일 OTT 서비스 애플TV+를 통해 공개된 <플라워 킬링 문>은 아메리카 인디언 오세이지족의 영토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 부유해진 오세이족과 그들의 부를 노려 하이에나처럼 몰려든 백인 부랑아들이 혼재한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백인 남자 어니스트 버크하트(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인디언 여자 몰리 카일리(릴리 글래드스톤)의 사랑을 얼개로 이주민인 백인이 행한 아메리카 원주민 침탈의 역사 마지막 장을 그렸다. 가난한 백인 어니스트와 부유한 인디언 몰리 사이의 사랑은 탐욕이 개입하며 배신으로 얼룩지고, 애초에 순수하지 못한 동기에서 출발한 사랑은 예상대로 파탄이 난다.
두 남녀 외에 영화에서 백인 침탈자의 대표 격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윌리엄 헤일이란 악당 역엔 스코세이지와 오랫동안 호흡을 맞춘 로버트 드 니로가 캐스팅됐다.
악당이 있고 선악의 대결이 있으니 서부극이라면 서부극이지만, 보안관 대신 FBI가 나오고 악당 자체도 악의 화신으로 그려지지 않으며 활극 중심의 전개가 아닌 드라마 형식이다. 영화적 문법에 집중하기보다는 미국 땅에서 일어난 비극적 실화를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 스코세이지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그렇다고 다큐멘터리는 아니다. 멀지 않은 과거에 있은, 피해자가 뚜렷한 실제 사건을 극화하느라 자칫 사건의 비극성을 훼손하거나 과장하지 않으려는 게 스코세이지의 생각이었다.
원래 제목 < Killers of The Flower Moon >은 'Flower Moon의 살인자들'이란 뜻으로 'Flower Moon'이 5월을 뜻하니 원제가 의미상 간명하다. 반면 국내 번역 제목인 '플라워 킬링 문'은 조금 난해하다. 'Flower Killing Moon' 자체로도 5월을 의미한다고 하니 원제에서 아주 동떨어진 제목이 아니긴 하다. 다만 시기에 초점을 맞추며 'Killing'을 부각하는 한국어 제목에서 꽃과 달이 각각 무엇을 상징하는지 살짝 고민이 생길 수 있다. 원제는 살인자들(Killers)을 명시함으로써 역사 해석을 분명히 하고 범죄의 주체가 누구인지에 혼동을 주지 않는다. 동시에 영화가 살인자들 중심의 서사일 수밖에 없다는, 서발턴이란 오세이지족의 본질을 시사하기도 한다.
국내 개봉 제목과 관련해 한마디 하자면 시적 뉘앙스란 표피적 자극에 집중하느라 영화 주제의 본령을 외면했다고 지적할 수 있겠다.
▲ 영화 <플라워 킬링 문> 스틸 이미지 |
ⓒ 롯데엔터테인먼트 |
영화는 실화에 근거하였으며, 미국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데이비드 그랜의 2017년 작 <플라워 문: 거대한 부패와 비열한 폭력 그리고 FBI의 탄생>에 바탕하였다. 제목에 이미 가치판단이 들어 있다. 시대 배경은 서부 개척 시대가 저물어 가던 1920년대이다. 사실 서부 개척이란 용어 자체가 원주민의 존재를 부정하는, 1492년을 신대륙 발견의 해로 표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제투성이다.
영화와 책이 다루는 오세이지족은 본래 오하이오와 미시시피 계곡 부근에 살았으나, 서쪽으로 계속 밀려나며 미주리와 캔자스를 지나 결국 1800년대 후반에 이르러 미국 정부가 오클라호마에 지정한 '인디언 준주(Indian Territory)'에 정착한다. 이 오세이지 영토에서 1894년 석유가 발견되며 비극이 일어난다. 석유 발견 이후 채굴권을 갖게 된 오세이지족은 이 땅을 개발업자에게 임대하여 커다란 부를 손에 쥐게 된다. 돈이 넘쳐나다 보니 범죄자와 투기꾼이 꼬였는데, 모두 오세이지족의 부를 약탈하는 데에 혈안이 된 질 나쁜 백인이었고, 심지어 미국 정부마저 약탈을 방조한다. 미국 정부 주도하에 기이하게도 인종차별적인 '후견인 제도(guardianship)'가 도입되면서 백인인 후견인이 오세이지족의 재산을 대신 관리한다는 명목하에 대놓고 도둑질하였다.
영화는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1920년대 초반 이른바 '공포 정치(Reign of Terror)' 시대에 수십 명의 오세이지족이 독살 등의 방법으로 의문사한 사건을 다룬다. 원주민 사망 후에 토지 수익권이 원주민과 결혼한 백인에게 상속되었기에 범인이 누군지는 불문가지였다. 그러나 제대로 수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1923년에 오세이지족의 요청으로 FBI가 창설 이래 거의 최초의 살인사건 수사에 착수함으로써 일부나마 사건의 진상이 밝혀져 후대에 전해져 도서와 영화를 통해서 접할 수 있게 됐다.
당초 계획은 FBI 요원인 토마스 화이트(제시 플레먼스)의 시선을 통해 극을 전개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최종적으로는 몰리와 어니스트라는 다른 이익을 가진 다른 인종인 오세이지족 영토 내의 캐릭터를 통해 스토리를 끌고 가는 것으로 정리됐다. 화자는 중요하다. 외부자의 관찰로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보다 당사자의 경험을 극화하여 관객에게 전달하는 게 이러한 유형의 역사를 극으로 만들 때 긴요하다.
▲ 영화 <플라워 킬링 문> 스틸 이미지 |
ⓒ 롯데엔터테인먼트 |
이 영화에서 핵심은 당연히 사건 자체이다. 영화라는 프리즘을 거치지만 왜곡 없이 가능한 오세이지족이 겪은 고통을 제대로 관객에게 전달해야 한다. 동시에 화자 또한 중요하다. 제작진의 결심대로 비극적 죽음이 소재가 되지만 재밋거리로 전락하지 말아야 한다. 스코세이지 감독의 다음 언급을 보면 그가 이 모든 맥락을 충분히 의식한 듯하다.
"우리가 만든 이것이 오세이지족이 보고, 느끼고, 일종의 제물처럼 받을 수 있는 어떤 것이 되었으면 좋겠다. 물론, 한 편의 영화다. 그렇지만 그들이 겪었던 모든 공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고, 이것을 통해 조금이나마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미에서 이 영화를 그들에게 바치고 싶다." (스코세이지 감독)
그럼에도 불구하고 3시간이 넘는 긴 영화를 보고 나오는 마음 한구석에 해소되지 않고 남은 불편함은 무엇이었을까. 오세이지족이 대상화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해서는 아닌 듯하다. 기꺼이 자신의 대상화를 선택할 수 있는 건 주체화의 첫 걸음이다.
이 영화가 오세이지족의 진짜 이야기인가보다 이 영화에서 진짜로 말하고 있는 이가 오세이지족인가가 나에게는 더 신경이 쓰였다. 어쩌면 그 존재가 이미 유실돼 발화능력을 말하는 게 무의미하기도 하다. 영화 연출이나 제작의 문제라기보다는 유령이 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아메리카 인디언 존재 자체의 문제여서 스코세이지 감독을 탓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글 안치용 영화평론가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르몽드디플로마티크에도 게재되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기가 한국인지 베트남인지"... 순살 아파트는 누가 짓나
- 홍익표 "윤석열 정부 '따로국밥 정권'...말 따로 행동 따로"
- 유병호 체포, 안하나 못하나
- 여권의 또 하나의 총선카드... "주식 공매도 금지"
- KBS가 그렇게 절망적? 시사 프로 떠나는 기자들
- 줄 서서 먹을 만... 날 '다른 존재'로 만들어주는 놀라운 음식
- 오세훈 시장의 10년 꿈이 누군가에겐 지독한 악몽
- "검찰을 대통령 개인 집사인양..." 조목조목 따진 고민정
- "혁신위 응원한다" 국힘 지도부 내 첫 화답... 김기현은 침묵
- '선거연합' 본격 추진 정의당... 이정미 사퇴하고 비대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