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출까요?" 애교까지…돌봄 인력 70만명 모자란 日의 '구세주' [김현예의 톡톡일본]

김현예 2023. 11. 6. 00: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현예 도쿄 특파원

“노래 부를까요? 춤을 같이 춰볼까요?”
휠체어에 앉아있던 어르신(79) 얼굴이 이내 환해진다. 작은 로봇 파루로의 애교에 돌봄시설 거실에 간만에 웃음소리가 퍼지기 시작했다. 마치 반려동물을 쓰다듬듯이 작은 로봇 파루로의 머리를 여신 쓰다듬는 어르신을 지켜보던 직원이 이렇게 말한다. “파루로는 얼굴과 이름을 기억해 어르신들 말벗이 되어주는데, 파루로가 밤에 인사하지 않으면 안 주무시겠다는 어르신도 계세요.”

지난 2일 도쿄 오타구에 있는 어르신 돌봄 시설인 산타페가든 힐스에서 한 어르신이 로봇과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있다. 김현예 도쿄 특파원

지난 2일 오후 도쿄(東京) 오타(大田)구에 있는 어르신 돌봄(介護·요양) 시설인 산타페 가든 힐스. 낮 돌봄 서비스를 받는 노인까지 포함하면 이곳에서 돌봄을 받는 노인들은 약 400여 명. 국내 요양 시설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하나 있다. 바로 로봇이다. 사회복지법인 젠코카이(善光会)가 운영하는 이곳은 일본에서도 손꼽히는 로봇 돌봄 시설. AI(인공지능)와 같은 디지털 기술과 로봇 기술을 접합시켜 노인 돌봄에 적용하는데 이 때문에 최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산업상, 고노 다로(河野太郎) 디지털상이 잇따라 방문할 정도로 일본 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돌봄 일손 부족’ 코앞…로봇으로 눈 돌리는 일본


김영희 디자이너
일본 정부가 이곳을 주목하는 이유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일손 부족 때문이다. 단카이세대(1947~1949년생)로 불리는 일본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2년 뒤면 75세에 접어들면서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급속도로 늘어나지만, 정작 이들을 돌볼 일손이 없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후생노동성 조사에 따르면 고령화로 인해 필요한 돌봄 전문 인력은 2025년엔 32만명, 오는 2040년엔 69만명 부족해질 전망이다. 경제산업성은 돌봄 일손 부족으로 인해 일본 사회가 겪게 될 경제적 손실이 9조엔(약 79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 때문에 일본이 눈을 돌린 건 로봇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돌봄. 첨단 기술을 활용하면 돌봄 직원의 업무 시간이 26.2%가 줄고, 돌봐줄 수 있는 사람 수가 1.3배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돌봄 직원 손엔 스마트폰, 귀엔 골전도 이어폰


지난 2일 도쿄 오타구에 있는 어르신 돌봄시설인 산타페가든 힐스. 이곳엔 말벗이 되어주는 로봇 외에도 보행을 돕거나 목욕, 이동을 돕는 로봇 등이 도입돼 있다. 김현예 도쿄 특파원
돌봄에 기술을 접목해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현실화하고 있는 젠코카이의 산타페가든 힐스. 이곳 직원들의 손엔 스마트폰이, 목엔 골전도 이어폰이 걸려있다. 방에 있는 노인이 응급호출 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폰에 바로 연결돼 방 안을 화면으로 바로 보고 대화도 할 수 있다. 낙상 사고 등 의료진의 필요 여부를 빨리 파악해 대응이 가능하다. 또 각 방에 놓인 침대엔 센서가 깔려있어, 방에 가보지 않고도 노인들의 수면 여부를 알 수 있다. 복부에 붙이는 어른 손가락 두 마디 크기의 작은 센서로 배뇨나 배변 상황 체크도 한다.

이곳 직원 미야시타씨는 “일반적인 요양시설이라면 직접 방에 가봐야 어르신들이 주무시고 있는지 깨어있는지 알 수 있지만 이곳에선 원격으로도 ‘누워는 있지만 수면 상태는 아니다’ 또는 ‘깊은 수면 중이다’를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박수와 호흡수도 데이터화했는데 미야시타씨는 “건강 상태를 포함해 임종이 임박했는지도 알 수 있어 가족들이 마지막 순간을 함께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봇도 이곳에선 돌봄 직원의 일손 부족을 돕고 있다. 화장실이나 양치, 목욕을 위해선 침대에서 노인들을 일으키는 일을 반복해야 하는데, 통상 2명의 직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로봇 허그(Hug)를 도입하고선 직원 한 명이 노인의 이동을 도울 수 있게 됐다. 침대에서 일어나 앉은 상태로 로봇에 기대면 로봇이 노인을 일으켜준다. 이밖에도 걸음 보조 로봇, 누운 상태로 이동해야 할 때 사용하는 로봇을 비롯해 초미세 거품으로 10분 만에 앉은 상태로 노인들의 목욕을 끝내주는 로봇 등 이곳엔 20~30종류 로봇이 도입돼 있다. 젠코카이는 투약과 수면, 식사, 배변 등 모든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로봇 등을 도입하면서 이곳 직원들의 업무 부담도 약 30% 줄었다고 설명했다.


돌봄 로봇 연구하는 젠코카이


미야모토 다카시 젠코카이 이사는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돌봄인력이 부족해지면서 로봇, 디지털 기술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예 특파원
일본 전역에서 8곳의 돌봄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젠코카이는 지난 2017년 종합연구실을 연 데 이어 지난 2020년엔 젠코카이랩을 시작했다. 랩에 소속된 직원은 20명. 돌봄 로봇의 실증부터 개발, ‘스마트 돌봄’을 위한 직원 교육까지 이곳에서 담당하고 있다. 미야모토 다카시(宮本隆史) 젠코카이 이사는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기계와 인간이 '하이브리드' 형태로 일하는 것이 이젠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스마트 돌봄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기존의 돌봄 체계라면 사람이 모든 것을 담당하고 판단하는 구조였지만 이젠 기술의 도움으로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됐단 것이다.

그는 “예컨대 누워있는 어르신이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경우, 돌봄 직원은 눈으로만 정보를 파악할 수밖에 없는데, 기술 활용으로 언제 기저귀를 교체해야 하는지 등의 정보 파악이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의 경우 돌봄 직원이 밤중에도 한 시간에 한 번씩 들여다보는 경우가 있는데 그로 인해 노인들의 수면 방해가 있을 수도 있다”면서 “기술을 사용하면 건강과 안전, 효율까지 담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쿄=김현예 특파원 hyki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