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무실’ 중대재해법… 광주·전남서 24명 사망, 기소 1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근로자가 생명을 잃거나 여러 명이 다친 산업현장의 최고 책임자 과실을 따지는 '중대재해 처벌법'이 겉돌고 있다.
지난해 1월 말부터 중대재해를 막기 위해 본격 시행되고 있으나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법 시행 이후 22개월 동안 근로자 24명이 사망한 21건의 중대재해를 대상으로 법적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중대재해로 분류되면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관리과' 근로감독관이 먼저 사건을 수사하고 검찰에 송치해 법원 판결을 받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검찰 송치 5건·기소 1건 불과
“입법 무색·늑장대응 개선해야”
근로자가 생명을 잃거나 여러 명이 다친 산업현장의 최고 책임자 과실을 따지는 ‘중대재해 처벌법’이 겉돌고 있다. 지난해 1월 말부터 중대재해를 막기 위해 본격 시행되고 있으나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법 시행 이후 22개월 동안 근로자 24명이 사망한 21건의 중대재해를 대상으로 법적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검찰에 송치된 건수는 5건에 불과하다. 이중 재판에 넘겨진 것은 고작 1건 뿐이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첫 적용 사례가 된 ‘여천NCC 폭발사고’의 경우 검찰에서 10개월째 잠자고 있다. 해당 회사 대표는 사고 발생 1년여 만인 올해 초 광주지검 순천지청에 송치됐으나 아직 기소조차 되지 않았다. 지난해 4월 광양 세풍산단 내 현대스틸산업 율촌공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도 마찬가지다.
중대재해로 분류되면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관리과’ 근로감독관이 먼저 사건을 수사하고 검찰에 송치해 법원 판결을 받는다. 하지만 초동수사에 비전문가가 투입되는 탓에 원청업체 책임자 등의 과실을 규명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고용노동부와 검찰, 법원에서 사건처리를 더디게 하거나 미루면서 ‘무늬만’ 중대재해 처벌법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내년 1월 말로 예정된 50인 미만 사업장 확대 적용을 유예한다는 방침이어서 노동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노총 광주지역본부 관계자는 2일 “법 시행 이후에도 큰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입법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며 “법 제정 취지에 역행하는 사법당국의 늑장 대응도 서둘러 개선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폭행 계부, 영장 3번 반려”… 그사이 두 여중생 숨져
- “떡볶이·언더아머 쿠폰 줄게” 코치 성폭력에 남현희 대응
- 이재명 “소상공인 이자빚 3조원 줄여주자” 정부에 제안
- “이선균 간 업소 아가씨 ○○여대생” 가세연 언급 논란
- “거스름돈, 그냥 팁으로 주시지”… 자영업자 글 시끌
- ‘예금금리 100배 올립니다’… 일본서 난리난 은행
- 성폭행 안 했다더니… “JMS, 현금다발 3억원 합의금 제시”
- 네팔 히말라야 트레킹 20대 한국인 “샤워하다 숨져”
- “예쁜 선생은 민원 없다” 교장 갑질 의혹, 신임 교사 폭로
- “I am 충주예요” “I AM 엄청조”… 전청조 밈에 엇갈리는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