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만원 콘서트 아깝지 않다" 아이돌 밀어낸 임영웅 뒤 그들

이우림 2023. 11. 1. 18: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6박7일 일정으로 김호중의 ‘크루즈 콘서트(선상의 아리아)’에 다녀온 김씨가 받은 경품이다. USB에는 김호중의 공연 영상이 들어있다. [김씨 제공]

대구 달서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52)씨는 3년 전부터 트로트 가수 김호중의 팬클럽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콘서트가 열리면 빠지지 않고 참석한다는 김씨는 지난 6월엔 김호중의 ‘크루즈 콘서트(선상의 아리아)’에 다녀왔다. 포항에서 출발해 일본 오키나와→미야코지마→대만 기륭 3곳에 하선하고 부산으로 돌아오는 6박 7일간의 일정에 김씨가 지불한 돈은 242만원. 그마저도 티켓 오픈과 동시에 3000여석이 매진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해 어렵게 예매했다고 한다.

음원사이트에서 김호중의 노래를 인기순위에 올리기 위해 열심히 ‘스밍(스트리밍·실시간 재생)’ 활동도 하고 있다는 김씨는 “자녀에게 손 벌리지 않고 ‘내돈내산’하는 취미활동이다. 삶의 활력이 돼 돈이 아깝지 않다”라고 말했다.
김호중 팬클럽 회원인 김씨가 지인들과 공유한 '음원사이트 스트리밍 하는 법' 내용이다. [김씨 제공]


소비 주력층으로 떠오른 '부머쇼퍼'


최근 5060 베이비부머(1955~1974년 출생) 세대들이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주력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부머쇼퍼(베이비부머+쇼퍼)’로 불리는데 정보기술(IT)기기와도 친숙해 그간 젊은 세대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음원 시장이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구독 등 디지털 영역에 파고드는 것에도 주저함이 없다.

1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12~2022 모바일 음악콘텐트 이용 시간의 변화'를 보면 50대의 음원 서비스 이용 시간은 19억8000만분으로, 아이돌 그룹 주 수요층인 10대(10억5000만분)의 2배 수준으로 뛰었다. 2018년만 해도 10대가 10억3000만분으로 50대(7억2000만분)를 앞섰던 것과 대조적이다. 5060이 거대한 팬덤으로 자리 잡으면서 ‘중통령(중년의 대통령)’이라 불리는 가수 임영웅은 새로운 앨범을 낼 때마다 멜론·지니 등 각종 음원 서비스 앱에서 다른 아이돌 가수를 밀어내고 ‘차트 줄 세우기(인기차트에 오르는 것)’를 하는 것은 물론 콘서트도 전석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주말마다 아내와 넷플 드라마 정주행”


신재민 기자
넷플릭스나 유튜브 프리미엄 같은 OTT 시장에서도 5060 점유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 파주의 한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이모(67)씨는 올해 3월부터 넷플릭스 계정을 만들어 매달 약 1만원을 지출하고 있다. 더글로리·마스크걸 등 인기 드라마·영화 시리즈를 섭렵했다는 그는 “힘들게 영화관에 가지 않아도 신작 영화들을 집에서 쉽게 볼 수 있어 편하다. 매주 주말이면 아내와 함께 넷플을 정주행하는 게 루틴이 됐다”며 “더 빨리 계정을 만들지 않은 게 후회된다”라고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50대의 OTT 이용률은 2021년 44.4%에서 지난해 54.4%로 10%포인트 증가했다. 아직 20대(95.9%)나 30대(90.9%)보다는 이용률이 낮지만, 증가세는 전 연령 중 가장 가파르다.

전체 온라인 시장에서의 소비금액도 커지고 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가 2019~2021년 개인회원의 디지털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서 60대 이상의 온라인 업종 결제액이 142% 증가해 전 연령 평균보다 2배 이상 증가세를 보였다. 연구소 측은 코로나19로 오프라인 매장 이용이 어려워지면서 디지털 시장을 이용하는 중장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5060 인구 규모, 청년세대 넘어서…미래 성장동력될까


신재민 기자
이들이 핵심 소비층으로 자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선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중장년층의 인구 규모가 청년세대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연령별 인구 분포를 보면 전체 연령 중 5060의 비율은 2010년 약 22%로 2030(31%)보다 뒤처졌지만 2019년 역전했다. 현재는 5060 비율이 31%로 2030(26%)보다 규모가 더 커졌다.

경제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씀씀이도 크다. 아직 부모에게 용돈을 받는 학생이거나 사회초년생이라 지출할 수 있는 금액이 한정적인 청년 세대와 다르게 중장년층은 자산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다. 온라인장보기몰 마켓컬리의 2021년 자료에 따르면 5060 장보기 평균 사용 금액은 전체 연령 평균 금액보다 13% 더 많다. 30대보다는 8%, 20대보다는 43% 많았다.

특히 과거 산업화세대는 돈을 쓰지 않고 모으는 경향을 보였다면 베이비부머들은 절약하던 습관을 벗어던진 부분도 작용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그동안의 중장년층은 경제적 능력 많지 않았는데 베이비부머는 한국 사회에서 최초로 등장한 ‘능력 있는’ 실버들이라고 보면 된다”라며 “학력도 높고, 경제성장기에 취직해 자본도 있기 때문에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베이비부머들이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김영선 경희대 디지털뉴에이징연구소 소장은 "세계적으로 봐도 이 베이비붐 세대는 65세 이상에서도 높은 소비력을 보인다. 한국도 2028년쯤에는 1차 베이비부머들이 노인 인구로 대거 진입하게 되는데 이들을 겨냥한 시장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