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는 통화가 두렵다… ‘콜 포비아’ 극복하려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MZ세대 10명 중 3명은 전화로 통화할 때 긴장, 불안, 두려움을 느끼는 '콜 포비아'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 포비아는 사회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전화 통화를 하는 데 어려움, 두려움 등을 느끼는 상태를 뜻한다.
콜 포비아를 겪는 MZ세대가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전화를 받기 전 느끼는 높은 긴장감과 불안(64.0%, 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콜 포비아는 사회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전화 통화를 하는 데 어려움, 두려움 등을 느끼는 상태를 뜻한다. 심한 경우 전화가 오기만 해도 심장이 뛰거나 식은땀을 흘리는 등 신체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과 메신저 사용에 익숙해진 사람일수록 이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지난 31일, 구인·구직 전문 플랫폼 ‘알바천국’이 MZ세대 149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35.6%는 콜 포비아 증상을 겪느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동일 조사(29.9%)보다 5.7% 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반면, 응답자 중 70.7%는 가장 선호하는 소통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 앱 등 텍스트 소통’을 꼽았다. 지난해 61.4%보다 훨씬 오른 수치다.
콜 포비아를 겪는 MZ세대가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전화를 받기 전 느끼는 높은 긴장감과 불안(64.0%, 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전화가 오면 시간을 끌거나 받지 않음(51.2%) ▲전화 통화 시 앞으로 할 말이나 했던 말을 크게 걱정(47.8%) ▲전화 통화 시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식은땀이 나는 등 신체 변화(22.0%) 순이었다.
전화 통화가 왜 어려운지 묻는 질문엔 ‘생각을 정리할 틈 없이 바로 대답해야 하는 점(60.0%, 복수 응답)’ 이 가장 많이 꼽혔다. 그 다음으로는 ▲생각한 바를 제대로 말하지 못할 것이 걱정돼서(55.9%) ▲문자, 메시지 등 비대면 소통이 훨씬 익숙해서(51.6%) ▲상대방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것이 걱정돼서(29.5%) ▲할 말이 떨어졌을 때 침묵이 불안해서(24.2%) 순이었다.
응답자 10명 중 9명(90.4%)은 콜포비아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르는 번호의 전화는 받지 않기(39.2%)’를 선택했다. 전화 통화를 최소화하고 이메일, 문자 위주로 소통(28.8%)하거나 전화 통화를 하기 전 미리 대본 작성(28.4%)을 한다는 응답도 많았다.
한편, 콜 포비아는 내향적인 사람이 겪을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런데 외향적인 사람도 예외는 아니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사람들은 본인에 대한 기대가 높다보니 완벽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는데 완벽과 실수에 대한 강박이 있는 경우, 불안의 유형으로 콜 포비아를 겪기도 한다.
콜 포비아가 20·30대에서 주로 나타나는 까닭은 대면보다 비대면이 익숙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이다. 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전화보다는 문자 등 메신저로 주로 소통해왔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메신저 사용 외에도 지나치게 예절을 강조하거나, 실수에 엄격한 반응을 보이는 등 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분위기 또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콜 포비아만으로 정신과 진료를 받을 필요는 없다. 대부분은 다른 사회불안장애로 정신과 진료를 받는 도중 콜 포비아 증상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콜 포비아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습관적으로 전화를 피하기보다 사회적 기술 훈련을 통해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족, 친한 친구 등 편하다고 느끼는 사람과 통화 연습을 하거나 사전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면만큼 ‘통화’도 두렵다… ‘콜 포비아’ 호소하는 젊은이들
- 금쪽 상담소, 김승진 괴롭히는 '전화공포증'이란?
- CJ바이오사이언스, 美 면역항암학회서 ‘약물 반응성 AI 예측 모델’ 개발 성과 발표
- “아기 피부인 줄”… 34세 박보영, 모공 하나 없는 ‘관리 비결’은?
- 가천대 길병원 최성화 교수, 남동구 보건소서 부정맥 건강강좌 개최
- “왜 이렇게 공이 안 맞지?”… 서정희, 유방암 치료 회복 중 ‘어떤 운동’ 도전?
- “이민 간다” 퇴사하더니 영업비밀 빼돌린 前 한국콜마 직원, 결국…
- 이대목동병원, 미세 뇌수술 가능한 '카이메로' 로봇 도입
- 초기 간암, 혈액 검사 진단 가능성 열려
- 고대구로병원 강성훈 교수, ‘향설 젊은 연구자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