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서울 편입론, 野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소각장 때문인가"

위문희 2023. 10. 31. 17: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포시를 비롯한 인접 지역의 서울 편입 가능성에 대해 해당 지역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31일 비교적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지역 의견 수렴이 먼저라는 입장을 취하면서 여론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였다. 총선에 미칠 영향 때문에 찬성이냐, 반대냐를 섣불리 밝히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서울과 맞닿은 경기도 지역구 의원은 이날 본지 통화에서 “졸속으로 처리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그렇게 해서 주민들의 의견이 모아지면 그것을 가지고 방향을 정하는게 맞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예를 들면 아파트값이 올라간다든지 학군이 좋아진다든지 등의 이유로 찬성 의견도 있겠지만, 그래봤자 서울의 26번째 구가 되는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또다른 민주당 의원은 “우리 지역구 일부는 서울보다 집값이 높은 곳도 있어서 다른 지역과 조금 상황이 다를 것”이라면서도 “일단 지역에서 의견을 들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기 동부권의 한 의원은 “우리 지역은 수십년 전부터 서울시에 통합 제의를 했지만 그때마다 서울시는 대꾸도 안했다”며 “이제와서 다시 의견 수렴을 한들 주민들이 편입을 반길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올해 25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운양역에서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의원들 사이에선 서울 인접 지역이라도 도시마다 사정이 달라 결론이 제각각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경기지역 의원은 “김포는 서울시와 집값 차이도 많이 나고, 김포골드라인이 만성적자인데 서울시 재정 투입이 효율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당이 선점한 이슈라고 해서 무조건 반대만 할 수 없는 지역구도 있을 것이란 이야기다. 민주당 의원들의 복잡한 속내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 ☞GTX-C 노선 무단 변경 잡아낸 보좌관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2521#home)
☞국회의 숨은 주역, 보좌진의 프로필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https://www.joongang.co.kr/atoz/63)

당 지도부에 속한 의원들은 김포의 서울 편입과 관련된 국민의힘의 발표가 갑작스럽다면서 절차상의 문제점을 부각했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SBS 라디오에서 “김포시가 됐든 구리시가 됐든 어디가 됐든 서울로 편입을 시키려면 경기도지사의 동의가 당연히 필요하고, 국회에서도 법 제정을 해야 되기 때문에 국회의 찬성이 또 필요하다”고 했다. 장경태(서울 동대문을) 최고위원은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포시의 서울 편입 요구는 경기도나 김포 시민 또 서울 시민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장 최고위원은 “김포시만을 서울시에 편입한다 그러면 여러 도시들에 대해서도 서울 편입을 논의해야 하는 게 아니겠느냐”며 “여러 가지 논의해야 할 절차와 과정이 매우 많다”고 말했다.

7일 서울시청 정문 인근에서 열린 마포구소각장백지화투쟁본부 회원들이 마포소각장 결정고시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에선 특히 "김포 서울 편입론의 배후엔 쓰레기 소각장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의심하는 이들이 꽤 많다. 신규 쓰레기 소각장 문제로 마포구와 갈등을 빚고 있는 서울시로선 김포를 편입할 경우 김포시가 확보한 수도권 제4매립장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때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런 일이 현실화 된다면 마포구 주민들은 반길지 모르겠으나 김포 시민들로선 ‘우리를 받아준다고 서울 시민들이 버리는 쓰레기를 우리 김포에다 묻느냐’는 반발이 생기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