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보다 더 명품' 한자리에 모인 홍성지역 충남도 무형문화재

신영근 2023. 10. 28. 10: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품초대전 홍성문화원에서 28일까지... 고유의 전통 문화유산 알려지길

[신영근 기자]

 충남 홍성을 대표하는 무형문화재 작품이 한자리에 모였다.(사진, 왼쪽부터 최영준 지승제조, 방춘웅 옹기장, 백길자 댕댕이장, 모무회 대장장)
ⓒ 신영근
충남 홍성을 대표하는 무형문화재 작품이 한자리에 모였다. 홍성문화원은 지난 25일부터 홍성에서 활동하며 우리 전통을 지키는 4명의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의 작품을 전시했다.

이번 전시에 초대된 홍성지역 충남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는 제2호 지승제조 최영준, 제38-1호 옹기장 방춘웅, 제31호 댕댕이장 백길자, 제41-2호 대장장 모무회 등 4명이다.

전시장 자료에 따르면 지승제조는 일명 노엮개라고 하며, 한지를 꼬아 가방, 수납함 등의 생활용품을 만드는 것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 조상들의 얼과 애환이 서려 있는 민속 전통 공예다.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2호인 최영준 지승제조장은 시할아버지로부터 20대에 지승공예를 전수받았다. 지난 1986년 시할아버지인 김영복 옹이 작고하면서 35살의 가장 어린 나이로 같은 해 11월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특히, 전시장에는 24살에 만든 지갑이 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최 지승장은 "유명 명품보다 더 우수하고 튼튼하다"면서 직접 손톱으로 긁어보기도 했다. 이같은 지승공예는 현재 며느리와 손녀가 이수하고 있으며, 전시장에는 이들의 작품도 전시되어 있다.

무형문화재 기능협회장을 맡고 있는 최영준 장인은 "전시 작품 관람으로 전통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기를 바란다"면서 "(이를 통해) 생활문화예술에 접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지승제조는 일명 노엮개라고 하며, 한지를 꼬아 가방, 수납함 등의 생활용품을 만드는 것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 조상들의 얼과 애환이 서려 있는 민속 전통 공예다.
ⓒ 신영근
 전시장에는 50년 전에 만든 지갑이 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최 지승제조장은 “유명 명품보다 더 우수하고 튼튼하다”면서 직접 손톱으로 긁어보기도 했다.
ⓒ 신영근
또한, 옹기는 도자기의 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질그릇이나 오지그릇처럼 진흙만으로 반죽해 구운 전통 방식의 그릇을 말한다.
옹기장 방춘웅씨는 지난 2008년 2월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38-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까지 가업으로 갈산면 동성리에서 전통 옹기 제작에 전념하고 있다. 현재, 아들인 방유준씨가 이수하고 있다.
 
 옹기장 방춘웅 씨는 지난 2008년 2월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38-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까지 가업으로 갈산면 동성리에서 전통 옹기 제작에 전념하고 있다.
ⓒ 신영근
댕댕이는 댕댕이덩굴을 이용해 만든 생활 도구로 조선시대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농촌에 널리 사용됐다. 하지만, 현재는 많이 사라져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명백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댕댕이는 선조들의 귀중한 문화유산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며, 옛 조상들의 생활 지혜와 솜씨를 엿볼 수 있다. 지난 2001년 7월 백길자 댕댕이장은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로 지정받았으며, 김성환씨가 전수교육조교로 2017년 충남도로부터 인정서를 받았다.
 
 댕댕이는 댕댕이덩굴을 이용해 만든 생활 도구로 조선시대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농촌에 널리 사용됐다. 하지만, 현재는 많이 사라져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명백을 이어가고 있다.
ⓒ 신영근
 댕댕이는 선조들의 귀중한 문화유산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며, 옛 조상들의 생활 지혜와 솜씨를 엿볼 수 있다.
ⓒ 신영근
홍성 5일 시장 안에서 대를 이어 60여 년 대장간을 지켜온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41-2호 모무회씨는 홍성에 남아 있는 마지막 대장장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아버지에게 대장간 일을 배웠으며, 쇠를 주물러 호미, 낫 등 농기구부터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구들까지 만든다.
2009년 7월 충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아들이 모영서씨가 전수받고 있다.
 
 홍성 5일 시장 안에서 대를 이어 60여 년 대장간을 지켜온 충남도 무형문화재 제41-2호 모무회씨는 홍성에 남아 있는 마지막 대장장이다.
ⓒ 신영근
 모무회 대장간에서는 쇠를 주물러 호미, 낫 등 농기구부터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구들까지 만든다.
ⓒ 신영근
27일 찾은 홍성문화원 전시실에는 이들 4명의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의 작품이 가지런히 전시되어 있었으며, 많은 관람객 장인들의 작품을 감상했다.

그래서일까, 장인들은 관람객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자세히 설명했으며, 기자에게도 무형문화재 제작 방법과 역사 등을 상세히 답해주는 등 자부심과 긍지가 대단했다.

홍성문화원에 따르면, 홍성에는 4명의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외 3명의 예능보유자와 수룡도 당제 제례까지 모두 6개 분야 8명의 장인이 있어, 충남 도내에서 가장 많은 무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무형문화재 작품초대전에 대해 유환동 홍성문화원장은 안내 책자를 통해 "선조들의 숨결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우리 지역 무형문화재 선생님의 소중한 작품"이라면서 "(작품초대전을 통해) 소중한 문화자산이며, 우리 고유의 전통 문화유산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로 전국에 널리 알려지기를 소망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편, 홍성문화원은 지난 2019년부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고 무형문화재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기 위해, 홍성을 비롯해 충남 도내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들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아 전시회를 열고 있다. 이번 작품초대전은 홍성문화원에서 28일까지 열린다.
 
 지승제조는 일명 노엮개라고 하며, 한지를 꼬아 가방, 수납함 등의 생활용품을 만드는 것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 조상들의 얼과 애환이 서려 있는 민속 전통 공예다.
ⓒ 신영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