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도 출산도 ‘뚝’…中 경제 충격 불가피 [생생中國]

2023. 10. 27. 21: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구 보너스’ 사라지나

중국 경제의 눈부신 성장 배경에는 항상 ‘인구 보너스’가 있었다. 막대한 인구에서 나오는 풍부한 노동력과 저렴한 임금이 중국을 세계의 공장으로 키워낸 주요 동력 중 하나였다. 하지만 최근 발표되는 중국의 인구 통계를 보면 중국은 앞으로 ‘14억명의 인구 보너스’를 더 이상 누리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올해 세계 1위 인구 대국 자리를 인도에 넘겨줬다. 유엔 경제사회처에 따르면 지난 7월 인도 인구가 중국 인구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이 인구 감소 시대에 진입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인구는 14억1175만명. 전년 말보다 85만명이 줄었다. 중국 인구 감소는 대약진 운동 과정에서 대기근이 발생한 1961년 이후 61년 만에 처음이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상황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결혼을 하는 젊은이가 줄어들고 출산율도 계속 낮아지는 추세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혼인신고한 부부는 2021년보다 10.6% 줄어든 683만5000쌍이다. 중국 혼인 건수는 2019년 처음으로 ‘1000만쌍’의 벽이 깨져 927만3000건(8.5% 감소)을 기록했다. 이후 2020년 814만3000건(12.2% 감소), 2021년 764만3000건(6.1% 감소)으로 가파른 하락을 이어갔다.

지난해 감소폭인 10.6%는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결혼 인구가 줄고 자녀 출산도 크게 감소하면서 중국은 올해 세계 1위 인구 대국 자리를 인도에 넘겨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中 인구, 대기근 이후 61년 만에 감소

중국에서 결혼식이 줄어드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인구 감소와 맞물려 결혼 적령기 인구 자체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경제난과 취업난으로 결혼을 ‘포기’하는 젊은이가 늘어나서다.

신생아 울음소리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생아 수는 956만명이다. 1949년 신중국 건국 이래 처음으로 1000만명을 밑돌았다. 두 자녀 허용 정책 시행으로 신생아가 급증했던 2016년 1880만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특히 둘째 자녀 출산이 급감했다. 지난해 중국 신생아 956만명 가운데 둘째 자녀 비율은 38.9%로 둘째 자녀를 허용한 2016년 이후 가장 낮았다. 둘째 자녀 비율은 2016년 45%에서 2019년 59.5%로 급증해 정점을 찍은 뒤 2020년 50%로 떨어졌고, 2021년에는 41.4%를 기록했다.

둘째 자녀 출산이 급감한 것은 결혼과 출산 기피 풍조 속에 양육비 부담 때문에 자녀를 낳더라도 한 자녀만 원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 베이징 인구·공공정책 연구기관인 위와인구연구소가 발표한 ‘세계 각국 양육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자녀를 낳아 18세까지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은 48만5000위안(약 9000만원)이었다. 2019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6.9배로, 한국에 이어 2위 수준이며 일본(4.26배)이나 미국(4.11배) 등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

결혼과 출산율이 가파르게 하락하자 중국 당국은 2016년 두 자녀 이상을 둔 가정에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을 도입했고, 2021년 세 자녀 허용으로 제한을 추가 완화했다. 또 지방 정부별로 육아 보조금 등 출산 장려책을 잇달아 내놨다. 하지만 출산율 하락과 인구 감소라는 거대한 흐름을 되돌리기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롄핑 상하이시 경제학회 부회장은 “중국의 인구 역성장과 노령화는 노동 인력 감소, 내수 확대 제한, 재정 압력 등 경제 전반에 충격을 줄 것”이라며 “인구 감소에 따른 충격을 줄일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31호 (2023.10.25~2023.10.31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