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목표 2%가 정답인가…긴 고금리가 부른 ‘골대 이동론’
2%, 한국은행과 미 연방준비제도(Fed)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목표로 삼은 물가상승률이다. 이 수치에 도달하는 시기가 2026년(Fed 전망)으로까지 점쳐지자 목표 자체에 대한 의문부호도 생겨나고 있다. 고금리·고물가 고착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목표에만 매몰됐다간 긴축 부작용만 커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2%라는 ‘인플레이션 목표’ 개념이 등장한 건 1989년 뉴질랜드다. 뉴질랜드가 물가안정(1990년 7.6%→1991년 2.2%)에 성공한 이후 현재 70여 개국이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 중 2%라는 단일 목표치를 가진 나라는 미국과 유로존·영국·노르웨이·스웨덴·일본·한국이다. 인플레이션 목표 범위를 설정하거나(호주 2~3%·이스라엘 1~3% 등) 중심치에서 어느 정도 변동 폭을 허용하는 경우(캐나다·뉴질랜드 2%±1% 등)에서도 ‘2’라는 숫자의 영향력이 드러난다.
그러나 최근 들어 ‘2%가 너무 낮은 건 아니냐’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가계와 기업 부담이 늘어날 뿐 아니라 경기 침체 가능성도 키운다. 애덤 포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소장은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해 경제를 짓누르는 행위를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고비용 구조로 인한 고물가가 ‘뉴노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목표 수정론의 근거로 거론된다.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라 주요 국가는 해외에 진출한 자국 기업의 생산시설을 국내로 돌리는 리쇼어링 정책 등을 확대하고 있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생산공장이 소실되면서 값싼 노동력 활용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이미 미국에선 리쇼어링을 통한 생산 내재화에 따른 비용 상승이 진행됐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한창 물가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목표를 바꿔버리면 기대인플레이션을 자극해 물가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중앙은행의 신뢰성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또 특정 국가가 일방적으로 물가목표를 올리기도 쉽지 않다. 해당국의 통화가치가 절하돼 교역 상대국이 경쟁적으로 평가절하에 나서는 등 환율전쟁을 촉발할 수 있어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2%라는 숫자가 정교한 이론 아래에 등장한 건 아니라고 하더라도 통화정책이 발전하면서 비교적 잘 정착된 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성택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저물가·저금리 기조로부터 시장의 레짐(체제) 자체가 변하는 시점이라 정책을 수선하는 과정이 뒤따를 것”이라면서도 “물가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화된 뒤 내년 잭슨홀 미팅쯤 논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효정 기자 oh.hyoj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해명 의미 없다"는 전청조…고등학생 때 인터뷰엔 '긴 머리' | 중앙일보
- 130㎏ 거구의 고시원 돌연사…3주째 놔둔 ‘대단한 이웃들’ | 중앙일보
- "만져라"는 압구정 박스녀…비키니 라이딩보다 처벌 센 이유 | 중앙일보
- 손목에 강남 아파트 한채 값…탁신·손흥민도 찬 명품 끝판왕 | 중앙일보
- 탁현민이 때린 김건희 여사 '이 장면'...대통령실 "이런게 국격" | 중앙일보
- "한달 190만원 빚갚죠"…고금리인데 청년 '영끌' 되레 늘었다 왜 | 중앙일보
- BTS 팬들도 다녀간다…'연인' 애틋한 작별 담은 그 언덕 [GO 로케] | 중앙일보
- [단독] 尹 "뿌려라"던 '김한길 보고서' 입수…"여야 공동 발의를" | 중앙일보
- 정유라 "내 또래 엘리트 승마선수들, 남현희 예비남편 몰라" | 중앙일보
- 빅뱅 지드래곤 '마약 혐의' 입건됐다…"이선균 사건과 별개"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