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값도 뛴다…인도 수출통제, 아프리카 볶음밥 가격 폭등

권해영 2023. 10. 23. 1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최대 쌀 생산국인 인도가 쌀 수출통제에 나서면서 쌀값이 세계적으로 급등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쌀 수입가격이 치솟은 원인으로는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의 수출금지 조치가 꼽힌다.

인도 정부는 이상기후로 쌀을 포함한 농산물 생산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지난해 곡물 가격만 11.5% 치솟자 쌀 수출 통제에 나섰다.

인도가 쌀 수출을 막으면서 세계 쌀 생산 2위, 3위 국가인 태국과 베트남산(産) 쌀 가격도 치솟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쌀값 1년새 46.3% 급등
인도 수출통제에 서아프리카 직격탄
2008년 글로벌 식량위기 재현 우려

#서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대도시인 라고스의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최근 인기 메뉴인 볶음밥 주문이 뚝 끊겼다. 볶음밥 가격이 미화 5.2달러로, 1년 전보다 무려 3배 가까이 치솟은 영향이 컸다. 나이지리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하루 평균 6달러다. 식당에서 볶음밥 1개를 주문하는데, 하루 수입을 고스란히 써야 하는 실정이다.

글로벌 최대 쌀 생산국인 인도가 쌀 수출통제에 나서면서 쌀값이 세계적으로 급등하고 있다. 일상화된 이상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에그플레이션(agflation·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물가가 오르는 현상)' 우려가 지속되는 양상이다.

23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올해 8월 나이지리아의 주식인 쌀 수입 물가는 1㎏ 기준 전년 동기 대비 46.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지리아의 쌀 수입가격이 치솟은 원인으로는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의 수출금지 조치가 꼽힌다. 인도 정부는 이상기후로 쌀을 포함한 농산물 생산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지난해 곡물 가격만 11.5% 치솟자 쌀 수출 통제에 나섰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표심 이탈을 우려해 쌀 수출을 막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였다.

앞서 인도 정부는 지난 7월 비(非)바스마티 백미 수출을 금지했고, 한 달 뒤인 8월에는 바스마티 쌀을 일정 가격 이하로 수출하지 못하도록 최저 판매 가격을 도입했다. 찐쌀에는 20% 수출 관세도 부과했다. 인도 정부가 지난 18일 네팔,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등 7개국에 비바스마티 백미 수출을 재개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여러 국가에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식량안보 싱크탱크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조셉 글라우버 선임 연구원은 "세계 (쌀) 무역의 40%를 차지하는 국가가 수출의 절반을 통제하고, 나머지 절반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다른 국가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인도가 쌀 수출을 막으면서 세계 쌀 생산 2위, 3위 국가인 태국과 베트남산(産) 쌀 가격도 치솟고 있다. 이들 국가의 쌀값은 인도의 수출금지 조치 이후 각각 14%, 22% 뛰었다.

시장에서는 최근 이 같은 곡물 가격 상승으로 2008년 전 세계를 덮쳤던 식량 위기가 재연되며 최빈국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앞서 베트남이 2007년 6월 쌀 수출을 제한하자 같은 해 10월 인도가, 다음 해인 2008년 4월 파키스탄과 태국이 수출통제에 나서며 쌀 가격이 크게 뛴 바 있다. 당시 쌀 가격은 6개월 만에 3배나 오르며 인플레이션을 크게 자극했다.

특히 인도 쌀 수입 의존도가 높은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타격이 예상된다. 토고는 지난해 쌀 수입량의 88%를 인도에서 들여왔고, 베냉과 세네갈은 인도 쌀 수입 비중이 같은 기간 각각 61%, 47%였다. UN 세계식량계획(WFP)의 아리프 후세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악의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는 국가들은 이미 식량 가격 폭등, 부채 급증, 통화 가치 하락과 같은 수많은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며 "수백만 가구가 주된 상품(쌀)에 대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무역기구(WTO) 등은 인도의 쌀 재고가 충분하다며 수출통제 조치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영국 HSBC 은행의 프레데리 노이만 수석 아시아 이코노미스트는 "쌀 무역에 대한 의존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보호주의도 강화되고 있다"며 "2008년에 본 것과 같은 위험이 반복될 가능성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