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슬 퍼런 군사 독재, 양희은 '아침이슬'이 준 위로

박수진 2023. 10. 22. 15: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명반, 다시 읽기] 양희은의 첫 번째 독집 <고운노래 모음>

장르 및 시대를 아우르는 과거 명반을 현재 시각에서 재해석하며 오늘날 명반이 가지는 의의를 되짚고자 합니다. <편집자말>

[박수진 기자]

무뚝뚝한 표정으로 '그러라 그래'라는 문장을 툭 내뱉는 모습으로 양희은을 떠올리는 젊은이들이 많다. 혹은 후배 뮤지션들이 쓴 곡에 그가 직접 노래를 부르며 협업한 2014년쯤의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그중에서도 '엄마가 딸에게', '나무' 등의 곡들로 그를 기억하는 세대도 분명히 있다.

이 두 가지를 아우르는 핵심은 공감과 위로다. 시대를 산 어른이 던지는 쿨한 위로이자, 인생을 견뎌본 개인이 공유하는 어떤 공통된 정서를 그는 늘 음악으로 담아왔다. 1971년 희대의 명곡 '아침이슬'이 수록된 명반 <고운노래 모음>으로 데뷔했을 때부터 줄곧 뮤지션 양희은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공감'이자 '위로'였다.

1970년대 독재정권 그리고 청년문화의 초상, 김민기와 '아침이슬'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표지.
ⓒ 유니버살레코드사
 
지금을 사는 청춘에게 1990년대 태동한 인디 음악 혹은 인디 문화가 조금 더 입에 달라붙겠지만, 홍대발(發) '인디'가 있기 전에 신촌에 근원지를 둔 언더그라운드 청년 문화가 존재했다. 때는 1970년대. '청바지, 통기타, 생맥주'로 집약되던 그때 그 시절 대학가는 군사 독재의 서슬 퍼런 압력 속 젊음의 일부를 억누른 채 흘러갔다.

이 때 젊음의 해방구 역할을 한 것이 바로 포크 음악이다. 1969년 송창식과 윤형주가 함께 꾸린 그룹 트윈폴리오를 시작으로 김민기, 한대수, 이장희, 어니언스, 조동진, 정태춘과 같은 많은 아티스트들이 우후죽순 쏟아져 나왔다. 줄지어 남자 가수들의 음악이 울려 퍼지던 이 때, 맑고 청아한 목소리로 대중의 귀를 단숨에 사로잡은 양희은이 세상에 나왔다.

양희은의 첫 번째 독집 <고운노래 모음>은 김민기가 쓴 '아침이슬', '그 날'을 비롯해 고은 시에 멜로디를 붙인 '세노야 세노야' 등 단 3곡의 창작곡과 다수의 번안곡을 포함한 작품이다. 외국곡의 가사만 새로 붙여 노래를 부르는 것이 많았던 시절이었던 것을 염두에 둬도 신곡의 수가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앨범은 3차례에 걸쳐 진행된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에 매번 선정되며 역사적 의의를 인정받는다.

'아침이슬'이 가진 힘 덕택이다. 곡을 만든 김민기는 '저항적 의미보다는 그저 아침이슬 이미지로 노래를 만들었을 뿐'이라며 사회 정치적 메시지를 덧대는 것을 거부 했지만 이 노래는 군부독재, 독재정권이란 암울한 시대 속 청년을 연대하게 해준 시대의 송가다. 탁함 없이 맑은 목소리로 힘주어 '나 이제 가노라 저 거친 광야에 / 서러움 모두 버리고 나 이제 가노라'라 외치는 양희은의 가창은 답답한 시대를 잊게 할 순수하고 당찬 아우라가 녹아 있다.

나를 거쳐 '우리'로, 우리를 거쳐 다시 '나'로
 
 가수 양희은(자료사진, 2018.9.13).
ⓒ 연합뉴스
 
'아침이슬'이 1973년 정부에 의해 '고운 노래' 상을 받고 이듬해인 1974년에는 공연윤리위원회(현 영상물등급위원회)로부터 금지곡 판정을 받아 시중에 배포된 앨범이 모두 압수된 일화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곡이 다시 대중을 만날 수 있게 된 것은 1987년의 일이다.

그 사이 양희은은 의도 하지 않았지만 저항 가수의 대표 격으로 올라섰다. '아침이슬'로 사회에 맞서는 청춘의 마음을 달래 줬다면 이후 낸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은 영원히 청춘이고픈 기성세대의 고단함을 씻어줬고, '하얀 목련', '한계령' 등의 히트곡은 양희은을 청춘 넘어 대중 가수로 자리매김하게끔 한 효자 곡이다.

특기할 만한 것은 시대의 순간을 응축한 음악을 하던 그가 어느 순간보다 '나'에 집중한 음악을 들려준다는 데 있다. 양희은 음악인생에서 놓칠 수 없는 1991년 대표작 <그해 겨울>에 수록된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와 같은 싱글, 나아가 2014년 낸 < 2014 양희은 >에서 그가 들려주는 노래는 명명백백 나를 거쳐 사회로 퍼져 나간다.

운동권에서 들리던 '아침이슬'이 이제 누군가의 노래방 18번이 됐고, 또 한 편 이 시대의 '아침이슬'이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로 변모하며 세월이 흐른다. 늘 공감과 위로로 작품을 쓰던 양희은 음악 궤적 안에 시간의 흔적이, 나와 우리가 그리고 한 세대가 녹진하게 놓여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