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 새로 생긴 미술관, 독일 거장 안젤름 키퍼 전시로 주목

이은주 2023. 10. 18. 15: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옛 동양척식주시회사 건물
문화공간 '헤레디움'으로 탄생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 지점 건물 '헤레디움'에서 열리는 안젤름 키퍼 전시.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주여, 때가 왔습니다. 여름은 참으로 위대했습니다/ 해시계 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놓으시고/ 들판에 바람을 풀어주소서/···/이제 집이 없는 사람은 다시는 집을 짓지 않습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가을날')

그 미술관에 간 관람객은 느닷없이 오스트리아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1875~1926)의 시(詩)를 마주하게 된다. 릴케의 시를 알지 못해도 그림을 볼 순 있지만, 시는 관람객을 그의 그림 안으로 더욱 깊이 끌어들인다. 그도 그럴 것이 여기서 선보이는 작품이 모두 릴케의 시에서 영감을 받은 것들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화가는 대형 캔버스 안에 '가을날'에 나오는 구절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라는 문장을 작품에 직접 써넣었다. 독일 현대미술 거장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78) 얘기다.

대전시 인동에 새로 문을 연 미술관 헤레디움(관장 함선재)에서 키퍼의 개인전 '가을(Herbst)'(내년 1월 31일까지)가 지난달 8일부터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키퍼는 국내에 공개된 적 없던 신작을 포함해 총 17점을 선보인다.


캔버스를 채운 가을의 '폐허'


안젤름 키퍼의 '집이 없는 사람들'. 황톳빛 대지에 낙엽과 꽃잎의 형상이 흩어져 있다. [사진 헤레디움]
안젤름 키퍼의 '가을, 라이너 마리아 릴케를 위하여'(2022). 낙엽 지는 가을을 담았지만 생명과 희망을 메시지가 가득해 보인다. [사진 헤레디움]
안젤름 키퍼는 납, 숯 등의 다채로운 재료를 사용한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대전 헤레디움에서 열리고 있는 안젤름 키퍼 개인전 전시 현장.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2층 규모의 전시장에서 열리는 전시는 특유의 무게와 깊이로 보는 사람을 압도한다. 무엇보다 시선을 끄는 것은 가을의 대지로 가득 채운 듯한 대형 캔버스 안 풍경이다. 키퍼는 자신이 느끼는 가을의 심상을 흙과 벽돌, 납으로 만든 나뭇잎 등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해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언뜻 보면 캔버스에 담긴 것은 폐허(廢墟)의 대지 그 자체다. 벌거벗은 들판, 땅으로 떨어지고 있는 낙엽들, 마른 나뭇가지가 표면을 덮고 있다. 그는 나뭇가지와 낙엽을 그릴 뿐만 아니라 아예 캔버스 표면 위에 지푸라기나 나뭇가지를 붙여 놓거나 납 위에 금박을 한 낙엽을 여기저기 붙여 놓았다.

키퍼에게 가을은 어떤 의미일까. 작품은 언뜻 보기에 어둡고 차갑고 거칠어 보이지만 의외로 반전(反轉)의 울림으로 다가온다. 황폐해지는 대지나 폐허가 곧 '죽음'이나 '끝'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게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전시를 기획한 함선재 헤레디움 관장은 "키퍼의 폐허는 끝을 의미하지 않고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며 "키퍼는 가을을 통해 생명의 순환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고 말했다.

화면 속 풍경은 처음엔 어두워 보이지만, 그 안의 빈 나뭇가지와 짙은 갈색과 주황색 낙엽들은 '빛'의 파편으로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키퍼는 한국 전시를 앞두고 촬영한 인터뷰 영상에서 "여기 작품들은 볕이 좋았던 어느 가을날 런던 하이드 공원의 풍경에서 시작됐다. 가을 낙엽을 비추는 빛과 폭발적인 색감에 압도돼 그 풍경을 사진으로 찍고 작업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폐허'에서 자란 아티스트


폐허에서 자란 안젤름 키퍼에겐 '폐허'의 의미가 남다르다. [사진 헤레디움]
키퍼는 독일인이지만 30년 넘게 파리에 살고 있다. 또 파리 루브르 박물관으로부터 조르주 브라크(1882~1963) 이후 최초로 영구 설치 작품을 의뢰받았을 정도로 현대 미술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다. 문화적 기억과 정체성, 역사 등을 주제로 작업하며 문학과 신화, 연금술 등을 작업에 끌어들이고, 캔버스에 모래와 지푸라기, 진흙과 금속, 식물 등을 과감하게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지난해 제59회 베니스 비엔날레 당시 두칼레 궁전에서 열린 그의 특별전은 최고의 화제작으로 거론됐다. 작품의 규모와 표면의 독특한 이미지와 질감 등으로 쇠락과 재탄생이라는 인간의 역사를 장엄하면서도 강렬하게 표현했다는 점에서다.

전문가들은 키퍼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로 그가 '1945년생'이라는 점을 가장 먼저 꼽는다.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도시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작품 전반엔 '벽돌'이라는 오브제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것도 그런 성장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 함 관장은 "키퍼에게 무너진 벽돌은 전쟁의 상처인 동시에 놀이터를 의미한다"며 "모든 게 파괴됐지만, 다시 창조가 시작되는 곳이 곧 폐허"라고 전했다.


대전의 새 문화공간


1922년 지어진 대전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 외관. 리노베이션을 마친 모습이다. [사진 헤레디움]
국내 미술계에선 키퍼의 미술관 전시가 서울이 아닌 대전에서 열린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끈다. 건물은 1922년에 지어진 구(舊) 동양척식주식회사를 복원한 곳. 일제가 토지와 자원을 수탈할 목적으로 설립한 국책 회사가 있던 이 건물엔 100년 된 콘크리트 천장과 창문, 그리고 타일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2004년 문화재로 등록된 이 건물은 해방 이후 여러 차례 소유주가 바뀐 끝에 2020년 대전시의 도시가스 공급업체 씨엔씨티에너지(황인규 회장)가 인수했다. 이어 씨엔씨티마음에너지재단이 복원 작업을 지난해 마무리하고 지난달 복합문화공간으로 정식 개관했다. 이로써 대전엔 시립미술관과 이응노미술관 외에 새로운 전시 공간이 하나 더 늘었다.

함 관장은 "개관 전시를 준비하며 역사와 관련해서도 새로운 시선으로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작가를 찾았다"며 "이 건물의 역사를 작가에게도 들려드렸더니 전시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폐허와 허무에서 피어나는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에서 이번 전시는 이곳의 탄생과도 맞닿는다. 동시대 거장의 작품을 개막 전시로 소개하게 돼 기쁘다"고 덧붙였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ju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