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스트레스에 코로나19 후유증까지 겹친 탓일까. 우리나라 학생 8만명이 적극적인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스트레스 '관심군'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 중 자살 위험군은 2만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16일 공개한 '2023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현황'에 따르면, 올해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받은 초중고생 173만여명 중 4.8%인 8만여명이 '관심군'이고 1.3%인 2만여명은 '자살위험군'으로 조사됐다. 코로나 이후 역대 최대 정신건강 위기학생 비율이다.
'관심군' 비율은 2018년과 2019년은 4.6%, 2020년과 2021년 4.4%로 코로나 때 주춤했다가 2022년 4.6%, 올해 4.8%로 매년 증가 추세다. '자살위험군' 비율도 2021년 1.0%, 2022년 1.1%, 올해 1.3%로 증가 추세다.
지역별로는 관심군 학생 비율이 충남(7.5%)으로 전국 평균보다 1.5배 정도 높았고, 다음으로 충북(5.8%)과 강원(5.8%), 경기(5.7%) 순으로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 4월 검사실시 이후 관심군 학생은 학교상담을 비롯해 Wee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전문기관으로 연계하여 심층평가, 상담, 전문치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고위험 학생들의 치료는 수월하지 않다. 2022년 교육부의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학생과 학부모의 거부 등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적기에 진료·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학생이 전문기관 연계치료를 받지 못한 사유 80%는 학생과 학부모 거부 때문이다.
안민석 의원은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편견으로 인한 학생, 학부모의 거부로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제때 진료와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교육부에서는 정신건강 전문가가 학교를 방문하여 학생과 보호자를 면담하고 전문기관을 방문하여 진료와 치료를 받도록 지원하는 한편, 경제적 어려움이 없도록 진료 치료비도 지원하고 있다"며 "하지만 전문기관 연계에서 보호자의 관심과 동의가 미약해 학교를 통한 지원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안 의원은 "급격한 사회 변화와 입시 중심 경쟁교육 속에서 경계선 지능학생, 학습부진 학생, 심리 정서 불안 학생 등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으로 많은 학생이 불행하고 고통받고 있다"며 "행정 중심의 개별적인 지원 아니라 학생 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통합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실제로 극단적 선택을 한 학생은 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한 초·중·고교생은 총 822명으로, 연평균 16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적 선택을 한 학생은 고등학생이 505명(61.4%)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생이 280명(34.1%), 초등학생 37명(4.5%)이다.
극단적 선택의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족갈등, 부모로부터의 학대 등 가정문제가 248건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 미상 246건, 학업 진로문제 167건, 정신과적 문제 161건, 학교폭력을 포함한 대인관계 문제 134건, 지인 사망, 성폭력 피해, 중독 문제 등 기타 원인 132건 순으로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극단적 선택의 원인은 한 가지 사유보다 가정환경, 정신적 문제, 대인관계 등 복합적인 위험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봤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