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차량·숙소 지원"…빈 일자리 해소 '지역 맞춤'으로
[한국경제TV 전민정 기자]
<앵커>
고용지표가 나아지고 있지만, 뿌리산업과 조선업과 같은 일부 제조업종, 특히 지방 기업들은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채용이 이뤄지면 곧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지만 비어 있는 일자리만 22만개가 넘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지역에서 더욱 심각한 '빈 일자리'를 줄이기 위해 통근 차량과 기숙사 임차비를 지원하는 등 근로환경을 개선해주고 장려금 등 현금 지원도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에서 뿌리기업인 도금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박평재 대표.
서울에 있는 대기업보다 낮은 임금과 다른 업종보다 열악한 근무환경 탓에 일할 사람이 늘 부족해 고민입니다.
고용률이 역대 최고치를 찍는 등 고용지표엔 청신호가 켜졌지만, 한편에선 일손을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겁니다.
[박평재 / 경일금속 대표(한국표면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 : 물가와 최저시급이 오르는데 뿌리산업의 작은 기업들은 단가 인상이 안돼 이익이 안나기 때문에 (대기업과) 임금격차가 커지고 있어요. 급여가 적으니 청년들이 움직이지 않죠.]
현재 비어 있거나 한달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빈일자리 수'는 올해 8월말 기준으로 22만1천개.
1년 전보다 3천개 줄었다지만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많은 수준입니다.
22만명이 취업할 수 있는 일자리가 남아돌고 있다는 건, IT대기업 ·금융권 등 수도권의 특정 업종으로의 인력 쏠림 현상이 심하다는 얘기.
앞서 두 차례에 걸쳐 '업종별' 빈 일자리 대책을 발표했던 정부는 이번엔 지자체와 손잡고 '지역 맞춤형' 처방을 내놓았습니다.
[김준호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수급대책과장 : 지자체가 스스로 빈일자리 문제가 심각한 업종을 선정해 지원방안을 설계하면 정부가 이를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 대응방안을 추진하는 거죠.]
예를 들어, 인구유출로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하고 있는 충북 지역엔 통근차량과 기숙사비를 지원해주고, 경기도엔 소규모 뿌리기업의 작업환경 개선과 함께 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을 늘리는 겁니다.
여기에 우수한 외국인력이 지방에 오래 거주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비자 쿼터(할당량)를 늘리고 나아가 영주권을 주는 방안까지 검토합니다.
하지만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환경 등 구조적인 문제 개선을 위한 대안은 담기지 않아 고질적인 지역의 인력난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노민선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 이번 빈일자리 대책은 수요자 중심으로 일자리 사각지대 해소를 추진한다는 점에선 긍정적이고요. 다만 청년들의 자산형성과 주거지원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전민정 기자 jmj@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