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인데 지하철·버스만 타면 ‘꾸벅’… 왜 그럴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밤엔 잠이 안와도 지하철·버스만 타면 이상하게 졸음이 밀려온다는 사람이 많다.
수면 유형은 잠의 깊이에 따라 얕은 잠인 '렘수면'과 깊은 잠인 '비렘수면'으로 구분되는데, 보통 지하철·버스에서는 조명이 밝고 주변 환경이 시끄러워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렘수면 단계에 머문다.
렘수면 단계에서는 뇌가 잠들지 않고 외부 자극을 계속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잠을 자고 있어도 무의식적으로 평소 소요시간을 추측하거나 안내음 소리에 반사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차에 탔을 때 느껴지는 특유의 ‘진동’과 관련이 있다. 차가 앞으로 나아가면 위아래로 작은 진동이 발생한다. 일본철도기술연구소에 따르면, 지하철의 진동 수는 2Hz 정도다. 1초에 두 번 진동한다는 뜻으로, 이처럼 일정하고 단조로운 진동이 졸음을 유발한다. 아이를 안고 천천히 흔들어주면, 아이가 더 빨리 잠드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뇌는 작은 진동처럼 무해하고 일정한 자극을 느끼면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로 판단하고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 잠에 드는 등 몸이 이완되도록 한다.
지하철·버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점도 영향을 준다. 차량처럼 밀폐된 공간은 외부 환경보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 숨 쉴 때 들이마시는 산소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뇌로 가는 산소량이 줄어들면 몸이 나른해지고 졸음을 느낄 수 있다. 보통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0ppm을 넘으면 졸리기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많은 사람이 함께 차에 타면 이산화탄소 수치가 빠르게 높아져 잠이 더 잘 온다.
멀미 또한 잠을 유발한다. 멀미는 시각, 전정 감각 등에서 뇌로 보낸 신호가 상충할 때 발생하는 증상으로, 뇌는 상충하는 감각 정보를 무시하고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잠을 자려 한다. 실제로 잠을 자면 멀미가 조금 해소되기도 한다.
한편, 버스나 지하철에서 잠들어도 내릴 시간만 되면 눈이 떠지는 이유는 잠의 깊이와 연관돼 있다. 수면 유형은 잠의 깊이에 따라 얕은 잠인 ‘렘수면’과 깊은 잠인 ‘비렘수면’으로 구분되는데, 보통 지하철·버스에서는 조명이 밝고 주변 환경이 시끄러워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렘수면 단계에 머문다. 렘수면 단계에서는 뇌가 잠들지 않고 외부 자극을 계속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잠을 자고 있어도 무의식적으로 평소 소요시간을 추측하거나 안내음 소리에 반사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다만 수면량이 부족하면 깊은 잠에 빠져 이 같은 작업이 이뤄지지 않는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낮에 꾸벅꾸벅 조는 노인… 당뇨병·암 위험 높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꾸벅꾸벅 졸고 있나요?… 겨울에 오는 '동곤증'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낮에 꾸벅꾸벅 조는 사람, 치매 위험↑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CJ바이오사이언스, 美 면역항암학회서 ‘약물 반응성 AI 예측 모델’ 개발 성과 발표
- “아기 피부인 줄”… 34세 박보영, 모공 하나 없는 ‘관리 비결’은?
- 가천대 길병원 최성화 교수, 남동구 보건소서 부정맥 건강강좌 개최
- “왜 이렇게 공이 안 맞지?”… 서정희, 유방암 치료 회복 중 ‘어떤 운동’ 도전?
- “이민 간다” 퇴사하더니 영업비밀 빼돌린 前 한국콜마 직원, 결국…
- 이대목동병원, 미세 뇌수술 가능한 '카이메로' 로봇 도입
- 초기 간암, 혈액 검사 진단 가능성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