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청장 선거 '밋밋한 영상', 248만 대박 터진 이유
[임병도 기자]
▲ MBC뉴스 유튜브 채널의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개표 방송 생중계 모습. |
ⓒ 유튜브 화면 갈무리 |
248만.
이 숫자는 강서구청장 보궐 선거 당시 'MBC뉴스' 유튜브 채널의 실시간 개표 방송 조회수다. KBS와 SBS와 같은 지상파뿐만 아니라 '오마이TV'와 같은 인터넷언론사의 유튜브 채널도 대부분 조회수 100만을 넘겼다.
이번 보궐선거는 기초자치단체장 1명을 선출하는 '초미니 보선'이었다. 그럼에도 수만 수십만의 이용자가 개표 방송을 시청한 건 두 가지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첫째는 정치적으로 관심이 상당히 큰 선거였고, 둘째는 정치 뉴스와 콘텐츠를 이용하는 매체로 유튜브가 완전히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MBC뉴스'는 기존 선거에서는 가상 스튜디오와 CG 등을 이용한 화려한 선거방송을 해왔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는 개표소 모습은 CCTV 촬영 영상처럼 고정했고 하단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하는 후보자별 득표수만 보여줬다. 총선이나 지방선거처럼 전국 단위가 선거가 아니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가상 스튜디오나 현란한 그래픽 혹은 아나운서 및 정치인 패널 등은 없었다. 그러나 조회수는 가히 폭발적이었다.
지상파 방송사의 수익 모델이 된 '유튜브'
▲ MBC뉴스 유튜브 채널의 생중계 콘텐츠. 국정감사는 물론 정당 최고위원회의까지 있다. |
ⓒ 유튜브 화면 갈무리 |
정당은 아침마다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한다. 별다른 사건이 없는 한 지상파 카메라들은 스케치 화면(전체적인 모습이나 분위기를 보여주는 영상)이나 정당 대표 발언 일부만 촬영하고 철수한다. 그러나 이제는 비공개회의로 전환하기 전까지 유튜브로 생중계를 한다. 보도의 문법이 바뀐 셈이다. 상임위원회가 동시 다발적으로 열리는 국정감사의 경우에는 <국회방송>을 자사 유튜브 채널로 송출하기도 한다.
현재 지상파 방송사들은 다양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다. 그중 뉴스 분야만 보면 KBS뉴스 유튜브 구독자는 258만 명, SBS뉴스는 380만 명, MBC뉴스는 381만 명에 이른다. 예능이나 드라마 채널의 구독자가 훨씬 높지만 유튜브 알고리즘 특성상 자사 콘텐츠 시청자를 묶어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뉴스 콘텐츠의 활용도와 가치는 매우 크다.
기존 방송의 경우 편성과 시간의 제약이 있지만 유튜브는 전혀 없다. 'MBC뉴스'의 경우 보통 5시간이 넘는 국정감사나 인사청문회 등을 끝까지 생중계한다. 그래서 항상 '끝까지 Live'라는 타이틀을 붙였고, 지상파 3사 중에서 가장 많은 조회수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들이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를 하고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광고 수익'이다. 방송사별 정확한 수익은 알 수 없지만 지난 2021년 국정감사에 나온 자료를 보면 KBS가 2017년부터 2021년 8월까지 유튜브로 벌어들인 수익은 478억 원이었다.
기존 TV를 통한 시청률은 떨어지는 상황에서 유튜브 채널 조회수와 구독자 증가에 따른 수익은 지상파 방송사들의 큰 수입원이 된 것이다.
정부의 정책브리핑, 유튜브로 볼 수는 없을까
일각에서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유튜브 수익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특히 KBS의 경우는 국정감사 때마다 수신료에 광고까지 붙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 정부 정책브리핑의 국무회의 결과 브리핑 영상 모습. |
ⓒ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
대한민국 정부는 '정책브리핑'이라는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정부의 각종 보도자료와 홍보 관련 뉴스를 모아 놓은 곳이다. 이곳에 가면 브리핑 영상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자체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볼 수 있다.
최근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를 두고 국방부 대변인과 기자들의 설전이 화제가 됐었다. 지상파는 물론이고 인터넷 언론사, 개인 유튜버들은 정책 브리핑에 있는 영상을 편집해 유튜브 채널에 올렸고 많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정책브리핑'의 가장 큰 목적은 정부 정책을 홍보하는 것이다. 앞서 개표방송과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사례처럼 유튜브를 통한 무한 시청자가 있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도, 생중계도 하지 않는다.
국회방송은 국정감사나 인사청문회를 유튜브로 생중계하고 있어 정부 유튜브 채널 중에는 가장 인기가 높다. 왜 정부 브리핑은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를 하지 않는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주권자인 대중의 문법은 이미 바뀌었는데, 정작 중요한 원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는 몇 걸음 뒤쳐진 셈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이 정치 콘텐츠를 유튜브로 송출하는 가장 큰 목적은 '수익'에 있겠지만, 동시에 국민의 알 권리도 충족시킨다. 정부가 언제까지 국민의 알권리를 지상파 방송사에만 맡겨 놓을 것인지 묻고 싶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독립언론 '아이엠피터뉴스'에도 게재됐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서 이 나라보다 4배 더 많은 사람이 죽는 이유
- 3일 버틴 6사단, 허무하게 무너진 1사단... 왜 성찰은 없나
- 하마스는 누구인가, 왜 이스라엘과 싸우나
- TK-60대 급등했지만...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33%
- 50일만에 열린 재판 이재명 불출석... 판사 '다음에 안오면...'
- '에타' 고찰에서 시작된 이야기... "공존 없는 공정은 이기주의"
- 민주 '국정원 수상하다'... 국힘 '선관위 못 믿겠다'
- 한국 최대 '무기 전시회'라는 허울... 당신이 몰랐던 사실
- 5.18진상규명위 "발포·진압 과정서 전두환 주도성·중심성 증언 확보"
- 채용비리·해킹논란에 선관위원장 "진심으로 거듭 송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