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남성 감소에 여성 증가 폭 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여성 취업자가 30만명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고용률은 작년보다 감소했지만, 여성의 고용률 증가 폭이 이를 상쇄하면서 전체 고용시장 상승세를 견인했다.
남성의 고용률이 0.2%p 감소한 올해 1∼8월에도 여성의 고용률은 1.3%p 증가했다.
올해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작년보다 1.4%p,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은 1.5%p 각각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영호 기자]
올해 여성 취업자가 30만명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고용률은 작년보다 감소했지만, 여성의 고용률 증가 폭이 이를 상쇄하면서 전체 고용시장 상승세를 견인했다.
13일 정부 일자리 태스크포스(TF)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1∼8월 여성 취업자는 총 32만4천명 증가했다.
고용률은 53.9%였다. 10년 전인 2013년 48.9%와 비교하면 5.0%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여성의 고용률은 코로나19 시기가 본격화한 2020년 전년보다 0.9%p 감소한 뒤, 2021년과 2022년 각각 0.5%p, 1.7%p 상승했다.
남성의 고용률이 0.2%p 감소한 올해 1∼8월에도 여성의 고용률은 1.3%p 증가했다.
여성 고용은 보건 복지와 숙박 음식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24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이 늘었는데, 특히 30대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최근에는 기혼 여성 및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 증가 추세도 뚜렷해졌다. 올해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작년보다 1.4%p,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은 1.5%p 각각 증가했다.
정부는 최근의 여성 고용률 증가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육아 병행 및 경력 단절 예방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부모 공동육아 인센티브를 높여 여성에 집중된 육아 부담을 완화하고,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기간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경력 단절 가능성이 높은 여성을 대상으로 경력개발 상담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고부가가치 직업 교육훈련 등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부연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