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파산이 무섭게 늘어나는 이유_돈쓸신잡 #119

박지우 2023. 10. 12. 0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대, 30대의 파산 선언이 무섭게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신용회복 채무조정을 신청한 20·30세대는 3만7768명이다. 같은 기간 신용회복 채무 재조정을 신청한 20·30세대는 2만5588명이다. 6만 명 넘는 청년이 빚을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 상태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청년 파산이 늘어난 구조적인 이유부터 짚어보자. 코로나 기간에 시장에 많은 돈이 풀렸다. 그리고 투자 열풍이 불었다. 당장 돈이 없는 청년도 일단 빚을 내서 투자 행렬에 동참했다. 은행들은 비대면 소액 대출 창구를 확 늘렸다. 스마트폰 터치 몇 번만으로도 쉽게 돈을 빌릴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이런 구조적인 흐름 때문에 빚을 낸 청년이 확 늘었다. 이 상황에서 투자에 실패하고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이 늘어나자 결국 못 버티는 청년들이 급증하는 것이다.

이번엔 개인 차원에서 이 문제를 짚어보자. 청년들이 파산하는 이유는 제각각일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빈곤한 경제관념 때문에 파산한 경우엔 사회 탓이라고 보기 어렵다. 소득이 적은 경우엔 일단 그 소득에 자신의 삶을 맞춰야 한다. 그게 싫다면 소득을 올려야 한다. 하지만 경제관념 자체가 부실한 경우엔 일단 지르고 보는 법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선 신용만 살아있다면 후불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신용이 완전히 박살 나기 전까지는 말이다.

20대, 30대에 경제적으로 파산을 하는 것은 남은 수십 년의 삶을 좌우할 수 있다. 한참 돈을 모으고 건강한 방식으로 투자를 해서 씨앗을 뿌려야 할 시기에 신용불량자로 전락해버리면 나머지 삶이 비참해진다. 젊었을 때 다양한 경험은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파산의 맛까지 볼 필요는 없다. 파산하지 않기 위해서 염두 해야 할 것들에 대해 정리해봤다.

「 신용카드 리볼빙은 조심하고 또 조심할 것 」
Unsplash
파산하는 20대, 30대의 시작은 신용카드 리볼빙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꽤 많다. 리볼빙이란 카드 대금 중 일부만 결제하고 나머지 금액은 대출 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이달 카드값이 200만 원 나왔다면 100만 원만 갚고, 나머지 100만 원은 다음 달로 미루는 것이다. 만약 다음 달에 그 100만 원을 다 갚으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보통 이렇게 자신의 경제적 역량을 한참 넘어서 소비를 하는 사람은 다음 달 역시 또다시 200만 원을 지출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식으로 리볼빙을 통한 신용카드 대출금이 쌓이면 걷잡을 수 없을 정도의 빚 폭탄이 된다. 리볼빙 서비스 수수료는 연 20%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수료만의 문제가 아니다. 인간은 관성에 민감하다. 한번 망하는 것이 어렵지, 두 번 망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성공하는 사람은 계속 성공하고, 망하는 사람은 주기적으로 계속 망한다. 신용카드 리볼빙을 사용하면서 빚에 허덕인다는 건 이미 경제관념이 꽤 심각하게 망가져 있다는 증거다. 당장 네이버에서 ‘신용카드 리볼빙’이라고 검색하면 “OO 은행 신용카드로 리볼빙을 한도까지 다 썼는데, 다른 카드로도 또 리볼빙 받을 수 있나요?”라는 묻는 사람이 꽤 많다. 이런 사람들이 결국 파산한다.

「 딱 3개월 만이라도 체크카드만 써보기 」
Unsplash
신용카드는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득이 될 수도 있고 독일 될 수도 있다. 하지만경제 관념이 허술한 사람에겐 신용카드는 밑 빠진 독이다. 당장 본인에게 돈이 없더라도 일단 긁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카드값이 약간 걱정되긴 하지만, 그 비용은 '미래의 나'에게 맡기는 것이다.

만약 과소비를 고치고 싶다면 단 3개월 만이라도 신용카드를 버리고 체크카드만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 달 동안 정해진 예산 내에서 살아보는 것이다. 예산에 나의 생활을 맞추는 것이다. 처음엔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돈을 모으고 자산을 불린 사람들 대다수는 모두 그런 시기를 거쳤다. 그리고 본인의 소득 수준에 맞는 지출을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당장 생활비가 걱정되고, 재정적으로도 불안하지만 그런데도 주말에 골프를 치러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니다.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만 수행해도 파산까지 갈 가능성은 낮아진다.

「 초조함 버리기 」
Unsplash
청년 파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빚투 실패다. 빚까지 내서 투자를 했는데, 처절하게 실패한 것이다. 물론 투자를 위해 빚을 내는 것을 무조건 나쁘게 볼 수는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레버리지를 잘 사용하는 건 분명히 필요한 스킬이다. 기업들 역시 은행에서 돈을 빌려서 투자를 한다.

대출을 받은 후에 실거주 집 1채를 사고, 본인의 소득으로 그 빚에 대한 원리금 상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청년이라면 웬만해선 파산하진 않을 것이다. 비록 본인이 산 집의 집값이 살짝 떨어지더라도 대출을 갚을 능력이 있다면 파산하진 않는다.

하지만 성급하게 빚을 낸 후에 본인이 잘 알지도 못하는 기업의 주식을 사거나 혹은 알트코인에 투자하는 경우엔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망할 수 있다. '빠르게 부자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 때문에 고위험 상품에 몰빵하는 케이스가 많다. 실제로 올해 우리나라 증시를 보면 개인 투자자들은 주로 테마주 투자에 매달렸다.

대한민국 부자들의 특징이 무엇인가? 대부분 50대 이상이다. 20대, 30대 부자도 있지만, 비율로 보면 매우 희소하다. 그렇다면 가능성이 극히 낮은 이 희소한 확률에 투자하는 것이 나을까 아니면 비록 시간은 걸리더라도 확률이 높은 쪽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선택은 자유다. 하지만 빠르게 돈을 버는 방법은 대체로 큰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다. 조금이라도 삐끗하면 이른 나이에 경제적 파산을 한다. 그러면 인생 난이도가 확 올라간다.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