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정세 바로미터, 국제유가마저 하락 이스라엘-하마스 충돌…증시 청량제 역할?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김채은 PD 2023. 10. 11. 08: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채은 PD]
이스라엘-하마스 간 충돌이 발생한 이후 중동정세의 상징인 국제유가마저 하락세로 돌아섰는데요. 이번 충돌이 미 국채금리 급등과 강달러 부담을 누그러뜨리면서 오히려 글로벌 증시에 청량제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시각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어제 이 시간이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간의 충돌에 대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지만 시장 영향력 측면에서는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고 진단해 주셨는데요. 오늘은 유가마저 하락세로 돌아섰죠? - 중동정세의 상징, 국제유가마저 하락세 전환 - 충돌 이후 중동산 두바이유에 미치는 영향 미진 - 오늘, WTI 주도로 3대 유종 '하락세' 전환 -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플레 재발 우려 완화 - 美 장단기 국채금리 하락과 달러 가치 약세 - 국채금리 급등과 강달러 부담, 완화하는 계기 - 美 현지 11일, 차기 하원의장 선출이 변수

Q. 오늘 미 증시를 안정시킨 가장 큰 요인 국제유가까지 이번 사태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로 돌아선 배경도 짚어주시죠. - 이스라엘-하마스 충돌, 5차 중동전쟁 기우 - 50년 전과 달리 親팔레스타인 중동국 없어 - '중재국 역할' 이집트, 팔레스타인 관계 소원 - 사우디아라비아, ‘vision 2030’에 차질 우려 - 실리 추구하는 이란, 美와 관계 개선에 우선 - 국제 원유시장 판도, 50년 전과는 전혀 달라 - 50년 전 원유시장, OPEC 비중 약 70% 달해 - 美 셰일가스 혁명 이후 자급자족 가능한 상황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원유 공급보다 수요

Q. 이스라엘-하마스 간 충돌 이후 미 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였는데요. 다른 나라 증시는 흐름도 짚어주시죠 - 이스라엘-하마스 충돌 이후, 세계 증시 ‘안정’ - 충돌 이후 글로벌 증시, 현재까지 평균 1.5% 상승 - 유럽·아시아 등 지역에 관계없이 모두 상승 - 日 닛케이 지수, 어제 하루만 700p 이상 급등 - 이스라엘-하마스 충돌 이후, 세계 증시 ‘안정’ - 韓 증시, 장중 내내 상승세 속 막판 하락 - 중동정세 영향보다 韓 경제 내부요인에 기인 - 오랜만에 열린 中 증시, 경기침체 우려로 하락

Q.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가 안정을 찾는 데에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주식 투자자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청량제 역할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 연준 인사들 발언, 3가지 포인트 ‘관심’ -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에 연준의 평가는? - 인플레 재발 우려, 얼마나 심각하게 보나? - 연준의 독립성과 중립성, 과연 유지할 수 있나? - 연준 인사들, 이번 주 초부터 줄줄이 발언 - 9일, 제퍼슨·바 연준 부의장, 로건(DL) 총재 - 10일, 윌러 이사, 카시카리(MI)·데일리(SA) 총재 등 - 11일, 보우만 이사, 보스틱(AT) 총재 등 - 제퍼슨·바·로건 모두 매파에서 ‘비둘기파’ 발언

Q. 연준 인사들의 비둘기파 발언은 이스라엘-하미스 충돌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청량제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지난해에도 그러지 않았습니까? - 러시아-우크라 사태 직후, 연준 인사들 발언 ‘주목’ - 러시아-우크라 사태에 대한 연준과 파월의 평가는? - 인플레 정도, 얼마나 심각하게 보나? - 연준의 독립성과 중립성, 과연 유지할 수 있나? - 러시아-우크라 사태 직후, 연준 인사들 발언 ‘주목’ - 파월, 러시아-우크라 사태 스트레스 청량제 역할 ‘환호’ - 작년 3월 FOMC, 0.5%p보다 0.25%p 인상 시사 - "금리 인상과 QT와의 연계, 좀더 지켜보고 결정" - 국제유가 110달러 돌파에도 3대 지수 급등세

Q.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사태에도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던 월가에서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에 크게 환영하고 있지 않습니까? - 연준, 심리적인 요인과 네트워킹 효과 중시 - 중동사태 따른 美 경제와 금융시장 영향 감안 - 이스라엘-하마스 충돌…매파 성향 완화 - 연준, 심리적인 요인과 네트워킹 효과 중시 - 출구전략 추진, 인플레 잡는데 얼마나 효과? - 금리인상과 QT, 수요 견인 인플레 대책 수단 - 중동정세發 인플레, 비용상승 요인 ‘더욱 강해’ - 11월 FOMC, 충돌 이후 금리 동결 확률 높아져

Q. 일부에서 나온 '연준 인사들의 발언을 계기로 당장 금리인하가 어려우면 양적긴축부터 폐지할 것’이라는 시각도 미국 증시를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까? - B/S 축소, 충격이 커서 출구전략 ‘마지막 단계’ - 금리인상, 그린스펀 수수께끼→효과 불확실 - 테이퍼링, 유동성 공급 축소로 긴축효과 확실 - B/S 축소, 시중 유동성 확실하게 줄이는 효과 - 출구전략, 금리인상보다 B/S 축소 이행 ‘관건’ - 긴축 효과, B/S축소가 금리인상보다 약 3배 커 - QT에 따른 B/S 축소, 국채금리 급등의 주요인 - QT 폐지, 금리인상보다 국채금리 진정효과 커

Q. 결론을 맺어 보지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팔레스타인이 갈라파고스 함정에 빠지면서 이스라엘에 병합되는 것이 아니냐는 새로운 시각도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오슬로 협정 위반’ 팔레스타인, 국제사회 고립 - 오슬로 협정, 1993년 라빈와 아라파트 간 합의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두 개의 국가로 인정 -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 팔레스타인 병합? - 네타냐후, 이스라엘 내부문제 이번 사태로 돌파 - 갈라파고스 함정 빠진 팔레스타인, 고사 작전 - 팔레스타인보다 이스라엘 향후 움직임 ‘더욱 주목’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김채은 PD c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