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 이상 췌장암, 수술 포기?…생존율은 비슷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80세 이상 췌장암 환자가 고령의 나이로 인해 수술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연구 기간 내 췌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666명을 80세 미만인 환자(642명)과 80세 이상 환자(24명)로 나누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ASA score)와 심뇌혈관, 심폐질환 등 수술 관련 조건을 토대로 두 집단을 균질하게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예후를 비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췌장암 나이 한계 극복하는 추세
수술 후 합병증, 생존율에 차이 없다
80세 이상 췌장암 환자가 고령의 나이로 인해 수술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간담췌외과 신상현 교수, 정혜정 임상강사 연구팀은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0년간 췌장 두부(머리 부분)에 생긴 암으로 췌십이지장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666명을 분석한 연구논문을 호주의 외과학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췌장암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암인데, 그중에서도 췌장의 머리 부분에 생기는 암을 치료하는 췌십이지장절제술은 외과 수술영역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큰 수술에 해당한다. 췌장과 더불어 십이지장, 담도, 담낭 등을 복합적으로 절제해야 하고, 연결 과정도 복잡하기 때문이다.
수술 이후에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도 최대 40%에 이르고, 수술 중 췌장에서 누출(누공)이 생기거나 혈관이 파열될 경우 생명을 앗아갈 정도로 위험한 수술이다. 이에 따라 의료진의 부담도 매우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수술의 혜택은 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연구에서는 수술 받은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으나, 비수술 환자는 3.5개월로 4배 가량이나 차이가 났다. 그럼에도 췌십이지장절제술은 나이를 이유로 포기하는 환자들이 많다.
2019년 국내 암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을 새로 진단받은 환자 8099명 중 21.3%인 1727명이 80세 이상으로 집계됐다. 그 중 수술을 택한 환자는 일부에 불과했다.
실제로 이번 연구에서도 연구팀이 분석한 췌장암 수술 환자 666명 중 80대 이상인 환자는 3.6%인 24명에 그쳤다. 국가 통계에서 80대 췌장암 환자의 비율(21.3%)을 고려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전체 췌장암 환자의 20~30% 정도가 수술받는다고 알려진 것과 비교해도, 수술을 결심하는 80대가 매우 적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고령에도 수술을 받고 회복하는 환자들을 볼 때마다 나이가 곧 수술의 절대 기준이 될 수 없다는 판단이 들었다"면서 "수술을 포기해야 할 만큼 나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고 이번 연구의 목적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연구 기간 내 췌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666명을 80세 미만인 환자(642명)과 80세 이상 환자(24명)로 나누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ASA score)와 심뇌혈관, 심폐질환 등 수술 관련 조건을 토대로 두 집단을 균질하게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예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사람들의 일반적 인식과 달리 나이가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80대 미만 그룹의 평균 입원 일수는 12.6일로, 80대 이상 그룹의 13.7일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 발병률 또한 나이와 관계 없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전체 생존율 역시 80대 미만 18개월, 80세 이상 16개월로 큰 차이가 없었고, 무진행 생존도 11개월 대 8개월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80대 이상 환자 6명의 경우 수술 후 24개월 이상 장기 생존한 사례도 있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신상현 교수는 "췌장암에서도 건강상의 다른 요인 없이 단순히 나이만으로 수술이 어렵다고 말하는 시대는 지났다"면서 "아직은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기대 여명을 늘릴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환자에게 선택할 권리를 돌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의의를 평가했다.
김준란 기자 loveways12@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수지 입간판만 봐도 눈물 펑펑"…수지 SNS에 댓글 남긴 여성이 공개한 사연 - 아시아경제
- 세계 최대 호수에 떠밀려온 16m 고래사체…수천명 몰려든 이유 - 아시아경제
- 트럼프 손녀 "머스크는 이제 삼촌…한 가족이에요." - 아시아경제
- "저거 사람 아냐?"…망망대해서 19시간 버틴 남성 살린 '이것' - 아시아경제
- "명태균게이트의 핵심은 여론조사?"…박은정 "조작의혹, 합수본에서 수사해야" - 아시아경제
- "문제풀이용 아이패드 사주세요"…등골브레이커 된 ‘태블릿 PC' - 아시아경제
- 대전 학원가 보고 비관론 굳은 황동혁 "현실이 끊임없는 오징어 게임" - 아시아경제
- 후진주차하다 고양이 죽자 남의 집에 버린 비정한 이웃 - 아시아경제
- 알리는 중국 직구만?…"광군제서 韓 제품이 매출 절반 차지"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