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핵항모 이스라엘 보낸 美…北 장사정포 1.6만발 韓 쏜다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촉발된 전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의 지원 수준은 ‘공격당한 동맹’과 어떤 식으로 함께할 것인지 보여주는 가늠자가 될 수 있다. 한국 입장에선 ‘핵 선제 사용’을 법제화한 북한이 대남 선제 타격에 나설 경우 동맹 관계인 미국의 대응법을 유추해 볼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인 셈이다.
미국이 이번 사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북한과 러시아에 잘못된 교훈을 줄 우려도 있다. 미국이 동맹·우방국의 안보 위기 상황에 크게 관여하려 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풍길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조차 무시하며 국제 평화를 깨트려 온 북·러는 향후 보다 공격적이고 대담한 무력 도발을 감행할 소지가 있다.
하마스 ‘로켓’과 北 ‘장사정포’
전쟁 발발의 계기였던 로켓포는 북한군의 주력 무기란 점에서 한국 역시 언제든 이스라엘과 유사한 안보 위협 상황에 놓일 수 있다. 특히 북한 장사정포는 시간당 최대 1만 6000발의 포탄과 로켓탄을 쏘는 등 하마스의 로켓포 성능을 압도한다.
한국은 북한의 장사정포를 요격하기 위한 한국형 아이언돔 LAMD 체계를 개발 중이다. 하지만 2027년에야 전력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는 데다, 이스라엘의 사례처럼 수천~수만발의 로켓포가 동시에 발사됐을 때 이를 100% 요격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결국 자체적인 방어 시스템을 갖추는 동시에 북한이 선제공격을 엄두조차 낼 수 없는 고강도의 억지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9일 최전방 육군 제1보병사단을 찾아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한 이후 “그동안 북한은 우리 정부 집권 2∼3년 차에 대형 도발을 감행해 왔다”며 “북한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다고 느끼도록 해야 도발을 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괴물 핵항모 보낸 美, 한반도 유사시엔
이같은 대응 공식은 한반도 유사시에도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한반도에 핵을 포함한 전략자산을 배치하고 한국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각종 군수·안보 물자를 제공하는 식이다. 실시간으로 북한의 동향을 감시해 한·미 정보 채널을 통해 이를 공유하며 공조하는 맞춤형 대응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미 동맹은 미국·이스라엘 동맹과 달리 한쪽이 공격받으면 다른 한쪽의 군사적 개입이 가능한 상호방위조약을 근거로 맺어진 데다 3만명에 달하는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만큼 한반도 유사시 미국의 직·간접적 개입 강도는 훨씬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수는 점차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무기다. 하마스와 달리 북한은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상당 부분 완성했다. 최근엔 수중 핵 공격이 가능한 전술핵 공격 잠수함을 건조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한·미가 지난 4월 정상회담을 통해 확장억제를 대폭 강화하는 워싱턴선언을 채택한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워싱턴선언에 따른 핵협의그룹(NCG) 역시 최종적인 핵 사용 권한은 전적으로 미국에 있는 만큼 한국의 실질적 참여를 높이고 확장 억제의 신뢰도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실제 차기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등으로 동맹 경시 및 자국우선주의가 다시 득세할 경우 미국의 동맹 방위 공약은 또 흔들릴 수밖에 없다.
‘3개의 전선’ 짊어진 美
한·미 관계 이외에 확장억제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변수는 미국의 안보 부담이다. 한정된 자원 속 대응 과제가 늘어나는 안보 상황은 북핵 대응의 우선순위가 밀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실제 미국은 전통적 안보 불안 요소인 북핵 위협에 더해 지난해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에 최소 768억 달러(약 103조원)의 막대한 지원을 이어왔다. 이에 더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미국은 북한·러시아·하마스로 인해 촉발됐거나 촉발될 가능성이 있는 3개의 전선(戰線)에 대응해야 하는 안보 부담을 짊어지게 됐다.
특히 미국 내에선 이미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다. 미 의회가 지난달 30일 통과시킨 임시예산안에는 240억 달러(약 32조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이 통째로 누락됐다. 이와 관련 미 NBC는 지난 7일 “이스라엘에서 발발한 전쟁이 2024년 바이든 외교정책의 시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진우 기자 dino87@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 방, 배우 사진만 도배됐다…70대 영화광의 쓸쓸한 엔딩 | 중앙일보
- “K팝, 베트남에 밀릴 날 온다” 서울대 교수의 예언 | 중앙일보
- 안 그래도 ‘최순실’ 터졌는데…朴, 왜 논란의 지소미아 집착했나 [박근혜 회고록 3] | 중앙일보
- "택배기사요" 새벽 원룸 초인종 누른 40대, 벽돌 들고 있었다 | 중앙일보
- "끼지마" "미친짓"…이스라엘 지지 글 공유했다 욕먹은 미국 셀럽 | 중앙일보
- 임신·결혼 한꺼번에 알린 그룹 라붐 해인 "19세부터 만난 인연" | 중앙일보
- 지진도 못 느꼈는데 일본 곳곳 쓰나미..."이상한 일 일어나고 있다" | 중앙일보
- "한일전 야구 금메달" 황당 SNS글 올린 서영교, 뭇매 맞고 수정 | 중앙일보
- 86세도 데이팅앱 깔았다…"50세 이상만 가입" 중년들 몰린 곳 | 중앙일보
- 북한도 남침 땐 이 작전 쓴다…이스라엘 허 찌른 '로켓·게릴라전'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