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그만두고 여행하고 맛집 다니며 '억대 연봉'…유튜버 수입, 현실은 냉혹

최승우 2023. 10. 8. 11: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인기 직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유튜버의 '소득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2년 새 12배로 늘었다.

7일 국세청이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유튜버 중 상위 1%(342명)의 1인당 평균 사업소득은 3억6600만원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위 1%와 나머지의 격차 점점 커져
가수·운동선수 마찬가지…“소득불균형 해소해야”

최근 인기 직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유튜버의 ‘소득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2년 새 12배로 늘었다.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유튜버·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인터넷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자를 뜻한다.

2021년 기준으로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4219명이었다. 이는 2019년의 2776명과 비교하면 12.3배로 늘어난 것이며, 변호사(6292명), 세무사(9611명), 건축사(8122명), 법무사(6783명) 등보다 많았다.

그러나 유튜버의 수는 늘었지만 상위 1%와 나머지의 소득 불균형은 그만큼 점점 커지는 추세다. 7일 국세청이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유튜버 중 상위 1%(342명)의 1인당 평균 사업소득은 3억6600만원이었다.

반면 나머지 99%(3만3877명)의 평균 사업소득은 600만원에 그쳤다. 게다가 상위 1%의 소득 비중은 2019년 28.8%, 2020년 36.4%, 2021년 37.6%로 계속 상승하는 중이다.

또한 가수와 운동선수 등의 사이에서도 소득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1년 소득 상위 1% 가수 99명의 1인당 사업소득은 38억원으로 집계됐다. 가수, 배우, 직업운동가 등은 소속 회사나 팀이 있더라도 개인사업자 자격으로 인적용역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업소득 원천징수 대상이다.

상위 가수 1%의 소득은 전체의 76.9%로 2019년 60.1%, 2020년 70.6%에 이어 증가하는 추세다. 나머지 99%(9761명)의 1인당 사업소득은 1100만원에 머물렀다.

운동선수의 경우 상위 1% 375명의 1인당 연평균 사업소득은 8억3만원이었지만 나머지 99%(3만7143명)의 1인당 소득은 800만원에 불과했다. 전체 소득에서 상위 1%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9.6%에서 2020년 48.2%로 떨어졌다가 2021년 49.6%로 다시 올랐다.

이 의원은 “한류 스타와 스포츠 선수, 유튜버들이 건강한 환경에서 활동하려면 소득 불균형이 해소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