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배터리가 '대세?'…수입 110%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치열해진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속에서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8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중국산 전기차용 배터리 수입액은 44억7천만달러(약 6조원)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4.6% 증가했다.
올해 전 세계에서 수입한 전기차용 배터리는 46억3천만달러 규모였는데 이 중 중국산이 97%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휘경 기자]
치열해진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속에서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8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중국산 전기차용 배터리 수입액은 44억7천만달러(약 6조원)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4.6% 증가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수입액만 이미 작년 한 해 전체 수입액 34억9천만달러를 훌쩍 넘겼다.
올해 전 세계에서 수입한 전기차용 배터리는 46억3천만달러 규모였는데 이 중 중국산이 97%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대중 전기차용 배터리 수출액은 6천600만달러로 작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올해 전기차 배터리 한 품목에서만 6조원 가까운 대중 무역적자를 본 것으로, 이차전지 중간재에 이어 전기차용 배터리도 새로운 대중 무역적자 요인으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올해 들어 현대차그룹, KG모빌리티 등 완성차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제품 가격을 낮추려고 중국 업체가 만든 LPF 배터리 채택을 본격화함에 따라 중국산 이차전지 수입액 증가에 더욱 속도가 붙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LFP는 안전성이 높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장점이 있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고 무거워 그간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수요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이 한계점에 도달하면서 보급형 모델을 중심으로 가격 경쟁력이 더욱 중요해졌다. 여기에 CATL 등 중국 기업들이 LFP 배터리 성능을 크게 개선하면서 비중국 시장에서도 LFP 채택이 빠르게 늘어가는 추세다.
우리나라 배터리사들도 이런 시장 변화에 주목하고 LFP 개발에 뛰어든 상태지만 양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사들이 본격적 LFP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2026년 전까지의 '공백기'에 중국산 LFP 배터리 수입 확대 흐름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김경훈 무역협회 공급망 분석팀장은 "올해 1분기 조사 때는 중국에서 수입된 전기차용 배터리 중 약 85%가 우리 업체 간 거래일 것으로 파악했는데 지금은 국내 기업 간 거래가 줄고 (중국 기업이 수출하는) LFP 배터리가 늘었을 것으로 본다"며 "엔트리 라인업에서 LFP 채택이 확대되는 상황이어서 이런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