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 눈물보다 깨끗해… 그래도 배뇨 후 손 씻어야 하는 이유

이슬비 기자 2023. 10. 2.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실 건강한 사람의 소변은 생각보다 깨끗하다.

소변이 변기에 맞고 튀거나 닦을 때 손에 묻으면 손은 바로 세균의 온상이 된다.

자기도 모르는 새 미세하게 손에 소변이 묻곤 하지만 설사 전혀 묻지 않았더라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소변이 튄 변기, 물 내림 스위치 등에서 번식한 세균이 손에 묻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용변을 본 후에는 위생을 고려했을 때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손 씻기는 손을 잘 건조하는 것까지 포함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실 건강한 사람의 소변은 생각보다 깨끗하다. 체계적인 여과장치를 거쳐 나온 데다, 균도 전혀 없는 상태다. 어떻게 보면 신체에서 나오는 다른 분비물인 눈물보다도 깨끗한 것. 그런데 보건당국에선 왜 그렇게 손 씻기를 강조하는 걸까?

용변을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소변은 배뇨 당시엔 깨끗할지 몰라도, 체외로 배출된 이후엔 순식간에 세균을 불러 모은다. 소변은 90% 이상의 물과 요산, 아미노산, 무기염류가 조금씩 포함돼 구성되는데, 나머지 10%가 세균이 매우 좋아하는 먹잇감이다. 소변이 변기에 맞고 튀거나 닦을 때 손에 묻으면 손은 바로 세균의 온상이 된다. 자기도 모르는 새 미세하게 손에 소변이 묻곤 하지만 설사 전혀 묻지 않았더라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소변이 튄 변기, 물 내림 스위치 등에서 번식한 세균이 손에 묻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묻은 세균은 사람의 손을 타고 화장실 문손잡이, 거울 수도꼭지 등 화장실 곳곳으로 퍼진다.

여러 종류의 균이 퍼지는 데 그중 황색포도상구균은 패혈증(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염증이 퍼지는 질환), 중증 피부감염, 세균성 폐렴, 식중독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공중화장실을 이용했다면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손을 씻을 때는 30초간 이상,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주해 문지르기 ▲손등과 손바닥을 마주해 문지르기 ▲손바닥을 마주해 손깍지를 끼고 문지르기 ▲손가락을 마주 잡고 문지르기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다른 편 손가락을 돌려주며 문지르기 ▲손가락을 반대편 손바닥에 놓고 문지르기 등 총 6단계를 지키며 손을 씻어야 한다. 특히 손등은 잘 안 닦이는 부위 중 하나로 신경써서 닦아야 한다. 실제로 건양대 연구에 따르면 손등을 씻는 사람은 안 씻는 사람보다 감기 감염 확률이 15%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손 씻기는 손을 씻은 후 제대로 말리는 것까지 포함한다. 세균은 피부가 젖어있을 때 전파와 번식이 더 잘 일어나, 제대로 건조하지 않으면 씻지 않았지만 건조한 손보다 오히려 세균을 퍼뜨릴 가능성 더 크다. 미국 메이요 재단이 12개 연구를 분석해 낸 결론에서 확인된 내용이다. 미생물학자 데이비드 웨버(David Webber) 박사는 "연구에 따르면 오염된 표면을 거쳐 퍼진 세균의 85%는 젖은 손 때문에 유발된다"며 "손을 제대로 건조하지 않으면 아예 씻지 않는 것보다도 덜 위생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가장 효과적으로 손을 건조하는 방법은 종이 타월을 이용하는 것이다. 계명대 간호학과 연구팀이 ▲손을 마찰한 핸드 드라이어 건조 ▲손을 마찰하지 않은 핸드 드라이어 건조 ▲자연 건조 ▲종이 타월 건조 등의 방법으로 실험참여자에게 손을 건조하게 한 뒤 세균 수를 추적한 결과, 종이 타월로 건조했을 때 가장 세균 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