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분쟁에 4800명 주민 탈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르메니아와 갈등 중인 아제르바이잔이 영토 분쟁 지역을 사실상 장악하면서 이곳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탈출 행렬이 시작됐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아르메니아 정부는 25일(현지시간) 오전 8시 기준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사는 아르메니아계 주민 4805명이 아르메니아로 왔다고 밝혔다.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아제르바이잔 영토지만 아르메니아계 주민이 많이 사는 지역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르메니아와 갈등 중인 아제르바이잔이 영토 분쟁 지역을 사실상 장악하면서 이곳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탈출 행렬이 시작됐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아르메니아 정부는 25일(현지시간) 오전 8시 기준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사는 아르메니아계 주민 4805명이 아르메니아로 왔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시까지만 해도 아르메니아로 넘어온 지역 주민 수는 3000명이었다. 7시간 만에 1800명 넘는 이주자가 추가로 발생한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나고르노-카라바흐를 탈출한 이들이 최소한의 소지품만 챙겨서 간신히 탈출했다고 전했다. 또 돌아갈 희망이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앞으로 이주자들은 더 늘 수 있다. 아제르바이잔이 인종 청소를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아르메니아에 도착한 난민들은 국경 인근 마을의 호텔에서 머물고 있지만 향후 거처는 정해지지 않았다.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아제르바이잔 영토지만 아르메니아계 주민이 많이 사는 지역이다. 12만명의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이곳에 '아르차흐 공화국'을 세우고 아르메니아 정부 지원을 받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에 분리 독립도 요구하고 있다.
작년 12월부터는 아제르바이잔이 이 지역과 아르메니아를 연결하는 지역인 '라친 통로'를 차단, 식량과 연료 공급이 끊기는 상황이 벌어졌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또 19일 지뢰 폭발로 자국 민간인이 사망한 사건을 테러로 규정해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공격했다. 그 결과 자치 세력의 항복을 받아낸 상태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평 독방 수감된 尹, '머그샷' 촬영…교정본부장 "하룻밤 잘 보냈다" - 아시아경제
- "진심인가"…'이혼하자면 반대하지 마' 지침 내린 中마트 회장 오지랖 - 아시아경제
- "내 베프이자 최고의 아빠"…부친상 알린 박진영 - 아시아경제
- "국민 정서 무시 MBC 사과해야"…'尹 지지' 최준용 등장에 항의 쇄도 - 아시아경제
- 극단적 상황 담을수록 '잭팟'…정치·시사 유튜버의 속내 - 아시아경제
- '소꿉놀이 하는 줄' 朴 있던 곳에 尹 간다…日언론, 독방 모형 공개 - 아시아경제
- "조짐 보였는데 조롱당하듯 폭행당해"…현장 경찰들 지휘부 성토글 - 아시아경제
- 118개월간 양육비 1억2000만원 떼 먹은 60대…징역형 집유 - 아시아경제
- 김민전 "바보같은 尹, 부정선거 카르텔 깨려 대통령직 걸어" - 아시아경제
- "최대 100만원 공제"…'놓치면 손해'라는 연말정산 신혼부부 '꿀팁'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