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기 많아도 불편한 전기차…시장 더 키우기 위한 과제는?

정진주 2023. 9. 19. 18: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 2대로 우수한 편
양보단 급속 충전, 충전서비스 등 개선 필요
전기차 충전소에 전기차량이 충전하고 있다.ⓒ뉴시스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가 지난달 50만대를 돌파했지만 올해 전기차 시장 성장세는 둔화했다. 전기차 출시 모델들은 더욱 많아지고 있지만, 지난해보다 판매 대수는 감소했다.

과거 전기차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지적되던 인프라 구축은 어느 정도 양적 성과가 있었지만, 성장에 다시 가속도를 붙이려면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도 질적 보완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관련 업체들은 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있어 양보다 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순히 충전기를 많이 만들어두는 게 아니라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꺼리는 원인인 ‘충전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동안 전기차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가운데 충전의 불편함이 크게 작용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등이 집계한 결과, 전기차 충전기는 지난해 기준 19만4081기로 확대됐다.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차충비)가 약 2대로 전기차 주요국인 유럽(13대), 중국(10대)보다 우수한 편이다.

전기충전 중인 차량. ⓒ현대자동차그룹

양적 확대는 충분히 이뤄진 현재는 급속 충전, 설치 뒤 사후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급속 충전기는 짧은 충전시간과 적은 운영 대수 등으로 완속 충전기보다 이용 횟수가 높다. 전력거래서 보고서에 따르면 월평균 이용 횟수는 급속이 31.8회이고 완속은 4.8회인데 월평균 이용시간은 급속이 25.2시간, 완속은 24.5시간으로 비슷하게 나왔다. 급속 충전기의 차충비는 18.9대로 크게 늘어나 급속 충전기를 선호하는 이용자 수를 감당하기엔 한계가 있다.

더군다나 완속 충전기마저도 설치 뒤 서비스, 수리 등 관리는 미흡해 불편하다는 평가가 많다. 완속 충전기는 대부분 중소기업인 민간사업자가 보급하고 있다. 급속은 높은 초기 비용을 투자해야 하기에 공공사업자의 비중이 크고 완속 충전기는 민간 사업자의 비중이 컸다.

최근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대기업 업체들이 나서면서 질적인 측면에서도 편의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기업 중 현대자동차그룹은 800V 시스템을 탑재한 전기차라면 최대 18분 이내에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는 초고속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연말까지 이핏(E-Pit)을 44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핏은 별도 조작 없이 인증, 충전, 결제까지 한 번에 가능한 기능과 함께 충전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증과 결제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초고속 충전 브랜드다.

현대차그룹이 개발한 ACR. ⓒ현대자동차그룹

급속충전 외 설치 이후 서비스 시스템 구축에도 힘을 싣는다. 현대차그룹은 로보틱스 기술을 접목한 전기차 자동 충전로봇(ACR)로 개발하고 있다. 이 로봇은 충전 시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로봇이 충전구를 인식하고 충전 커넥터의 삽입부터 탈거까지 모든 작업을 사람 대신 수행한다.

현대엔지니어링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에 이어 유지·보수 시장에도 진출했다. SK E&S는 자회사 ‘파킹클라우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으로 주차와 충전을 한번에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초고속 충전 브랜드 이핏(E-Pit). ⓒ현대자동차그룹

다만, 정부와 대기업이 주도하는 인위적 시장 구축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속충전기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민간사업자의 시장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익성 확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기차 충전기는 지난해 기준 공공사업자가 1만9073기, 민간사업자가 17만5008기를 보급했다.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사업자가 대부분의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급속충전기는 90%가량을 공공사업자가 담당하고 있다.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수익성을 확보하기 힘들어 민간사업자가 급속충전기를 설치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완속충전기는 휴게소, 상업시설, 주차시설에서는 그나마 수익이 나지만 급속 충전기는 손익분기점을 넘어서는 장소가 없다.

결국 충전 인프라 구축 확대도 공익 목적이 아니라 수익성이 있어야 하기에 충전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철완 서정대학교 교수는 “보편적으로 전기요금이 오르는 상황을 감안하면 인상은 불가피하다”면서도 “보급 유인책 중 하나인 요금을 올리게 되면 전기차 보급화 정책을 하고 있는 정부 정책 간의 정합성이 떨어져 정책 당국에서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고민을 더 해야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