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이번엔 ‘코인 먹튀’ 논란...전현직 임원들 횡령 고발됐다 [팩플]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와 주요 전현직 임원들이 가상자산 ‘클레이’를 통한 횡령·배임 등 혐의로 고발됐다. 내달 국정감사를 앞둔 김 창업자의 사법 리스크가 불고 있는 상황이다.
무슨 일이야
시민단체 경제민주주의21은 13일 가상자산 클레이를 이용한 배임·횡령 등의 혐의로 김범수 창업자와 크러스트 유니버스(크러스트), 그라운드X, 클레이튼 재단 등 핵심 관계자들을 가상자산범죄 합동수사단이 있는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했다. 김 창업자 등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횡령‧배임)과 자본시장법을 위반했다는 주장이다.
단체 측은 클레이 상장 전 프라이빗 세일(비공개 사전 판매) 과정에서 횡령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1500억~3000억원이 모집됐으나 관련 사업에 사용된 흔적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카카오 내부자들이 투자·보상·용역비 등 각종 명목으로 클레이를 나눠 가진 후 현금화한 의혹도 제기했다. 가상화폐를 현금화해 얻은 부당이익이 수천억원에 달한다는 게 경제민주주의21의 주장이다.
클레이튼 재단은 “근거 없는 일방적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카카오는 이와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
이게 왜 중요해
잇따른 논란에 카카오의 리더십이 계속 상처를 입고 있다. 고발 대상이 된 크러스트 관계자들은 카카오의 핵심 임원을 지낸 김범수 창업자의 복심으로 통한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사업을 운영하던 크러스트의 초대 대표는 송지호 전 카카오 공동체성장센터장이었다. 강준열 전 최고서비스책임자(CSO), 신정환 전 최고기술책임자(CTO), 정주환 전 카카오 부사장 등 ‘김범수 라인’이 크러스트를 이끌었다. 카카오는 이번 고발 사건 전에도 핵심 임원들이 도덕적 해이로 구설에 올라 문제가 됐다. 가장 최근에는 카카오의 최고재무책임자인 김모 부사장이 법인카드로 1억원 상당의 게임 아이템을 결제했다가 징계를 받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김 창업자의 사법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검찰이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지분 매입 과정에서 시세조종을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김 창업자를 조준하고 있다.
클레이튼은 뭔데
클레이튼은 한때 카카오의 미래 먹거리로 꼽힌, 카카오표 블록체인 브랜드였다. 메인넷(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가상자산인 클레이를 발행하고, 다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했다. 김 창업자가 싱가포르를 오가며 블록체인 사업을 챙기고, 처음 클레이튼을 개발‧운영하던 자회사 그라운드X의 한재선 전 대표도 직접 영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클레이튼을 성장시키려는 경영진들의 의지도 강했다. 지난해 3월 주주총회에서 당시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클레이튼은 올해 본격적으로 메타버스 특화 블록체인으로 진화해 웹3.0 시대의 글로벌 톱티어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카카오 클레이튼은 투자 집행 실패, 자회사들의 불투명한 경영 등으로도 논란이 됐다. 클레이튼 성장펀드(KGF)가 투자한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프로젝트 ‘크로노스 다오’는 약 80억원의 예치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크러스트의 사내 벤처(CIC)로 시작해 분사한 ‘크래커랩스’는 자금세탁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클레이튼 운영도 안정적이지 못했다
클레이튼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2019년부터 2년여 간 운영하다가, 크러스트로 사업이 이관됐다. 다시 지난 3월 카카오와 독립된 클레이튼 재단으로 사업이 넘어가면서 카카오와는 더 멀어졌다. 카카오 측은 “클레이튼에서 손을 뗐다"는 입장이다.
클레이튼 사업이 카카오와 분리되자 클레이튼 생태계 참여자와 클레이 코인 구매자들 사이에선 “무책임하다”는 비판 여론이 일었다. 카카오 브랜드를 믿고 클레이튼에 참여했는데, 카카오가 슬며시 손을 털었다는 것이다. 고발에 나선 경제민주주의21도 “클레이튼을 회생불가 상태로 만들어 놓고, 책임을 피하고자 클레이튼 재단으로 모든 업무를 이관했다”고 지적했다. 한때 5000원을 돌파했던 클레이의 시세는 13일 현재 160원대로 추락한 상황이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미비한 운영 끝에 결국 카카오가 클레이튼에서 손을 뗀 것이 책임감 있는 자세는 아니다”면서도 “도덕적 문제와 별개로 법적으로 책임질 문제가 무엇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김남영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내는 왜 안한 외도 했다했나...남편에 살해당한 50대 슬픈 진실 | 중앙일보
- "개념없는 연예인" 심기불편한 與…김윤아 소속사 입 열었다 | 중앙일보
- "형님, 주식리딩방도 접수했습니다"…요즘 조폭들 달라졌다 | 중앙일보
- "운전 그만" 에어백 터진 채 121㎞ 달려 또…80대 무서운 전력 | 중앙일보
- 한밤 야외서 여중생 무차별 폭행한 가족…이날 처음 아니었다 | 중앙일보
- [단독]유명 배우도 당했다…'투자 귀재' 교회 권사 670억 사기극 | 중앙일보
- 엄마들 이젠 '약국 뺑뺑이' 돈다…"아프면 큰일" 약 품절대란 왜 | 중앙일보
- 딸에게 "매춘하냐" "해준거 내놔"…50대 엄마의 스토킹 | 중앙일보
- "현기증에 구토"…물난리 개포자이, 이번엔 '굉음+진동' 파문 [영상] | 중앙일보
- 아내 외출한 사이…친딸 성폭행한 아빠, 2년 전엔 강제추행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