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는 201호에만 묵었다…한송이 국화꽃, 그 시 잉태된 절경
팔도 이야기 여행⑤ 전북 고창
세계유산이 된 갯벌
서해랑길이 지나는 고창 갯벌은 유네스코가 인정한 자연유산이다. 고창 갯벌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이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다. 2021년에는 부안 땅과 마주 보는 줄포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지정됐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고창 갯벌의 면적은 55.31㎢. 서해랑길 구간으로 보면 고창갯벌센터가 있는 만돌 해변에서 시작해 부안 땅 앞까지다. 고창갯벌센터 앞에 서해랑 쉼터가 있다.
고창 갯벌은 이야기의 보고다. 구시포 해변은 예부터 해수찜으로 유명했다. 고창의 아낙들은 해마다 단오가 돌아오면 해 질 녘 백사장으로 갔다. 한 길 구덩이를 파고 모래 안에 들어가 누웠다가 달 뜰 무렵에 나오면 온종일 쑤셨던 삭신이 개운해졌단다. 고창 해수찜의 원형이다. 고창 바다는 무슨 연유에서인지 다른 바다보다 더 짜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삼양염전이 굳이 고창 해변에 들어섰던 까닭이다. 고창 갯벌이 바라보는 칠산바다가 조기 우는 바다고, 트랙터가 다녀도 될 만큼 단단한 모래펄에선 파도 파도 바지락이 올라온다.
해거름 갯벌로 나갔다. 물이 들어오는 시간이었지만, 모래펄이 워낙 넓어 한없이 거닐 수 있었다. 일행을 안내한 ‘주민공정여행사 팜팜’의 김수남(56) 대표가 해지는 대죽도 너머를 가리켰다. “저기 대죽도 넘어 희미하게 보이는 실루엣이 위도입니다. 갯벌 건너편 벽처럼 서 있는 산이 변산이고요. 다 부안 땅입니다.” 길을 걷다 보면 행정구역이 무의미해진다. 편 가르고 살았던 날도 지나고 보면 부질없는 일이었다. 눈이 부시게 푸르렀던 가을 하늘이 금세 붉게 물들었다.
선운사 꽃무릇
선운사 어귀에 그 유명한 고창 풍천장어촌이 있다. 절집 앞 장어집이 어울리는 조합은 아니지만, 선운사 앞을 흐르는 인천강에 민물장어가 올라왔던 덕분에 오래전부터 장어구이 집이 성행했다. 풍천이 인천강이다. 풍천(風川)은 지명이 아니다. 바람 부는 개천을 뜻하는 보통명사다. 전국의 수다한 풍천 중에서 장어로 알려진 고창의 인천강이 풍천 행세를 하고 있을 뿐이다.
선운사는 시로도 유명한 절집이다. ‘선운사 고랑으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오히려 남았읍디다(‘선운사 동구’ 부분)’는 선운사 건너편 질마재 마을에서 태어나고 자란 미당 서정주(1915∼2000)의 것이고,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선운사에서‘ 부분)’이라고 노래한 시인은 최영미다.
특히 미당은 선운사를 자주 들렀었다. 미당이 선운사에 들르면 늘 묵던 숙소가 남아있다. 옛날에 ‘동백장’으로 불렸던 동백호텔이다. 미당은 동백장에서도 201호에서만 묵었다. 생전의 미당이 “소쩍새 소리 잘 들리는 방을 달라”고 해서 내준 방이란다. 소쩍새는 미당의 절창 ‘국화 옆에서’를 여는 소재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그렇게 울었던 새. 그 소리를 미당은 동백장 201호에서 들었던 게다. 오랜만에 들른 동백호텔은 아쉽게도 문이 잠겨 있었다.
선운사와 도솔암을 잇는 숲길에서 막 피어난 꽃무릇 한송이를 발견했다. 아직 철이 이른데, 용케도 활짝 꽃망울을 터뜨렸다. 선운사 경내가 꽃무릇으로 붉게 물드는 시기는 9월 하순이다. 꽃무릇이 지고 나면 선운사 주변은 다시 단풍으로 붉어진다. 기대하지 않았던 선물을 받은 느낌이었다.
그리운 사람
“소요산 자락에서 큰 인물이 여럿 나왔지요. 신흥종교 보천교를 만들어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차경석, ‘동아일보’를 창간한 인촌 김성수, 미당 서정주가 다 근방에서 태어났지요. 녹두장군 전봉준의 아버지가 소요산을 한입에 삼키는 태몽을 꾸고 전봉준을 낳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오고요.”
이틀 내내 함께 걸었던 ㈔우리땅걷기 신정일(69) 이사장의 설명이다. 『신택리지』를 쓴 신정일 이사장은 “바다 좋고 산 좋고 물 좋은 고창은 예부터 사람 살기에 좋은 고장이었다”며 “동학이 고창에서 일어난 건 우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도솔암·고창읍성 같은 고창의 명소는 사실 동학 유적지다. 녹두장군 전봉준이 태어났고 동학군 4000여 명이 무장봉기를 선포한 고장도 고창이다.
질마재 마을에 내려왔다. 옛날 미당이 살았던 생가가 말끔하게 복원돼 있다. 이 생가에서 미당의 동생 서정태 옹이 살았었다. 아흔을 넘겼어도 꼿꼿했던 당신은 2020년 3월 돌아갔다. 미당이 환갑에 펴낸 시집 『질마재 신화』는 사실 마을에 내려오는 이야기를 미당 특유의 언어로 되살린 것이었다. 『질마재 신화』의 등장인물 대부분이 실제 마을 주민이다. 시집에 나오는 외가 터는 물론이고 서당·빨래터·우물도 남아있다.
미당시문학관에 들어섰다. 시성(詩聖)으로까지 추앙받던 시인이 친일파로 낙인 찍힌 뒤 미당시문학관을 찾는 발길이 크게 줄었다. 전망대 옥상에 올라 건너편 안현 마을을 내다봤다. 국화꽃 벽화마을로 유명한 곳이다. 안현 마을 뒷산에 미당이 누워 있다. 눈이 부시게 푸른 가을날이어서 미당이 누운 산 너머로 줄포 갯벌이 한눈에 들어왔다. 시인의 노래처럼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다가 내려왔다.
고창=글ㆍ사진 손민호 기자 ploves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우 김상경씨 감사합니다"…'폐암 4기' 경비원이 남긴 유언 | 중앙일보
- "뭐가 가장 힘듭니까" 묻자, 정몽구 딱 한마디 "노조다" | 중앙일보
- 발견 당시 32kg…美한인여성 살해 피의자들 "난 그리스도의 군인" | 중앙일보
- 갤폴드에 소시지 끼워 조롱한 그녀, 아이폰15엔 "이게 미래다" | 중앙일보
- 백종원 "결국 건물주들만 좋은 일"…예산시장 상가 사버렸다 | 중앙일보
-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진 '인민 호날두'…"한광성, 北으로 갔다" | 중앙일보
- 고물밖에 없는 北…김정은, 러 최첨단 전투기 공장 방문한다 | 중앙일보
- '한채에 180억' 신기록 썼다...방시혁·태양·싸이 사는 그 아파트 | 중앙일보
- '고급빌라에 슈퍼카' 유명 인플루언서…3년간 24억 챙긴 수법 | 중앙일보
- "상속세는 엄마가 다 내세요"…불효 아닌 '똑똑한 절세'였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