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위암 합동 연구팀, 새로운 위암 유전자 분류 체계 발표

이슬비 기자 2023. 9. 13. 16: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인 맞춤형 위암 치료가 가능하도록 돕는 '위암의 새로운 유전자적 분류체계'가 발표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위암의 유전적 분류에 그치지 않고, 유전체와 단백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각 하위 유형에 대한 표준·실험적 치료(항암방사선 치료, 면역 치료 등)의 잠재적 반응률도 추정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개인 맞춤형 위암 치료가 가능하도록 돕는 '위암의 새로운 유전자적 분류체계'가 발표됐다.

국내 5개 의과대학(고려대 의대, 차의과대, 연세대 의대, 성균관 의대, 경희대 의대)과 미국 MD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이 다기관 연구팀이 위암의 유전적, 임상적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MD앤더슨 암센터 이주석 교수의 주도하에 고려대 구로병원 대장항문외과 강상희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임선영 교수, 분당차병원 외과 이성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김의현 교수, 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은영규 교수가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이전에 발표된 8개의 위암 유전자 분류 체계를 분석해 6개의 유전자적 하위 유형(Consensus Genomic Subtypes, CGSs)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발현 형태에 따라 위암을 CGS1부터 CGS6까지 분류했다.

각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면 CGS1이 가장 예후가 나쁜 특징을 보인다. 매우 높은 줄기세포 특성을 보이며 유전자 변형은 낮다. 그러나 면역 치료에 잘 반응하며, IGF1R을 목표로 하는 치료제가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CGS2는 전형적인 상피세포 유전자 발현이 풍부하다. CGS3와 CGS4는 높은 복제 수 변형을 보이며, 면역치료에는 낮은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CGS3는 HER2 유전자 활성화가, CGS4는 SALL4 유전자 활성화가 특징이어서, 이를 목표로 하는 치료제에 반응할 것으로 추정됐다. CGS5는 미세위성 불안정 종양의 특징인 높은 돌연변이 부하를 가지고 있으며, 면역치료에는 중간 정도의 반응을 보인다. CGS6는 대부분 감염성 단핵구증 바이러스 양성으로, 매우 높은 메틸화 수준을 나타내고 면역치료에서 높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위암의 유전적 분류에 그치지 않고, 유전체와 단백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각 하위 유형에 대한 표준·실험적 치료(항암방사선 치료, 면역 치료 등)의 잠재적 반응률도 추정했다. 그 결과, 특히 CGS3 유형은 높은 지질 과산화에 따른 철 의존성 세포 사멸 수준 때문에 항암방사선 치료에서 큰 이익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각 유형에 대한 잠재적 치료 대상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다.

강상희 교수는 "새로운 치료법들의 도입으로 위암 사망률이 낮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주요 암중의 하나로 많은 환자가 위암으로 사망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개인 맞춤형 위암 치료의 기틀이 되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성환 교수는 "외과의지만, 수술적 치료에 대한 탐구를 넘어 새로운 치료에까지 폭넓게 관심을 두고 융합연구를 통해 암 정복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은영규 교수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른 암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현재의 치료법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종양학(Molecular cancer, impact factor )'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