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만들 때 중요한 건 나무 배치가 아니었다 [일본정원사 입문기]

유신준 2023. 9. 13. 13: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정원 디자이너 요시다씨가 알려주는 '정원 디자인 하는 법'

일본 현지에서 75세 사부에게 정원사 일을 배우는 65세 한국 제자의 이야기. <기자말>

[유신준 기자]

사부가 담임선생이라면 정원 디자이너 요시다씨는 내게 과외선생쯤 된다. 사부에게는 정원관리 이론 공부를 마치고 실습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론에 실습에 과외까지 몰아치기로 공부하는 건 늦은 나이에 시간이 많지 않아서다. 단기완성하려면 어쩔 수 없다. 대입 수험생처럼 시간을 쪼개서 공부하는 수밖에.

요시다 과외선생도 시간약속을 하고 방문해 궁금한 것들을 묻는다. 그녀는 언제나 성의껏 자세히 설명해준다. 오늘은 일본정원 설계과정의 전반적인 설명을 들었다. 대학 출강 경력까지 있는 프로 디자이너를 독선생으로 공부할 수 있다니 도대체 내 조상들은 나라를 몇 번이나 구한 거야? 
 
 쓸모있는 디자인은 기초작업이 더 중요하다
ⓒ 유신준
요시다씨 이야기를 듣기 전에는 디자인을 잘못 알았다. 디자인이란 게 그저 종이 위에 알록달록 모양만 잘 그리면 되는 줄 알았다. 디자이너에게 제일 필요한 기량은 그리기인 줄만 알았다. 그게 아니었다. 디자인이란 디자인 이전의 사전 작업이 핵심이었다.

쓸모있는 디자인은 기초작업이 더 중요했다. 왜 이 디자인이 여기에 필요한지 근거가 되는 과정이었다. 좋은 디자인이란 장식이 아니라 실용이었다. 알록달록한 모양속에 그런 깊은 뜻이 숨어있는 줄 처음 알았다.

요시다씨가 오라는 토요일 오후 두 시에 갔다. 그녀가 오라면 나는 간다. 배우는 사람이니 그저 따르는 수밖에. 초인종을 누르니 부스스한 얼굴이다. 거의 밤을 새다시피해서 이제 막 완성 자료를 보냈단다. 쉬는 시간인데 짬을 내준 것이 고맙고 미안하다. 
 
 디자인이란 디자인 이전의 사전작업이 핵심이다
ⓒ 유신준
며칠 후가 오봉(추석)이라 잠시 시간을 내서 약속을 잡았다고 했다. 사람 인연이란게 뭔지. 처음 만날 때 정원이야기를 함께 하고 싶다고 말 한 마디 섞은 죄다. 이국 초짜 정원사에게 잘못 엮여 고생을 사서하고 있다. 불쌍한 그녀.

그녀는 한 시간 넘게 일본정원 디자인을 소개했다. 자기는 혼자 일하는 스타일이라 사람들과 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는 편이란다. 늘 하고 있는 일이라서 무의식 중에 이야기가 술술 나왔단다. 이야기 하는 동안 자신의 일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고도 했다. 그녀의 귀한 구술자료를 공짜로 들었으니 공짜로 이곳에 옮긴다. 30년 경력 프로 디자이너의 정원 디자인 강의를 공짜로 들어 보시라. 

정원 디자인에서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게 해당 토지의 기후입니다. 큐슈 기후라면 대개 정해져 있어서 아무리 추워도 마이너스 10도까지는 안 내려가요. 표고가 높은 곳이라면 좀 더 추울 수도 있죠. 예를 들면 아소 지역이라면 11월부터 추워지는 곳이니까. 

고도가 높아지면 당연히 추워요. 식생이 달라지죠. 고산식물을 골라 심어야죠. 평지에는 고산식물을 심어도 맞지 않아요. 설계를 하려는 장소의 기후가 어떤지 일단 살펴보는 게 중요해요. 고객이 고산지대 나무가 좋다고 해도 평지에 심으면 결국 죽는다는 걸 설명해줘야 돼요. 꼭 심고 싶다면 화분에 심어서 그에 맞는 관리를 하라고 하죠.
 
 식물에게는 아침햇볕이 가장 좋다
ⓒ 유신준
다음은 해당 토지의 특성. 그중에 가장 중요한 게 햇빛 방향이죠. 배치도를 보면서 어디가 좋고 어디가 나쁜가. 해는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지는지 자세히 살펴 봐야죠. 식물에게는 아침 햇볕이 가장 좋아요. 오전부터 오후까지 해가 드는 곳이 식물 환경에 좋은 곳이죠. 이런 걸 조사하면 어떤 식물을 어디에 심어야 하는지 아웃라인이 대충 나옵니다. 

토지특성 중 두 번째는 토질입니다. 디자인하는 데는 별로 관계가 없는 것 같지만 식물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이니 잘 살펴 봐야죠. 배수가 좋은가 나쁜가. 토질이 점질토인가 사질토인가. 나쁜 곳이면 흙을 바꿔줘야 합니다. 바꿀 때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거름을 넣어서 좋은 땅을 만들기도 합니다. 상황에 따라 땅을 높여주기도 합니다. 

다음 신경써야 할 것이 주변환경입니다. 옆집이 있나. 있으면 옆집 창문은 어느 쪽에 있나. 만약 창문이 보인다면 의뢰인이 신경 쓰이나 괜찮은가. 현지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가림나무를 심기도 하지만 그건 고객의 선호에 따릅니다. 최근에는 가려지면 오히려 방범 저해 요인이 된다며 오픈하는 집도 많아요. 처음 의뢰인과 면담할 때 이런 것들을 조사해야 합니다.  

집이 일본집인가 양옥인가도 살펴봐야 합니다. 그래야 거기에 맞는 디자인을 할 수가 있어요. 다음은 각 공간의 위치입니다. 거실이 어디고 부엌이 어디인지, 출입문이나 창문은 어디를 향해 나있는지 봐야 합니다. 이 배치도는 현관을 들어가서 왼쪽으로 침실이 하나있고 오른쪽으로 어르신 침실이 있습니다. 맞닿는 곳에 오픈된 부엌이 있고 리빙룸이 연결돼 있죠. 모든 가족이 주로 이곳에서 생활합니다. 
 
 기본조건을 알게되면 어떤 나무를 심어야하는지 자연스럽게 나온다
ⓒ 유신준
(집을 짓기 전에 정원을 고려하지는 않습니까?) 이 집의 경우는 리폼이라서 집의 위치는 어쩔 수 없는 경우지만 대부분 건축가들은 정원을 염두에 둡니다. 정원을 만들기 위해 한쪽을 비워두고 건축설계를 하기도 해요. (건축과 정원을 함께 진행해도 괜찮을 것 같네요.) 함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어느 쪽이든 먼저 결정되지 않으면 진행이 안 되거든요. 대개 집이 먼저인 경우가 많죠. 

제 경우는 고객의견을 들을 때 어떤 정원이 좋은가 묻습니다. 어떤 나무를 심고 싶은지, 정원에서 하고 싶은 일이 있는지. 아이들이 어린 가족의 경우 농구를 좋아하는 아이라면 농구대를 세워줄 것인지. 개를 키우고 있는 경우도 있고 여러가지 조건을 폭넓게 고려하게 됩니다.

단순히 보는 정원을 좋아할수도 있어요. (양식도 보는 정원이 있습니까?) 있어요. 베르사이유 정원도 왕이 성 위에서 보기 좋게 만드느라 그런 양식으로 발전했잖아요. 영국도 그렇게 동물 모양을 만드느라 가리코미가 발전하게 됐고.  

자동차가 몇 대 있나도 알아야 합니다. 요즘은 주차장이 우선이어서 현실적인 이유로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니까요. 그런 것을 전부 파악하고 디자인을 시작합니다. 실제로 할 경우는 당연히 예산을 알아야 하지만 공부로서 하는 거라면 자유롭게 좋아하는 걸 설계해 봐도 돼요.

현지 상황도 파악됐고 면담도 끝났으니 그 조건에서 할 수 있는 것들로 디자인 범위가 좁혀집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내 방식이지만 다른 사람들도 이런 스타일로 설계를 진행해 나가지 않을까 생각해요. 자연환경 조건은 모르면 디자인을 할 수 없으니까 누구든 당연히 알아야 할 거고. 고객의 희망사항은 어떤지도 당연히 필요할 거고. 

기본적인 조건을 알게 되면 여기에 어떤 나무를 심어야하는지 자연스럽게 나와요. 햇볕이 안 좋으니까 음수를 고려한다든지 가림나무가 필요하면 가림나무를 넣는다던지... 디자인을 제로 베이스에서 고민할 필요가 없는 거죠. 

(상담할 때 요시다씨가 작업한 자료샘플을 들고 갑니까?) 내 경우는 대개 다른 분들 소개로 오는 경우가 많아요. 의뢰인들이 내 작업 스타일을 이미 알고 있죠.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그런 게 필요하겠죠.
 
 아름답게 보이도록 시선을 고려한 위치가 왕의 눈높이다
ⓒ 유신준
 
장소가 결정되면 나무 배치같은 건 그다지 큰 문제가 없어요. 정문을 통과하면 퍼스트 인플렉션을, 보통 시선을 잡는다 해서 아이스톱이라고 합니다만, 여기에 배치하고 다음은 입구가 직접 보이지 않도록 나무를 적당히 둡니다. 두 그루가 정해지면 거기서 분위기가 생기죠. 

부등변 삼각형이나 식재 원칙들을 참고 해서 현장 상황에 맞게 나무를 세워 나가죠. 이 나무 종류는 뭘로 할 거냐 하는 것은 최후의 작은 결정사항일 뿐이죠. 그 나무가 뭐가 됐든 골격은 변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체 계획으로서 배치입니다. 넓은 공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작은 길은 어떻게 마무리할 건가. 이런 건 공통이죠. 일본식이든 양식이든. 차니와(茶庭;차정원)라면 도비이시(징검돌)를 놓는다든지, 양식정원이라면 또 거기에 맞게 대응해야겠죠. 

내가 디자인하면서 세심하게 신경을 쓰는 게 있어요. 일본정원이라면 대부분 다다미에 앉아서 정원을 보게 되는데 시선이 낮아도 아름답게 보이도록 식물 배치를 세심하게 신경씁니다. 몇 번이고 현장을 둘러보면서 아이디어를 메모하고 다시 둘러보면서 고치기도 합니다. 최후까지 물고 늘어지며 신경 쓴 만큼 좋은 디자인이 만들어지거든요. 

시선 중심이 아래 있으니 보는 위치를 고려해야죠. 아까 말한 베르사유궁전은 위에서 왕이 내려다 보니까 화단 모양을 그렇게 만들었잖아요. 아래서 봐서는 그런 거 알 수 없죠. 역시 왕이 위에서 볼 때 아름답게 보이도록 시선을 고려해야 되듯이. 그게 왕의 눈높이죠. 목욕탕이라면 욕조에 누워서 보이는 위치. 거기가 왕의 눈높이가 되는 거죠.

- 다음 회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