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회의 끝나면 요약 척척…삼성, 생성형 AI 서비스 출시
삼성이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자체 생성형 AI 개발이 아닌 챗GPT 등 기존 거대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LLM)을 활용해 기업 업무를 돕는 서비스를 출시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진출한다. 기업들이 저마다 생성형 AI를 이용한 서비스 개발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수익 모델 경쟁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SDS는 12일 서울 강남구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리얼 서밋 2023’ 행사를 열고 기업용 맞춤형 AI 서비스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삼성 주요 계열사 중 생성형 AI 서비스를 사업에 연결한 첫 사례다.
삼성SDS는 이날 기업용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과 클라우드 시스템에 생성형 AI 결합을 가속화하는 플랫폼 ‘패브릭스’를 공개하며 “기업 고객이 원하는 대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쉽고 간편하게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메일·메신저·영상회의 등 기업 업무 시스템에 생성형 AI 기능을 연결하면 회의에서 나온 핵심 내용을 요약한 뒤 회의 참석자에게 이를 곧바로 이메일로 보내는 일이 가능하다. 삼성SDS가 내부적으로 시범 적용한 결과 문서 작성시간이 기존보다 75% 줄었다.
황성우 삼성SDS 대표는 이날 “LLM은 변동성이 많은 인간 언어를 잘 이해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할 수 없었던 사무업무의 진정한 초자동화가 가능해졌다”며 서비스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삼성SDS 측은 “오픈AI의 챗GPT나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고객사인 기업이 원하는 어떤 LLM과도 연결할 수 있다”면서 “보안이 중요한 기업을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생성형 AI 서비스의 원천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초거대 AI를 삼성SDS가 직접 개발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초거대 AI를 활용해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식으로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
삼성SDS가 생성형 AI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면서 수익화 경쟁도 거세질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미 GPT-4를 결합한 MS 365 코파일럿을 유료 서비스로 선보였다. 국내에서도 네이버와 카카오, SK텔레콤, KT 등이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전 세계 생성형 AI 시장 규모는 2030년 145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이와는 별도로 네이버, 삼성리서치 등과 함께 사내용 생성형 AI 서비스를 개발 중인 삼성전자는 자체 LLM까지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LLM을 자체 개발해 내놓은 주요 대기업은 네이버(하이퍼클로바X)·카카오(코GPT)·KT(믿음)·SK텔레콤(에이닷)·LG(엑사원) 정도다.
이희권 기자 lee.heek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손흥민, 팬 셀카 거절…"아이폰은 안 돼요" 만지지도 않는다 왜 | 중앙일보
- "여보 힘내자! 병원 가자!" 청년 유품은 여친 메모였다 | 중앙일보
- 아내 외출한 사이…친딸 성폭행한 아빠, 2년 전엔 강제추행 | 중앙일보
- 김정은·푸틴 '위험한 거래' 땐…한국 '특단선택'으로 내몰린다 | 중앙일보
- 치매 예방 도움된다는 이 운동…"40세 이후 땀나고 호흡 가쁘게" | 중앙일보
- 조규성이 끝냈다…클린스만호, 사우디 꺾고 6경기 만에 첫 승 | 중앙일보
- 1800억 美뉴욕 아파트, 2년간 안 팔리다 가격 반토막 난 사연 | 중앙일보
- "못 버는 너의 문제" 시청자에 버럭…3000억 수입 쇼호스트 뭇매 | 중앙일보
- [단독] 지방대 살리기 10조 퍼부었지만, 대학 "어디 썼나 몰라" | 중앙일보
- [단독] '경찰 추락사' 모임 정체는 생일파티…2주전 마약 구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