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韓美 금리 동조화, 국채 만기별 차별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 과정에서 양국 간 국채금리의 동조화가 강화된 가운데, 올해 들어서는 만기물별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국내 장기금리의 경우 여전히 미 국채금리와 동조성이 높은 만큼, 이와 연계된 일부 대출금리, 은행채 및 회사채 금리 등은 미 국채금리 상승에 일정 부분 영향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으로 미 국채금리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높아질 수 있는 만큼, 미 국채금리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 과정에서 양국 간 국채금리의 동조화가 강화된 가운데, 올해 들어서는 만기물별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장기금리의 경우 미 국채금리와 여전히 동조성이 높은 만큼 이와 연계된 일부 대출금리, 은행채 및 회사채 금리 등은 영향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미 국채금리의 동조성이 단기물 간에는 크게 약화됐지만, 장기물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지난해 한·미 국채금리의 동조성이 모든 만기에서 강화됐던 것과 다른 모습이다.
올해 들어서만 한·미 정책금리 격차가 1%포인트 확대됐음에도 장기물 간 격차는 크게 확대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됐다.
한은이 한‧미 금리 동조화를 경로별로 점검한 결과 올해 들어서는 실물경제 연계 경로와 통화정책 기대 경로가 다소 약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선 실물경제 연계 경로를 보면 지난해에는 글로벌 공급충격 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한국과 미국의 물가·성장 여건과 향후 전망에 대한 시장기대가 차별화되면서 실물경제 연계경로가 약화됐다.
통화정책 기대 경로 측면을 보면 금융시장에서는 한·미 정책금리가 이 같은 물가·성장 기대 차이를 반영해 중단기적으로는 다소 엇갈리는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장기적 시계에서는 수렴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은은 "시장에서는 미국 정책금리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와 인플레이션 재상승 위험 등을 감안해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어 단기적으로는 한·미
정책 금리 차가 소폭이나마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유동성 및 위험회피 경로를 보면 주요국의 정책금리 인상과 양적긴축에도 글로벌 유동성이 여전히 풍부한 수준을 유지하고, 글로벌 리스크 요인에 대한 민감도도 여전히 높아 기간프리미엄을 매개로 금리 동조화 유인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한·미 기간프리미엄 상관계수는 지난 2019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0.53에서 지난해 1월부터 올 8월까지 0.85로 뛰면서 장기평균(0.72)을 상회했다.
한은은 "실증분석 결과 장기물일수록 미 국채금리의 영향이 커졌다"며 "올해 들어 중·단기물을 중심으로 미 국채금리의 영향이 낮아져 한·미 금리 동조화가 만기별 차별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물의 경우 미 국채금리의 영향이 지난해 18~19% 수준"이라며 "올해 들어서는 10% 수준으로 줄어든 반면, 10년물에 대한 영향은 소폭 감소에 그치면서 여전히 50%를 상회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최근 한‧미 금리 동조화가 지속되고 있지만 중·단기물의 경우 그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와 금리 수준이 연동되는 가계 및 기업의 자금조달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최근 미 국채금리의 상승에도 국내 통화정책의 파급경로는 대체로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다고 한은은 판단했다.
한은은 "가계·기업 대출금리가 1년 이하 단기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비중이 높다"며 "회사채와 은행채 등의 발행 만기도 3년물 이하 중·단기물 비중이 높아 최근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이 우려할 만큼 크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다만 "국내 장기금리의 경우 여전히 미 국채금리와 동조성이 높은 만큼, 이와 연계된 일부 대출금리, 은행채 및 회사채 금리 등은 미 국채금리 상승에 일정 부분 영향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으로 미 국채금리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높아질 수 있는 만큼, 미 국채금리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륜남과 해외서 즐긴 아내, 처남과 처제도 함께였습니다"
- ‘박찬호도 절레절레’ 프로 골퍼와 아마추어의 차이 [기자수첩-스포츠]
- 케이팝 아이돌 잡아라…글로벌 시장, 불붙은 IP 확보 경쟁 [D:가요 뷰]
- "스님이 얼마나 잘생겼길래…" 화엄사 체험 4시간 만에 마감
- "성폭행 가해자, 성병까지 옮겨" 극단선택한 10대女 유족 충격 증언
- 이재명 첫 선고부터 '징역형'…사법리스크 현실화에 대권가도 '위태'
- 한미일 정상, '3국 협력사무국' 설치…"北 파병 강력 규탄"
- 국민의힘, 이재명 선고에 오랜만에 '웃음꽃'…탄핵 공세 대비가 관건
- 클리셰 뒤집고, 비주류 강조…서바이벌 예능들도 ‘생존 경쟁’ [D:방송 뷰]
- ‘4선 도전 확실시’ 정몽규 회장, 문제는 대항마 [기자수첩-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