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문부호 따라붙는 北신형잠수함…실전 능력 갖추면 ‘심각한 위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최대한 많은 미사일을 싣기 위해 기존 로미오급(1800t) 잠수함을 개량·확장하다 보니, 설계상 안전성과 정숙성(잠수함이 은밀하게 기동하기 위해 소음을 줄이는 능력) 등 작전 성능을 장담하기 힘든 형태가 됐다는 분석이 국내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통상 3000t급 잠수함은 발사관이 6개 안팎이지만, 북한의 신형잠수함은 '북극성' 계열 중거리 SLBM 발사관 4개와 미니 SLBM 등을 쏠 수 있는 소형 발사관 6개 등 모두 10개의 발사관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식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지난 8일 처음 공개한 전술핵공격잠수함 ‘김군옥 영웅함’(3000t급 추정)’의 실전 능력에 대해 의문부호가 따라붙는다.
북한이 최대한 많은 미사일을 싣기 위해 기존 로미오급(1800t) 잠수함을 개량·확장하다 보니, 설계상 안전성과 정숙성(잠수함이 은밀하게 기동하기 위해 소음을 줄이는 능력) 등 작전 성능을 장담하기 힘든 형태가 됐다는 분석이 국내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그러나 이 잠수함이 정상적으로 움직일 경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핵어뢰 ‘해일’ 등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북한이 수중에서 SLBM 시험발사에 성공한다면, 한·미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수중에서의 발사가 탐지가 가장 힘든 데다, 북한이 핵미사일의 발사 플랫폼을 지상·해상·수중으로 다양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근 건조되는 신형잠수함들은 함교는 작고 동체는 큰 형태를 보이는데, 북한은 반대로 함교만 큰 가분수 형태”라며 “미사일을 최대한 많이 탑재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이지만 균형을 잃기 쉽고, 수중에서 은밀하게 잠항하는 능력은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상 3000t급 잠수함은 발사관이 6개 안팎이지만, 북한의 신형잠수함은 ‘북극성’ 계열 중거리 SLBM 발사관 4개와 미니 SLBM 등을 쏠 수 있는 소형 발사관 6개 등 모두 10개의 발사관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식별됐다.
이 때문에 잠수함이 SLBM을 수중발사할 때 생기는 압력과 충격을 견디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핵추진잠수함에 비해 소음이 큰 디젤잠수함이라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잠수함 함장 출신인 문근식 한양대 특임교수는 “SLBM 등 핵무기는 적에게 들켜서는 안 되기 때문에 수개월간 잠항할 수 있는 핵추진잠수함에 싣고 다녀야 한다”면서 “그러나 북한이 운용하는 디젤잠수함은 하루에 2~3번씩 수면 위로 올라와 배터리 등을 충전해야 하는데, 이때 감시정찰자산에 경로가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신형잠수함에서 SLBM을 시험발사하는 데에 최소 6~12개월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문 교수는 “SLBM 시험발사를 실시하기 전에, 잠항시험·소음시험·수밀(水密)시험, 속력시험 등 운용에 필요한 각종 테스트를 통해 안전성을 검증해야 한다”며 “북한의 수중발사는 아직 검증된 적이 없기 때문에 성공 여부도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잠수함의 작전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수심이 깊고 해저지형이 복잡한 동해에서 활동할 경우, 실질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신 위원은 “북한 잠수함이 태평양까지 진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동해의 자연환경을 활용해 작전을 펼칠 가능성이 크다”면서 “잠수함 탐지가 어려워 ’잠수함의 천국’으로 불리는 동해에서 ‘움직이는 수중발사대’ 역할을 한다면 한·미에 위협적인 무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