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침략’ 표현 빠진 G20 공동성명…“서방이 개도국에 졌다”

이승호 2023. 9. 10. 14: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중 미국과 인도, 브라질, 이탈리아 정상들이글로벌 바이오연료 동맹 출범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AP=연합뉴스

인도 뉴델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진통 끝에 공동성명이 채택됐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회원국들의 우려는 담았지만,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를 직접 규탄하는 내용은 담지 못했다.

BBC와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G20 회원국들은 이날 ‘G20 뉴델리 리더 선언’이란 이름으로 공개한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 내 전쟁(War in Ukraine)으로 인한 인간의 고통과 국제 식량, 에너지 안보, 공급망, 금융 안정성 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한다”고 적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표현과 차이가 크다. 당시엔 “러시아 연방의 우크라이나 침략(Aggression by the Russian Federation against Ukraine)”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을 비난하는 유엔 결의안을 인용한 것이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회원국은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을 강력히 비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9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공개한 공동성명 중 우크라이나 전쟁을 다룬 부분. 해당 전쟁을 ″우크라이나 전쟁″이라고 규정하고 ″현 상황의 평가에 대한 다른 시각이 있다″고 설명했다. G20 홈페이지 캡처

하지만 1년 가까이 지나 열린 G20 정상회의 공동성명에선 침략(aggression)이란 단어가 빠지고, 전쟁을 규정하는 단어도 우크라이나를 향한 전쟁(the war against Ukraine)이 아니라 “우크라이나 내 전쟁(the war in Ukraine)”으로 바뀌었다. FT는 “바뀐 표현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중 누가 전쟁에 책임이 있는지 따지지 않고 양측이 같은 비중으로 연루된 것처럼 암시하는 것이라 당초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이 거부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중국 반대에 ‘침략’ 표현 빼”


9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
공동성명 표현이 완화된 건 러시아와 중국 때문이다. AP통신은 “러시아와 중국은 지난해 발리 G20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표현에도 반대했다”고 전했다.

외신들이 이번 선언을 서방 외교의 실패라고 평가한 이유다. FT는 “이번 선언은 지난 1년간 개발도상국들이 모스크바를 비난하고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도록 설득한 서방 국가들에 타격을 입혔다”고 전했다. BBC도 “러시아의 침략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 건 서방의 지지자들이 이 전쟁을 어떻게 규정할지를 놓고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남반구 국가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아프리카·남미·오세아니아 개발도상국들)’와의 논쟁에서 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이번 공동성명에선 “(G20 정상들은) 전 세계 식량과 에너지 안보와 관련해 인간의 고통 그리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추가한 부정적 영향을 강조했다”고 밝히면서도 “이 상황에 대한 다른 견해와 평가가 있다”는 러시아를 옹호하는 듯한 표현이 추가됐다.


서방 “흑해곡물협정 압박 등 성과”


9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 마하트마 간디 추모공원에서 열린 G20 정상들의 헌화 행사에 참석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방은 이러한 공동성명이 타협의 산물이라는 입장이다. 러시아에 대한 비난을 삭제하는 대신 러시아의 흑해곡물협정 복귀를 촉구하거나 핵무기 사용이나 사용 위협을 인정할 수 없다는 방침을 재확인하는 등 실용적 성과를 도출했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서방 관리는 FT에 “우리가 가진 선택지는 공동선언문을 도출하거나 도출하지 않는 것뿐이었다”며 “합의가 정답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도 “러시아의 흑해 곡물 협정 복귀 요구나, 국가의 영토 보전을 존중하는 유엔 헌장 원칙을 채택한 건 강력한 결과”라고 말했다.


중국 “2026년 미국 G20 정상회의 개최 반대”


9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에서 리창 중국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한편 중국은 비공개 외교회담에서 미국이 2026년 G20 의장국으로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은 반대 사유는 밝히지 않고, 이의 제기가 있었음을 기록으로 남겨달라고 요구했다고 전해졌다. G20 정상회의는 2008년 미국에서 첫 회의가 개최됐다. 2025년이면 모든 회원국이 한 차례 이상 정상회의를 개최한다. 순번대로라면 미국은 2024년 브라질, 2025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다음으로 의장국을 맡게 된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