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염수가 앗아갈 장면, 똑똑히 보십시오
[최지혜 기자]
처음으로 아이에게 바다를 보여준 날을 기억한다. 육아에 지친 어느 주말 여름, 문득 바다가 보고 싶었다. 어디를 갈까 고민하다 즉흥적으로 군산 선유도를 찾았다. 집에서 한 시간 반 정도라 당일치기로도 부담이 없는 거리였다.
바다에 도착해 살짝 발을 담가보니 생각보다 물이 차가웠다. 아무리 여름이라 해도 돌이 갓 지난 아이에게 해수욕은 무리처럼 보였다. 수영복이며 튜브며 제대로 된 장비도 없었던 터라 이번엔 바닷물에 손이나 한번 대보는 것에서 만족해야지 싶었다.
여기가 책에서만 보던 그 바다라고 설명하자, 아이는 조심스레 바닷물에 손을 넣었다. 그렇게 몇 번 물을 튕기는가 싶더니 털썩 자리에 주저 않는 게 아닌가. 아뿔싸! 미처 잡을 새도 없었다. '그래, 바지 좀 젖으면 어때. 갈아입히면 되지.' 체념하고 있는데 아이가 일어나다가 그만 앞으로 고꾸라지고 말았다.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놀란 남편은 물 먹은 아이를 허겁지겁 안아 들고 밖으로 나왔다. 평소 같으면 자지러지게 울 판인데 아이는 생각보다 멀쩡(?)했다. 그저 자신을 놓아 달라고 발버둥 칠 뿐이었다. 바다 쪽으로 몸을 돌리면서 어찌나 필사적이던지.
그 후로도 시도 때도 없이 바닷물과 모래가 아이의 입속으로 들어갔다. 걱정하는 부모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아이는 아랑곳하지 않고 꺄르르륵 웃으며 처음 만나는 바다를 마음껏 즐겼다.
그렇게 아이가 자라는 동안 바다는 좋은 친구가 되어 주었다. 지난여름 제주의 협재 해변에서는 1일 3번 물놀이를 실천하며 엄마, 아빠의 체력과 인내심을 시험하기도 했다. 모래놀이며 고둥 잡기며 놀 것이 천지인 곳. 아이에게 바다는 최고의 놀이터였다.
나 역시 어릴 때 바다에서 놀았던 기억이 생생하다. 아빠에게 매달려 깊은 바다에 들어갔을 때의 짜릿함과 튜브 위를 둥둥 떠다닐 때의 자유함. 뙤약볕 아래 새카맣게 타다 못해 등껍질이 다 까져도 상관없었다. 시원한 수박과 뜨끈한 옥수수를 양식 삼아 하루종일 바다를 즐겼다. 물론 바다에 빠져 죽을 뻔한 아찔한 기억도 난다. 그래도 바다는 언제나 그립고 가고 싶은 장소였다.
당신에게 바다는 어떤 의미인가요?
그림책 <해변과 바다>는 사람들에게 바다가 어떤 의미인지 잘 보여주는 그림책이다. 그림을 쪼개지 않고 양쪽의 펼침면 전체를 활용해 바다와 사람들의 모습을 시원하게 그려냈다.
그림책은 사람들이 썰물의 모래밭에서 노는 장면에서 시작해 점차 물이 차오르는 모습을 차례대로 보여준다. 썰물과 밀물의 사이에서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바다를 즐긴다. 해변에서 조개를 잡기도 하고, 파라솔 아래에서 책을 읽기도 한다.
▲ 표지 바다와 모래밭을 연상시키는 색감을 이용한 표지 |
ⓒ 그림책공작소 |
<해변과 바다>는 그림책의 물성을 잘 활용한 그림책이다. 가로 26.5cm, 세로 35cm이라는 제법 큰 판형을 택해 넓은 바다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담아냈다. 또한 딱딱한 양장이 아니라, 말랑 말랑한 페이퍼백으로 되어 있어 손으로 책을 만지면서도 바다의 유연함을 느낄 수 있다.
▲ 썰물과 밀물 점차 바닷물이 차오르며 변하는 해변과 사람들의 모습 |
ⓒ 그림책공작소 |
이 그림책은 부모들이 호완마마보다(?) 무서워한다는 글 없는 그림책이기도 하다. 보통 부모들은 아이가 글 없는 그림책을 가져오면 읽어줄 게 없어, 혹은 어떻게 읽어줘야 할지 몰라 멘붕이 온다는데, 두려움을 거두시라.
▲ 펼침면을 가득채운 그림책의 한 장면 바다위에 둥둥 떠 있는 사람의 모습이 자유로워 보인다 |
ⓒ 그림책공작소 |
그림책 <해변과 바다>의 가장 큰 미덕은 한 장 한 장 책장을 넘길 때마다 우리 각자가 간직한 바다에서의 추억이 자연스레 떠오른다는 것이다. 스노클링 하면서 봤던 총천연색의 산호초와 바다 위에 둥둥 떠 있었을 때 느꼈던 평안함. 이 책을 읽고 나면 바다가 보고 싶다. 바다에 가고 싶어진다.
바다를 생각할 때마다 떠오르는 핵오염수
지난 8월 24일 기어이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를 시작했다. 중국과 홍콩은 즉각적으로 일본 수산물 수입 전면 금지를 발표했다. 많은 사람들이 방류 전부터 소금을 사재기했다. 어떤 이들은 김이나 미역 같이 오래 보관이 가능한 해조류를 미리 사두기도 했다. 하지만 입으로 들어가는 해산물만 조심하면 될 일일까.
이제 더 이상 바다는 우리가 사랑하던 그곳이 아니다. 바다를 생각하면 자연스레 핵오염수가 떠오른다. 무섭고, 두렵다. 어떤 이들에겐 지금 당장 피부에 와닿지 않는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아직은 우리 바다까지 오지 않았으니 시간이 더 있다고 생각하는가?
하지만 머지않아 '바다 보러 가자'라고 말할 때의 해방감은 사라질 것이다. 먼바다를 바라볼 때도 걱정스러운 마음부터 들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의 아이들은 앞으로 마음 놓고 바다를 즐길 수 없게 되었다.
▲ 그림책의 마지막 펼침면 바닷속을 유유히 헤엄치는 물고기 떼는 말한다. 바다의 주인은 인간이 아니라고. |
ⓒ 최지혜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개인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법무부의 황당한 업무추진비 공개... '한동훈' 이름도 지울 건가?
- 최은순 일가 "셀 수도 없이 많이" 고발한 이 사람, 왜?
- '김만배-신학림 대화'에 정권 다 걸었나... 왜?
- '문재인 부친도 친일파 아니냐'는 주장, 의도는 다른 데 있다
- '2020년 윤석열 사례와 비슷하다'고 묻자, 박정훈 대령의 반응
- 오염수를 '처리수'로 부르자는 의원들, 기가 막혀서
- 얄팍한 마음에... '시'를 이렇게 써먹었다
- 악성민원으로 힘들어 하다가... 대전 초등교사 사망
- 국힘 '김만배-신학림 대화 통째 공개'에도 "모든 의혹, 이재명 향해"
- "김건희 여사와 셀카 찍는 대통령실 기자들, 그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