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광장에서 열리는 이런 전시 다시 보기 힘듭니다 [앤디의 어반스케치 이야기]

오창환 2023. 9. 7. 08: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월 29일까지 열리는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오창환 기자]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전경. 오른쪽 천막 아래 보이는 것이 <서울 드로잉 테이블>이고, 그 뒤가 <히늘소>다. 왼쪽 설치물은 <건축의 소리>이고 그 뒤로 보이는 언덕이 <땅소>다. 색연필로 그렸다.
ⓒ 오창환
 
조선을 건국하면서 경복궁을 지었는데, 지세가 약한 동쪽을 보완하기 위해서 경복궁과 안국동 사이에 소나무 숲을 조성했다. 사람들은 그곳을 솔고개, 혹은 송현(松峴)이라 불렀다. 일제강점기에는 대표적인 친일파 윤덕영과 윤택영 형제의 저택이 이곳에 있었다고 하고 해방 후에는 1997년까지 미국 대사관 직원 숙소로 사용되었다.

이후 삼성그룹과 대한항공이 땅을 매입했으나 규제가 많고 기업이 활용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곳이라 서울시가 매입하게 되었고 결국 이곳에 이건희 기증관을 짓기로 결정되었다. 최고의 입지에 최선의 결정인 것 같다.

이에 지난 2022년 10월부터 미술관이 본격적으로 건설되기 전인 2024년 상반기까지 송현 녹지광장(아래 송현광장)을 조성해서 시민에게 개방하기로 했다. 지난 6월 어반스케쳐스 서울 정기 모임을 송현광장에서 했다.

그런데 광장 한 곳에 건설용 비계로 만든 거대한 전망대가 있어서 안내하는 분에게 물어보니 9월에 시작되는 건축비엔날레에 사용하기 위해 미리 지어 놓았다고 한다. 그때도 전망대는 개방하고 있어서 높은 곳에 올라가서 사방으로 탁 트인 서울 도심을 감상할 수 있었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서울을 중심으로 세계 도시의 현안과 대안을 모색하는 행사로 2017년 처음 시작해 올해로 4회째를 맞는다. 이번 전시의 주제는 '땅의 도시 땅의 건축'으로 9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송현광장,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열린다. 

비엔날레는 2년에 한 번씩 하는 행사를 말하는데, 매회 하기에는 너무 부담스럽고 월드컵처럼 4년 만에 하기에는 공백이 너무 긴 경우 비엔날레를 하는 경우가 많다. 흥미롭게도 베니스 비엔날레나 광주 비엔날레처럼 미술 전시는 비엔날레가 많다.

송현광장은 이번 전시의 주요 전시장으로 사용되는데, 아마도 건축비엔날레를 서울의 핵심 요지에서 이렇게 큰 규모로 할 수 있는 경우는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 같다. 전시 주최 측에서도 이런 특별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했을 것이다.
 
 위 사진이 <하늘소>이고 아래 사진은 하늘소에 올라가서 <땅소>를 내려다 보고 찍은 사진이다.
ⓒ 오창환
 
송현광장에는 이번 전시의 주제를 표현하는 건축적인 조형물들을 설치했는데, 이를 파빌리온(Pavilion)이라고 한다. 파빌리온은 원래 정자(亭子)라는 뜻인데 박람회나 미술 전시장에서 일시적으로 만든 건축물을 말한다.

앞서 말한 건축 비계를 이용한 전망대 앞에는, 이런 전시에서는 이례적으로 호수를 파서 물을 채운 후 주변에 언덕을 만들어 놓았다. 높은 전망대가 '하늘소'(所)이고 호수가 '땅소'(所)다. 여기서 소(所)란 장소를 말한다. 높은 곳과 낮은 곳을 두루 아우르는 뜻으로 이 행사의 총감독인 조병수 건축가의 작품이다. 

하늘소, 땅소 외에도 광장 곳곳에 6개의 파빌리온이 있는데, 모두 특색이 있고 흥미롭다. 광장 전체에 명상적인 소리가 울려 퍼지는데, 광장 가운데 설치된 파빌리온 Sound of Archtecture(건축의 소리)에서 나오는 소리다.

이탈리아 USI 대학 교수와 학생들이 디자인한 소리 공명 장치인데 인상적이다. 각 파빌리온은 설치물인 동시에 건축물이기도 하니까 겉에서만 보지 말고 반드시 안으로 들어가서 밖을 보라고 말하고 싶다.

송현광장은 탁 트여있어 보기에는 좋지만, 그늘이 없는 게 단점이다. 뜨거운 여름에는 오래 머무르기가 힘들다. 그런데 하늘소 뒤편 <서울 드로잉 테이블> 파빌리온 뒤에 그늘막 텐트를 치고 의자를 갖다 놓은 게 아닌가.

그늘막 텐트를 보는 순간 거기서 그려야겠다고 생각했다. 다소 이른 시간이라 텐트 아래는 시원했다. 하늘소와 땅소 그리고 Sound of Archtecture(건축의 소리)가 한눈에 들어왔다. 오랜만에 색연필로 그리고 안내소에 비치된 스탬프를 찍었다.

송현광장을 찾은 날은 월요일(9월 4일)이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이 휴관이었다. 내친김에 다음날 정동 성공회 성당 앞에 있는 서울도시건축전시관과 지하 통로로 연결된 서울 시청 시민청을 찾았다.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지하 2층에서는 <서울 그린 네트워크>를 주제로 서울의 100년 후를 내다보는 마스터플랜 제시하고 있고, 지하 3층에서는 <게스트 시티 전/ 패럴렐 그라운드 : 도시의 활력을 만드는 밀도와 공공성>을 주제로 세계 각국의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전시를 전체적으로 둘러 본 소감은 전시가 일반 관객에게 다소 불친절해서 아쉬웠다. 안내 리플릿은 한글과 영어가 병기되어 있는데 글자도 너무 작고 이해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전시물 중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시되는 것과 실행된 것들이 혼재되어 있어서 각 논의 들이 어떤 차원에서 제기되는지 쉽게 구별이 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전시 설명이 너무 현학적이어서 이해하기 힘들었다. 

건축계에서는 공모전이 많은데, 공모전에서는 제출하는 사람이나 심사하는 사람 모두 건축 전문가들이라 그들만의 언어로 소통하는 것이 문제될 것이 없겠지만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비엔날레에서 전문가들만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는 10시, 12시, 3시, 5시에 도슨트의 해설이 있다. 해설을 들으면 어느 정도는 이해는 되니까 반드시 해설을 들으라고 말하고 싶다. 해설은 원래 예약을 해야 하지만 내가 갔을 때는 해설을 듣는 사람이 2명밖에 안 돼서 그냥 따라다니며 들을 수 있었다.

이번 비엔날레는 많은 내용을 야심 차게 준비한 듯해서 시간이 되면 더 자세히 보고 싶기는 하다. 게다가 건축전문가들의 전시이니 만큼 전시를 구성하고 설치한 것은 진짜 멋지다!
 
  서울도시건축전시관 <게스트 시티>전 전경이다. 전시 설치가 멋지다.
ⓒ 오창환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