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희생양? 무계획의 업보?…빚덩이 20대, "쉬운 대출이 문제"

오효정 2023. 9. 6. 18: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교 졸업 후 식당에서 일하던 20대 A씨는 2021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해고됐다. 대부업체로부터 돈을 빌려 트럭을 장만한 후 택배 일을 시작했지만, 몇 달도 안돼 몸을 다쳐 그만둬야 했다. 건강을 회복해 다시 세차 일을 시작한 A씨에겐 그간 쌓인 카드빚까지 더해 약 8000만원의 빚이 남았다.

3년 전 취업에 성공하자마자 코인·주식 투자를 시작한 20대 B씨. 손실이 커질수록 다시 수익을 내서 막으면 된다는 생각에 카드론으로 투자액을 계속해서 늘려왔다. 이른바 '빚투'다. 그동안 쌓인 빚이 1억원에 이르자 주말 단기 아르바이트까지 뛰며 이자를 내고 있다.

취업난·고금리의 희생양인가, 무계획 대출의 업보인가. A씨와 B씨가 서로 다른 이유로 대출을 받았듯, 빚더미에 앉은 20대를 바라보는 시선도 두 갈래로 나뉜다. 하지만 전문가는 이들이 쉽게 ‘빚’이라는 수단을 선택하는 현상이 핵심이라고 본다. 청년이 리스크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면 시스템을 통해 걸러줄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김영옥 기자

최근 각종 데이터는 20대 부채의 위험 신호를 깜빡이고 있다. 올해 1~6월 신용회복위원회 개인 워크아웃을 통해 빚을 탕감받은 20대는 4654명으로 최근 5년 새 최대다. 한 달에 1만원 안팎의 이자를 내지 못하는 20대도 늘었다. 한도 100만원인 소액생계비 대출을 받은 20대 중 이자를 내지 못한 경우가 지난달 초까지 24.5%로 집계됐다. 전체 연령대 미납률(14.1%)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다.

2분기 말 19개 은행의 20대 이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44%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30대(0.17%)·40대(0.21%)·50대(0.20%) 등 보다 현저히 높다. 지난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9세 이하 가구주의 평균 부채는 5014만원으로 전년 대비 1464만원 늘어 증가율은 41.2%를 기록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도 49.3%로 전체 평균(21.8%)보다 높다. 신용등급이 낮아 제1금융권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제2금융권을 이용하는 비중도 높게 나타난다.

한국은행은 6월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20대 대출자에 대해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 대출 비중이 과거에 비해 높다"며 "향후에도 연체율이 예상보다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김영옥 기자

일자리가 있으면 빚을 갚을 길이 생긴다. 하지만 7월 20대 고용률은 61.4%로 29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고용시장도 불안정하다. 이원익 부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논문에서 "청년층에게 취업 전 발생한 부채는 첫 일자리 임금수준을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부채보유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했다. 부채상환 부담을 느낀 청년이 체계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지 못하고 불안정한 일자리를 선택해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회생 전문 변호사는 "20대는 상환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못한 상태에서 일단 빌리고 보자는 마음으로 대출을 하는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계 당국이 관련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생계형 대출’도 아닌 ‘무계획 대출’까지 사회가 도와야 하느냐”하는 비판이 따라다니는 이유다.

하지만 현실에서 '생계형 대출'과 '무계획 대출'을 나누기엔 경계가 모호하다. 생계유지에 허덕이던 청년들이 빠르게 돈을 벌겠다는 생각에 ‘빚투’를 선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아서다. 20대 청년 C씨도 중앙일보와 만나 "부모님 암 발병 소식을 듣게 된 뒤 집안 형편이 어려워지자 급한 마음에 카드론으로 주식 투자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노혜진 강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등은 최근 논문에서 “채무를 가진 청년은 주어진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갈망에서 ‘빚’을 수단으로 삼아 각자의 도전을 시도한다”고 분석했다. 또 “투자하지 않으면 나만 손해라는 인식은 청년세대에서 공공연하게 발견된다”며 “상승장에서 나만 소외될지 모른다는 공포인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라는 단어가 이를 대변한다”고 지적했다.

노 교수 등의 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은 ▶인터넷 검색 후 상위 목록에 뜬 업체에서 전화로 대출을 받거나 ▶사용 목적이 뚜렷하지 않은데도 일단 햇살론을 받는 등 위험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20대는 다른 세대와 달리 자산 가격 하락이나 금리 상승 시기를 경험해본 적 없는 세대다. 청년 대상 금융역량 교육 필요성이 대두하는 이유다. 20대를 원만하게 경제활동에 복귀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서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청년이 책임질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대출을 받는 경우에는 금융회사에서 리스크를 평가해 자율적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은 금융회사가 지나치게 단기 수익을 추구하면서 리스크에 둔감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빚을 내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정책을 확대하는 등의 근본적인 해결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오효정 기자 oh.hyoj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