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금속의 보고’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 뜬다… 선점경쟁 ‘후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형 폐배터리 시장이 열리고 있다.
현재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은 걸음마 단계다.
광물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기차용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전자 폐기물의 재활용은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전기차 폐배터리가 쏟아지는 시점이 오면 물량 확보 능력이 곧 경쟁력이다. 자회사인 테스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기초한 폐기물 수거역량이 빛을 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형 폐배터리 시장이 열리고 있다. 전기차 판매 급증과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가 불을 지핀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산업 금속’의 안정적 확보도 중요해졌다. 폐배터리 재활용이 경제안보의 성격까지 띠게 된 것이다.
현재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은 걸음마 단계다. 완성차 업체, 이차전지 셀 및 소재 기업, 재활용 전문기업 등이 합종연횡하며 치열한 선점 경쟁을 벌이는 중이다.
산업계는 ‘폭발적 잠재력’에 주목한다. 폐가전 및 모바일(IT) 기기 재활용에 주력해온 전기·전자 폐기물(E-Waste) 기업들은 앞다퉈 사업 확장에 돌입했다. 대기업들은 전기·전자 폐기물 기업들에 손을 내밀고 있다.
6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의 전기차 폐차 대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포함)는 2025년 56만대에서 2040년 4227만대로 폭증할 전망이다. 이에 비례해 폐배터리 발생량은 같은 기간에 44기가와트시(GWh)에서 2040년 3339GWh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산된다. 폐배터리를 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건 불가피하게 되는 셈이다.
각국은 이미 썼던 원재료를 다시 쓰는 데 주목한다. 폐배터리에서 희귀금속 등을 뽑아내는 방식이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 범위에 ‘현지에서 추출한 폐배터리 정제 광물’을 포함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6월에 배터리 재사용 의무화를 명시한 ‘지속가능한 배터리법’을 승인했다. 교보증권 최보영 수석연구원은 “새로운 공급망 사슬을 구축하려면 안정적 원재료 조달이 필수적이다.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썼던 원재료를 재활용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폐가전, 폐스마트폰 등에서 희귀금속이나 플라스틱을 뽑아내는 사업은 그동안 낮은 경제성으로 고전했다. 하지만 전기차로의 급속한 전환이 상황을 바꿨다. 광물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기차용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전자 폐기물의 재활용은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들은 전기·전자 폐기물 재활용 기업과 잇따라 손을 잡는 중이다. 폐배터리 수급처와 추출 희귀금속 납품처를 최대한 많이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단독 진출보다는 협업에 무게를 둔다. 이에 따라 지분 투자, 계열사 내 협력, 업무협약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이 활발하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테스(Tes)’ 지분을 100% 인수했다. 테스는 23개 국가에서 46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기·전자 폐기물 전문기업이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전기차 폐배터리가 쏟아지는 시점이 오면 물량 확보 능력이 곧 경쟁력이다. 자회사인 테스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기초한 폐기물 수거역량이 빛을 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젤협약에 따라 수거한 폐기물을 국경 너머 재활용 시설로 옮기려면 ‘바젤 허가’(Basel Permit)가 필요하다. 테스는 이미 20여개 국가에서 바젤 허가를 획득했다.
삼성SDI는 재활용 전문기업인 성일하이텍의 지분 약 9%를 보유 중이다. SK온 역시 지난해 12월 성일하이텍과 폐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성일하이텍은 전기차, 휴대전화,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서 유가금속을 추출한다.
또한 전기·전자 폐기물 재활용 기업은 ‘수거→전처리(물리적 해체)→후처리(화학적 추출)’의 공정 경험을 축적했다는 강점을 지닌다. 전처리 시설 인허가·시공·운영 경험을 보유한 기업의 몸값은 높다. 삼성증권 이경자 수석연구원은 “한국에서 전처리 공정은 환경법에 따라 인허가가 결정된다. 진입장벽이 높다”고 설명했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男 33.7세 女 31.3세…초혼 연령 작년보다 더 올라
- 제주서 가축분뇨 1500t ‘콸콸’…업체 대표 구속 [영상]
- 폐식용유로 대한항공 비행기 난다… 인천∼LA 시범운항
- 7억대 마약 밀수 고교생 “마피아 집안 아들이 시켰어”
- “돌아가기 귀찮아서”…만리장성 무너뜨린 中인부들
- 서울광장 땅속에 비밀공간 있었다…용도는 수수께끼
- ‘진흙탕에 7만명 고립’ 美 네바다 사막서 대탈출 시작
- ‘홍범도’ 답 피한 한국사 일타 전한길…“2찍이냐” 불똥
- 옷 훌렁, 손 힘 풀려 폰 털썩…식당 주인 살해후 포착
- ‘안 가요, 안 가’… 중국 간 여행객, 코로나 이전의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