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도난은 현대 탓" NYT 역풍…독자들 "뭔 소리, 도둑 탓이지"

임주형 2023. 9. 5. 16: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에 "현대, 기아차가 차량 절도 범죄를 조장한 측면이 있다"는 취지의 기사가 올라오면서 논란이 들끓고 있다.

그는 "시애틀에서 8월 발생한 차량 절도의 3분의 1이 현대, 기아차"였다며 "차량 도난은 소비자 피해를 넘어 범죄자들이 훔친 차로 총기 난사, 마약 거래, 교통사고 등을 일으키기에 막대한 사회 비용을 지불케 한다"라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車 도난 사건' 두고 칼럼 게재
"차량 훔치기 쉬워" 취지에 반발

미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에 "현대, 기아차가 차량 절도 범죄를 조장한 측면이 있다"는 취지의 기사가 올라오면서 논란이 들끓고 있다. 구독자들은 "범죄가 아니라 애꿎은 차량 제조업체를 비난하는 거냐"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해당 기사는 지난 3일(현지시간) NYT 고정 칼럼니스트 파해드 맨주가 작성한 것이다. 맨주는 "미국 한 씽크탱크가 37개 도시에서 최근 발생한 범죄 발생 건수를 분석해 보니, 유독 '차량 도난'만 올해 상반기에 작년보다 33.5% 증가했다"라고 지적했다.

여러 자료 및 경찰들의 발언을 취합한 맨주가 내놓은 결론은 이랬다. "그 이유는 수백만대의 기아, 현대 차량은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훔치기 쉽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 대부분은 자동차 키의 무선 ID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시동이 걸린다. 하지만 이런 도난 방지 시스템은 의무 탑재 옵션이 아니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가 다른 차량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도난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아차, 현대차를 노려 훔치던 10대 청소년 집단인 일명 '기아 보이즈'. [이미지출처=유튜브]

맨주는 구체적인 데이터도 제시했다. 그는 "시애틀에서 8월 발생한 차량 절도의 3분의 1이 현대, 기아차"였다며 "차량 도난은 소비자 피해를 넘어 범죄자들이 훔친 차로 총기 난사, 마약 거래, 교통사고 등을 일으키기에 막대한 사회 비용을 지불케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5월 볼티모어 차량 도난 사건 중 41%, 클리블랜드의 올해 도난 사건 중 57%가 현대차와 기아차였다는 통계도 제시했다.

그러나 해당 칼럼은 일부 독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차량 도난 사건이 벌어지는 원인을 범죄자가 아닌 제조업체에 묻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지난 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올라온 기사. "기아와 현대가 '차량 도난 범죄의 파도'를 도운 측면이 있으며, 그들은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겼다. [이미지출처=NYT]

NYT는 기사나 칼럼 웹페이지에 회원들이 게재할 수 있는 댓글란을 운영한다. 현재 이 댓글 중 가장 많은 추천 수를 받은 글은 "범죄자를 탓하지 않고 피해자를 탓한다"였다. 이 외에도 "의무도 아닌 ID 인증 장치를 미설치한 게 왜 기업 잘못이냐", "범죄자에게 책임을 묻지 않으니까 범죄자가 계속 활개 치는 건 아닌가" 등 댓글이 달렸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차량 도난으로 인해 피해를 본 미국 내 차량 소유주에 2억달러 규모의 합의안을 제안했다. 차량을 되찾지 못한 소유주, 도난 시도로 차량이 손상되거나 개인 소지품을 분실한 소유주에 각각 6125달러, 3375달러가 지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국 캘리포니아 중앙지방법원이 지난달 15일 해당 집단 소송과 관련, 현대차의 합의안 승인을 보류하면서 재판은 더 길어질 전망이다. 법원 측은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한 향후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관련 설명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