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똥 때문에? 국보 석탑을 유리집에 모신 까닭
원각사는 지금 탑골공원 자리에 있었던 절로, 조선 세조 11년(1465)에 세워졌다. 조선 시대 숭유억불 정책 속에서도 중요한 사찰로 보호되어 오다가 1504년 연산군이 이곳을 ‘연방원(聯芳院)’이라는 이름의 기생집으로 만들면서 절은 없어지고 석탑만 남게 되었다. 높이가 12m에 달하는 훤칠함과 풍부한 표현장식이 어우러진 원각사지 십층석탑은 1962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갈수록 표면 훼손이 심해져서 서울시는 문화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2000년 유리로 탑을 완전히 덮어씌웠다.
원각사지 십층석탑은 보통 화강암인 우리나라 석탑과는 다르게,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탓에 풍파에 비교적 취약하다. 특히 최근 대기오염으로 잦아진 산성비는 대리석의 주성분인 석회와 반응하여 탑 표면을 서서히 녹인다. 산성비는 화산 폭발과 같은 자연적인 요인으로 생긴다. 하지만, 자연 발생 산성비는 강도도 약하고 지속시간도 매우 짧아서 환경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문제는 공장과 자동차를 비롯하여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여기에 포함된 황과 질소 화합물이 공기에 있는 수증기와 반응하여 각각 황산과 질산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대기오염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복병까지 등장했다. 비둘기가 탑 위에 무리 지어 앉아서 일을 보곤 하는데, 이게 치명타가 되고 말았다. 잘 알다시피 자동차에 떨어진 새똥은 닦아내지 않고 내버려 두면 외장에 손상을 줄 만큼 부식성이 강하다. 정확히 말해서 새똥에 농축된 요산 때문이다. 요산은 물에 잘 녹지 않아서 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는데, 새똥의 허연 부분이 바로 요산이다.
새는 하늘을 난다. 보행과 비교하면 비행에는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래서 조류는 무게를 최대한 줄여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뼛속은 텅텅 비었고 창자도 짧아서 먹으면 빠르게 수시로 배변한다. 게다가 오줌을 저장하는 방광이 없어져서 오줌과 똥이 함께 나온다. 동물은 오줌을 통해 단백질 분해에서 나오는 질소 노폐물을 내보낸다. 동물이 배출하는 질소 노폐물에는 크게 세 가지, 암모니아와 요소, 요산이 있는데, 어떤 형태로 배출될지는 서식지에서 얻을 수 있는 물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생명체 안에서 질소 화합물이 분해되면, 일차적으로 암모니아가 생긴다.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한데, 다행히 물에 잘 녹는다. 따라서 물만 충분하다면 암모니아를 물에 녹은 상태로 그대로 배설하는 게 제일 좋다.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생물은 보통 그렇게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물이 부족한 육지에 사는 생물은 그럴 수가 없다. 포유류와 대부분 양서류는 암모니아 두 개를 결합하여 요소를 만들어 배출한다. 요소가 암모니아보다 독성이 훨씬 약하지만, 요소 생성에는 추가 에너지 투입이 따른다.
조류처럼 물을 많이 먹지 않는 육상동물은 요산을 만든다. 요산은 독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앞서 말한 대로, 물 용해도가 낮아 그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물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대가는 지급해야 한다. 요소를 만들 때보다도 더 많은 에너지를 부담해야 한다. 아무튼, 유리 집은 오랜 세월의 풍파로 지친 대리석 석탑을 산성비와 요산이라는 환경 스트레스에서 구하기 위한 궁여지책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피가 온 몸을 돈다'는 걸 처음 밝힌 이탈리아 의사
- 심장에서 뇌로… 르네상스의 '권력 이동'
- 몸에서 절로 술이 만들어지는 병… '자동양조증후군' 아세요?
- DNA구조 밝혀낸 여성 과학자, 노벨상 수상 못하고 요절한 이유
- CJ바이오사이언스, 美 면역항암학회서 ‘약물 반응성 AI 예측 모델’ 개발 성과 발표
- “아기 피부인 줄”… 34세 박보영, 모공 하나 없는 ‘관리 비결’은?
- 가천대 길병원 최성화 교수, 남동구 보건소서 부정맥 건강강좌 개최
- “왜 이렇게 공이 안 맞지?”… 서정희, 유방암 치료 회복 중 ‘어떤 운동’ 도전?
- “이민 간다” 퇴사하더니 영업비밀 빼돌린 前 한국콜마 직원, 결국…
- 이대목동병원, 미세 뇌수술 가능한 '카이메로' 로봇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