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의 꿈을 꾼 죄, 섬 제주 사람의 죽음
[박진우 기자]
소설 <순이삼촌>으로 제주4.3항쟁을 세상 밖으로 꺼낸 현기영 작가. 그가 새 장편소설 <제주도우다>의 출간을 기념하며 서울에서 작가와의 대화를 진행했다.
▲ <제주도우다> 작가와의 대담 9월 3일(일) 노무현센터에서 진행된 청년이 묻고 현기영이 답하는 이야기 마당 관계자들 |
ⓒ 박진우 |
문재인 전 대통령은 "<제주도우다>는 <순이삼촌>의 작가 현기영의 필생의 역작이며, 4.3 문학의 기념비적 작품입니다. 82세의 작가가 <순이삼촌>을 낸 지 45년 만에 이룬 문학적 성취가 놀랍습니다"라고 격찬한 바 있다. 그래서인지, 행사장은 젊은이들을 비롯해 제주4.3항쟁과 현기영 작가를 사랑하는 사람들로 가득 찼다.
<제주도우다>의 초입은 정조대왕(1790~1796)시기 제주의 흉년(凶年)과 기근(飢饉)으로 주민들이 죽어갈 때 가진 자의 사회적 책임(Noblesse Oblige)을 실현하기 위한 제주민의 노력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섬의 사상과 문화를 표현하면서 시작한다.
▲ <제주도우다> 작가와의 대담 9월 3일(일) 노무현센터에서 진행된 청년이 묻고 현기영이 답하는 이야기마당에서 낭송하는 현기영 작가 |
ⓒ 박진우 |
작가는 태평양전쟁의 종료로 등장한 '해방'을 이렇게 표현했다.
"등교할 때마다 등을 짓누르던 그 무거운 짐이 사라진 것이다. 다섯장 뗏장의 무게가 사라졌다는 사실이 너무도 놀랍고 기뻤다. 압박과 해방! 온몸을, 등을 짓누르던 그 무게가 압박이고, 그것이 사라져 몸과 마음이 날아갈 듯이 가볍고 홀가분해진 지금의 상태가 바로 해방(제1권 233쪽)"
죽음에서 해방된 사람들은 제일 먼저 학교를 짓는다. 그리고 새로운 세상에 대한 희망을 공부한다. 특히 제주민들의 가치를 독립국가가 아닌 "국가 속의 자치 공동체(2권 166쪽)"로 표현한다. 현 작가는 "제주인은 집단으로 사고하고, 집단으로 행동하는 것이 익숙하거든(2권 167쪽)"이라며, "우린 남도 아니고, 북도 아니고 제주도우다(2권 172쪽)"라는 문장을 통해 공동체의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
기미년(1919) 만세투쟁 28주년인 1947년 3월 1일 외친 구호는 남과 북의 "단독정부 반대"와 자주적인 독립을 위한 "미·소 양군철수"였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시 강제 공출을 강행하여 제주민들을 죽음의 문턱까지 몰고 갔던 "친일파 처단"과 "강제공출 반대"(2권 261쪽)도 있었다.
그러나 제주민들이 꿈꾼 공동체를 제주 밖의 세력은 부정했다. 경무부장 조병옥은 "제주도 사람들은 사상적으로 볼온하다. 건국에 저해가 된다면 싹 쓸어버릴 수도 있다"(2권 296쪽)라고 말한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재건되고 나서 9일 날에 대한민국의 국군 통수권이 주한미군에게 넘겨진다. 그해 10월 17일 제주에는 포고령이 내려지고 중산간 지역은 불바다가 될 것임이 알려진다. 11월이 되어 학살이 시작되었다.
현 작가는 "불길이 엄청났주, 하늘과 땅, 천지 사방이 시뻘겅했어(3권, 185쪽)"라며 중산간 마을을 대상으로 하는 초토화작전을 설명한다. 당시 중산간 마을 137곳이 완전히 사라졌다.
소설은 당시 군인과 경찰로 구성된 공권력이 섬 제주민들을 어떻게 죽였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제주4.3은 홀로코스트(Holocaust)이자 제노사이드(genocide)인 것이다. 국가가 인정한 전체 희생자 중에 10살 미만의 유아와 아이들 688명이 희생되었다(제주4.3사건추가진상조사보고서 88쪽). 16세 이상 45세 이하의 제주 남자들 50%가 죽임을 당했다.
▲ <제주도우다> 작가와의 대담 9월 3일(일) 노무현센터에서 진행된 청년이 묻고 현기영이 답하는 이야기 마당에서 서서 이야기 하는 현기영 작가 |
ⓒ 박진우 |
제주4.3의 가해자인 공권력이 가한 피해에 대해서는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설에서도 가해자들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가해자의 주체인 국가와 가해기관, 가해책임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제주4.3의 진실을 밝히는 것은 가해자에 대해서 공개하고 그들의 정치적 책임을 묻는 길이다.
▲ <제주도우다> 작가와의 대담 9월 3일(일) 노무현센터에서 진행된 청년이 묻고 현기영이 답하는 이야기 마당에서 제주출신 문희경 가수의 '옵서예' 공연 |
ⓒ 박진우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흰 국화 손에 든 검은 옷의 행렬... 학부모들, 자녀 손잡고 와 헌화
- 박정희조차 시도하지 못한 방식, 윤석열 정부 선 넘었다
- 일본인의 의문 "윤미향 의원이 왜 문제죠?"
- "1969년생인 저, 열심히 살았습니다... 제발 써주세요"
- 아내 몰래 15년간 이웃 여자의 누드를 그린 남자
- 의원·장관 5명 나온 고택, 하룻밤에 5만 원입니다
- 원전사고 때 난 일본에 있었다... 2011년과 2023년의 공통점
- "생태계·민주주의 파괴한 불의한 권력 압수수색하라"
- [오마이포토2023] 30분 이상 늘어선 줄... 시민들, 서이초 교사에 마지막 배웅
- 제주 모 교원단체 전 회장 숨진 채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