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가족] 뇌 혈류량 변화 확인해 ‘혼합형 치매’ 더 정확히 진단
병원리포트 세 브란스병원 신경과 예병석 교수팀
발병 유발하는 단백질이 혈류 영향
진행 빠른 혼합형 치매 치료에 도움
뇌 혈류량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혼합형 치매를 좀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예병석 교수·강석우 강사, 연세대 의대 뇌연구소 전세운 교수 연구팀은 뇌 혈류량의 증감에 따라 알츠하이머 치매와 루이소체 치매가 동시에 발병하는 혼합형 치매를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 Dementia)’ 최신호에 실렸다.
치매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병, 뇌혈관 질환 등 50가지가 넘는다.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원인 질환이 같이 발생하는 것을 혼합형 치매라고 한다. 주로 알츠하이머병과 루이소체병이 동시에 발병한다. 혼합형 치매를 앓으면 하나의 원인 질환으로만 치매가 발생한 단독형 치매 환자보다 인지 기능과 신체 기능의 저하 속도가 더 빠르다. 전체 치매 환자의 50% 정도가 혼합형 치매를 앓지만, 대부분 혼합형 치매가 아닌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받는 것에 그친다. 루이소체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침착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가 없기 때문이다.
조기 진단·치료로 예후 개선에 도움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 속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뇌에 쌓여 측두엽과 같이 기억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루이소체병은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뇌 안에 쌓이면서 신경세포를 공격해 도파민 분비를 감소시키고 환시, 인지 기능의 기복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 등록된 치매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를 진행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과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인한 도파민 분비 저하가 뇌 혈류량 증감 및 치매 증상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두 단백질이 각기 다른 뇌 부위의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은 내측두엽 혈류를 감소시켰고,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인한 도파민 기능 저하는 해마 혈류를 증가시켰다.
이런 혈류 변화는 특정한 증상을 야기했다. 내측두엽 혈류 감소는 기억력 저하 등 전반적인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한 반면, 해마 부위 혈류 증가는 집중력, 시공간 기능의 저하를 보이는 인지 기능의 변동과 환시를 일으켰다.
연구진은 각 질환을 유발하는 단백질 때문에 발생하는 혈류량 변화 차이가 혼합형 치매 발병을 확인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예병석 교수는 “혼합형 치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이 다양해 정확하게 진단을 내리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단독형 치매 환자보다 인지·신체 기능이 떨어지는 속도가 빠른 혼합형 치매 환자에게 조기 진단·치료를 진행해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5만원 여관방, 생선 날랐다…‘조폭 에이스’ 마흔에 닥친 일 | 중앙일보
- '칼각 질서' 빛난 20만 교사집회..."또 보자" 경찰이 인사 건넸다 | 중앙일보
- 밤 되면 사라진다…보온병도 의심 받는 '이재명표 단식' 논란 | 중앙일보
- 롤스로이스男 '또래 모임' 조폭? 집에서 의문의 1억 돈다발 | 중앙일보
- "마약 안 걸리려면 우리한테 와라"…하얀 가운, 수상한 그들 [마약상 된 의사들①] | 중앙일보
- 악몽 된 축제…美사막 한복판 7만명 고립·1명 사망, 무슨일 | 중앙일보
- 인생 첫 캐릭터가 '못생긴 여자'…1000:1 뚫은 '마스크걸' 그녀 | 중앙일보
- 경기 용인서 고교 교사 숨진 채 발견…"학부모 민원 스트레스" | 중앙일보
- "구금되면 어떡해"…관광객 발길 끊긴 中 "외국인 보면 신기" | 중앙일보
- "너무 똑같잖아" 삼성·LG 나란히…닮은꼴 가전 띄우며 신경전 [IFA 2023]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