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칼럼] 농업·푸드테크 ‘동반성장 고속도로’ 닦으려면
식품 소비 흐름이 건강과 환경 중시, 개인 맞춤형·비대면 선호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카페나 식당 등에서 쉽게 접하는 주문 키오스크, 조리·서빙 로봇 외에도 식물성 대체식품, 온라인 유통플랫폼 등 ‘푸드테크(FoodTech)’는 우리 일상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2020년 세계 푸드테크 시장 규모는 5542억 달러로 2017년부터 연평균 40% 가까이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수많은 청년들이 푸드테크 산업에 진출해 있고,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유니콘 기업’도 2022년까지 이미 3개 탄생했다. 앞으로 푸드테크 산업이 더욱 성장하면 더 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대체식품·조리 로봇 등 다양한 상품의 해외 수출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이런 흐름에 맞춰 지난해 12월 ‘푸드테크산업 발전 방안’을 마련했고, 2027년까지 푸드테크 유니콘 기업 30개 육성, 수출 규모 20억 달러 달성을 위해 자금 지원, 인력 육성, 연구개발(R&D), 수출 지원 등도 추진 중이다.
푸드테크 산업 발전이 식품산업 외연 확대, 경제활력 제고 등의 의미만 있는 것은 아니다. 푸드테크는 농업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실제로 농업과 푸드테크 간의 상생 사례는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대표적인 농식품 유통플랫폼 ‘컬리’는 ‘희소가치 프로젝트’를 통해 매달 새로운 품종의 채소나 과일을 엄선해 판매하고 있다. 현재까지 90여 종의 특색 있는 국산 농·축산물을 시장에 선보여 지역 소규모 농가들의 판로 확대에 큰 힘이 되고 있다. 농식품 유통업체 ‘록야’는 작물별 가격 예측 플랫폼을 개발해 농가와의 계약재배에 활용하고 있으며, ‘엔티’는 건강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와 전국의 나물 농가를 연결해 배송하는 나물 정기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농가와 푸드테크가 상생하고 있는 사례다.
국산 원료 수요를 확대한 사례도 있다. 식물성 마요네즈 등 대체식품을 개발하는 ‘더플랜잇’은 국산 신품종 ‘하영콩’을 농가와 계약재배하고 있으며, 밀키트 등 간편식 시장 확대와 함께 국산 원료 사용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농업과 푸드테크 산업의 상생 발전을 위해 계약재배 중계플랫폼 구축, 밀·콩 등 원료 생산단지 확대, 상생 우수기업 포상 등 정책 지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2024년 푸드테크 관련 정부 예산안을 올해보다 63억원 증가한 639억원으로 확대 편성했으며, 2026년까지 총사업비 315억원 규모의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건립도 추진한다. 앞으로도 농업과 푸드테크산업 간 동반성장의 탄탄대로를 닦는데 필요한 정책 발굴,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5만원 여관방, 생선 날랐다…‘조폭 에이스’ 마흔에 닥친 일 | 중앙일보
- '칼각 질서' 빛난 20만 교사집회..."또 보자" 경찰이 인사 건넸다 | 중앙일보
- 밤 되면 사라진다…보온병도 의심 받는 '이재명표 단식' 논란 | 중앙일보
- 롤스로이스男 '또래 모임' 조폭? 집에서 의문의 1억 돈다발 | 중앙일보
- "마약 안 걸리려면 우리한테 와라"…하얀 가운, 수상한 그들 [마약상 된 의사들①] | 중앙일보
- 악몽 된 축제…美사막 한복판 7만명 고립·1명 사망, 무슨일 | 중앙일보
- 인생 첫 캐릭터가 '못생긴 여자'…1000:1 뚫은 '마스크걸' 그녀 | 중앙일보
- 경기 용인서 고교 교사 숨진 채 발견…"학부모 민원 스트레스" | 중앙일보
- "구금되면 어떡해"…관광객 발길 끊긴 中 "외국인 보면 신기" | 중앙일보
- "너무 똑같잖아" 삼성·LG 나란히…닮은꼴 가전 띄우며 신경전 [IFA 2023]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