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컷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나올까… 국내 연구팀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사량과 상관 없이 체중 감량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팀은 뇌 속의 별모양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에서 지방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이어 연구팀은 가브라5 활성을 조절하는 게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팀은 뇌 속의 별모양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에서 지방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직접 개발한 신약인 ‘KDS2010′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이 가능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체중 감량을 위해 굶으면 지방조직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 분비량이 줄어든다. 이러면 측시상하부는 렙틴에 의해 억제받던, 식욕을 높이는 물질인 ’뉴로펩타이드 Y‘의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식욕이 증가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지방대사 조절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먼저 측시상하부에서 억제성 신경물질인 ‘가바(GABA)’ 수용체를 발현하는 신경세포 군집 ‘가브라(GABRA)5’를 발견했다. 비만 쥐를 대상으로 가브라5 신경세포 활성을 억제하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이 줄어들면서 지방이 축적되고 체중이 증가했다. 반대로 가브라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감소했다. 이는 곧 가브라5 신경세포가 ‘체중 조절 스위치’라는 뜻이다.
이어 연구팀은 가브라5 활성을 조절하는 게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성상교세포 수가 많아지면 마오비(MAO-B)라는 효소가 나와 지속성 가바가 많이 생성돼 가브라5 가 억제됐다. 반대로 마오비 효소를 억제하면 가브라5 가 활성화되고, 지방 조직 열 발생이 증가하면서 많이 먹어도 오히려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성상교세포는 별 모양을 띠고 있어 별세포라고도 부른다. 평소에는 뇌 신경세포에 영양분 등을 운반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뇌질환이 발생하면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고 기능도 변화한다.
연구팀은 “그동안 연구는 비만의 원인을 지방세포를 포함한 주변 조직에서 찾았으나 이번 연구는 비만의 원인이 뇌에 있음을 명쾌하게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또 KDS2010에 대해 내년부터 임상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DS2010은 마오비 효소를 억제하는 약이다.
연구를 이끈 이창준 단장은 “비만은 세계보건기구(WHO)가 21세기 신종 감염병으로 분류할 만큼 현대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KDS2010으로 식욕 억제 없이 효과적인 비만 치료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메타볼리즘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미랑] 소아암 환자, 발레 공연 ‘호두까지 인형’으로 초대합니다 外
- [밀당365] 만두 포기할 수 없을 때 ‘두부밥 만두’ 어때요?
- 정수리 탈모 막으려고 ‘맥주 효모’ 먹는데… 머리 왜 안 자랄까
- 먹으면 바로 화장실 직행… ‘이 음식’ 특히 주의해야
- “파릇파릇 샐러드에 들어가는 ‘이것’”… 美 질병통제예방센터 뽑은 가장 건강한 채소, 효능
- “항상 배고파” 6개월 만에 ‘10kg’ 증가하는 희귀질환… ‘로하드 증후군’ 뭐길래?
- 무엇을 먹는지 살펴보면 '우울증'을 알 수 있다
- 자는 시간 들쑥날쑥한 아이, '이런' 문제 행동 보인다
- “불과 25세에 대장암 말기”… 英 20대 여성, ‘3가지 신호’로 알았다
- 45세 사유리, 탄탄한 ‘애플힙’ 만드는 중… 어떤 운동하나 봤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