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 쏜 헬륨 풍선, 33㎞ 올라가…거제·대마도 ‘찰칵’

권남영 2023. 9. 1. 04: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지역 한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학생들이 카메라가 부착된 풍선을 우주로 날려 지구를 촬영하고 잔해물 회수하는 것까지 성공했다.

지난달 31일 김해 분성고에 따르면 과학동아리 '에어 크래프트' 학생 11명(1·2학년 각 5명, 3학년 1명)은 지난 5일 경남 양산시 상북면 한 공터에서 헬륨가스가 담긴 1200g 크기의 풍선을 날려 보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남 김해 분성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에어 크래프트 학생이 지난 5일 성층권으로 쏘아 올린 풍선에서 촬영된 경남 거제시(오른쪽)와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쓰시마섬). 김해분성고 제공


경남지역 한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학생들이 카메라가 부착된 풍선을 우주로 날려 지구를 촬영하고 잔해물 회수하는 것까지 성공했다.

지난달 31일 김해 분성고에 따르면 과학동아리 ‘에어 크래프트’ 학생 11명(1·2학년 각 5명, 3학년 1명)은 지난 5일 경남 양산시 상북면 한 공터에서 헬륨가스가 담긴 1200g 크기의 풍선을 날려 보냈다.

풍선 아래에는 카메라와 대기압, 오존, 자외선을 확인하는 각종 센서와 GPS(위치 확인 시스템)가 스티로폼 박스에 부착된 상태였다.

이들이 날린 풍선은 바람을 타고 흔들거리면서 하늘로 상승했다. 한병현 지도교사는 “가스 압력과 풍선 상승 속도를 고려하면 성층권인 고도 33㎞까지 풍선이 도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풍선은 1시간40분가량 비행하다가 압력에 의해 터졌다. 이들이 날린 풍선 속 카메라에는 거제시와 남해군 그리고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쓰시마 섬)가 뚜렷하게 찍혔다.

풍선이 비행을 마치고 하강하는 모습. 김해분성고 사이버 과학관 유튜브 캡처


한 교사는 “비행 당시 태풍 ‘카눈’이 한반도 서쪽 아래에서 공기를 빨아들였고, 평소와 달리 바람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어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헬륨가스 양과 대기와의 관계, 상승·하강 속도 등 계산과 GPS 덕분에 착륙 위치도 예측할 수 있었다”며 “비행 성공에 이어 카메라 등 터진 풍선 잔해물 찾는 것은 난도가 높은 프로젝트”라고 부연했다.

잔해물은 출발지에서 약 100㎞ 떨어진 경남 의령군 의령읍 무전리에서 발견됐다. 이들은 지난해에도 풍선 날리는 것은 성공했으나 영하 50도의 성층권 기온을 버티지 못해 잔해물을 찾지 못했다.

해당 영상은 분성고 사이버 과학관 유튜브에 ‘우주로 보낸 카메라가 찍은 아름다운 영상 Full Version(풀 버전)’이라는 제목으로 게시돼 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