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을사늑약 무효 1905년 12월 천명했다”

김동규 2023. 9. 1. 03: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는 을사늑약에 승인하지 않았으니 조약은 무효다."

김동진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장은 "2009년 해당 사실을 발굴하고 발표했으나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았다"면서 "지금까지 우리가 외국인 독립운동가에 대해 무관심하지 않았는가"라고 반문했다.

헐버트 선교사는 1863년 미 버몬트주에서 태어나 영어 교사를 파견해 달라는 조선의 요청에 응해 1886년 한국 땅을 처음 밟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종전 알려진 시점보다 한달 빨라”
‘헐버트기념사업회’ 74주기 맞아
고종이 보낸 전보 등 담긴 화보집
‘눈으로 보는 헐버트의… ’ 첫 공개
김동진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장이 31일 서울 마포구 100주년선교기념관에서 열린 ‘헐버트 선교사 74주기 추모대회’에서 고종이 헐버트 선교사에게 보낸 전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신석현 포토그래퍼


“나는 을사늑약에 승인하지 않았으니 조약은 무효다.”

1905년 12월. 고종 황제가 을사늑약이 체결된 직후 미국 워싱턴에 있는 호머 베잘렐 헐버트(Homer B Hulbert·1863~1949) 선교사에게 보낸 전보 내용이다. 고종이 을사늑약을 최초로 부인한 1906년 1월보다 한 달 정도 빠른 시점이다.

헐버트 선교사의 모습과 고종이 헐버트 선교사에게 보낸 전보.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제공


이 같은 내용은 헐버트 선교사가 해당 내용의 전보를 미 국무부에 전달하고 뉴욕타임스를 통해 국제사회에 폭로한 사실이 담긴 화보집 ‘눈으로 보는 헐버트의 50년 한국 독립운동’을 통해 31일 정식 공개됐다.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회장 김동진)가 서울 마포구 100주년선교기념관에서 주최한 ‘헐버트 선교사 74주기 추모대회’에서다.

김동진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장은 “2009년 해당 사실을 발굴하고 발표했으나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았다”면서 “지금까지 우리가 외국인 독립운동가에 대해 무관심하지 않았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국민께서 이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감사하는 문화인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해당 전보와 기사들을 번역해 화보집을 만들어 추모대회를 통해 최초 공개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뉴욕타임스에서 보도한 1905년 12월13일(왼쪽)·14일자 기사.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제공


헐버트 선교사는 1863년 미 버몬트주에서 태어나 영어 교사를 파견해 달라는 조선의 요청에 응해 1886년 한국 땅을 처음 밟았다. 그는 1889년 한글의 과학성과 우수성을 해외에 알렸으며 최초 한글 교과서 ‘사민필지(士民必知)’를 펴내는 등 교육자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또 고종을 도와 대한제국 국권 수호에 동참했으며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기도 했다.

헐버트 선교사는 86세로 눈을 감을 때까지 한국을 위해 살았다. ‘웨스트민스터 성당보다도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고 적힌 그의 묘비 문구에도 한국을 향한 애정이 고스란히 묻어난다. 대한민국 정부는 헐버트 선교사의 공로를 인정하고 1950년과 2014년 각각 건국훈장 독립장과 금관문화훈장을 수여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열린 추모대회에는 김경래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재단 부이사장, 나치만 서울지방보훈청장, 로버트 포스트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공사 참사관, 이광섭 전농감리교회 목사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나치만 서울지방보훈청장은 추모사를 통해 “헐버트 선교사는 일제의 박해로 미국으로 귀환한 후에도 미국 전역을 다니며 한국 독립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등 한국을 위해 평생을 바치셨다”며 “헐버트 선교사가 보여준 국경을 초월한 사랑은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이룩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전했다.

김동규 기자 kkyu@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