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마리 열자 깜짝, 조선인 학살 생생히 담겼다…日교사의 참회 [간토대지진 학살 100년]

김현예 2023. 8. 31. 16: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30일 귀에 익은 K팝이 울려퍼지는 일본 도쿄(東京) 신오쿠보(新大久保) 상점가 거리. 고려박물관이라는 표지를 따라 건물 7층으로 올라가니 문 앞에 '간토(関東)대지진 100년 전시회' 포스터가 붙어있다. 박물관에 들어가니 관람객 열댓명이 대지진 당시 빚어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전시물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날 관람객들의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건 총 2권으로 이뤄진 두루마리 그림. 간토대지진 당시의 참상을 증언과 당시 기록물을 기반으로 그려진 것으로 이번 전시회에서 일반에 첫 공개됐다. 폭 36㎝의 종이에 2권으로 나눠 그려진 그림은 길이가 32m에 달하는 대작이다.

일본 도쿄 신오쿠보에 있는 고려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간토대지진 100주년 전시회. 오는 12월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간토대지진 당시 벌어진 조선인 학살 사건이 32m에 달하는 두루말이 그림으로 생생하게 기록된 그림이 전시돼 이목을 끌고 있다. 김현예 도쿄 특파원

초등학교 교사의 100년 전 기록


그림을 발견한 이는 고려박물관 전 관장인 아라이 가쓰히로(新井勝紘) 전 센슈대 역사학 교수다. 지난 2021년 2월 25일, 야후 옥션을 들여다보다 간토대지진 그림이 경매에 부쳐진 걸 확인하고, 경합 끝에 낙찰받았다. 낙찰금액은 9만7000엔. 우리돈 약 90만원이다.

특별한 기대 없이 낙찰 받은 그림을 펼쳐본 아라이 전 관장은 깜짝 놀랐다. 1권 말미 조선인 학살 장면이 생생히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예상치 못한 장면과 조우한 그는 화가를 수소문했다. 조선인 학살을 담은 그림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선 어떻게, 그리고 또 왜, 이 그림이 그려졌는지 확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림이 그려진 연대는 간토대지진(1923년 9월1일)으로부터 3년 뒤인 1926년. 그림엔 ‘기코쿠(淇谷)’란 이름이 남아있었다. 작가를 찾기 위해 수소문하던 박물관 사람들에게 지난해 희소식이 찾아왔다. 일본 국회도서관 검색 중 기코쿠란 필명의 화가를 찾은 것이다.

기코쿠는 1862년 후쿠시마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교사로 일했던 오하라 야이치이(大原弥市)였다. 퇴직을 앞둔 무렵, 그는 간토대지진 참상을 조사하고 자료를 모아 그림을 그렸다. 그의 나이 63세의 일이었다.

40여년 동안 교단에서 평생 학생들을 가르쳐온 그는 퇴직 후 2년이란 시간을 간토대지진의 참상을 기록하는 데 쏟아부었다. 오하라는 서문에 ‘이러한 참화를 조우해,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줘 이로써 반성의 마음을 촉구하기 위한 것’이란 설명을 남겼다.

간토대지진 당시 벌어진 조선인 학살을 초등학교 교사였던 오하라가 2년에 걸쳐 그림으로 재현한 모습. 김현예 도쿄 특파원


두루말이에 남긴 조선인 학살


오하라의 두루말이 그림은 시간의 흐름대로 이어진다. 1권은 도쿄의 풍경을 담았는데 첫 장면은 대지진이 일어나기 전 평화로운 일상이다. 이후 규모 7.9의 대지진에 놀라 집밖으로 뛰쳐나오는 사람들, 화재가 발생해 피난을 시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순차로 담겼다.

조선인 학살 장면은 1권 말미에 등장한다. 손에 곤봉·죽창을 든 자경단이 필사적으로 도망치는 조선인들을 뒤쫓는다. 학생 모자를 쓴 청년도 도망치다 칼에 찔렸는지 어깨부터 팔까지 선혈이 낭자하다. 무장한 군인과 자경단에 쫓기는 조선인들 뒤엔 산처럼 쌓여있는 주검들이 그려져있다.

고려박물관의 토다 미쓰코(戸田光子) 이사는 기자에 “일본 정부는 간토 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정하려 들지않고 있지만 많은 정부의 공식 문서와 기록을 통해 학살이 존재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기록된 공적 문서에서 '학살'이란 단어가 등장하는데도 일본 정부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했다.

그는 “최근 일본 교과서에서도 학살이란 단어가 사라지고 있다”면서 “일본이 한국에 한 일은 한국의 역사만이 아니라 일본의 역사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負)의 역사를 직면해 실제 일어났던 일을 아는 것부터가 새로운 한일관계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며 “일본 정부의 반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쿄=김현예 특파원 hyki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