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악화' 저축은행…대출문턱 더 높아진다
연체율도 5%대로 3분기 연속 상승
"연체율 관리 위해 대출축소 불가피"
[한국경제TV 장슬기 기자]
<앵커> 경제부 장슬기 기자 나와있습니다. 오늘의 이슈는 무엇입니까?
<기자> 올 들어 제2금융권에 대한 건전성 우려가 굉장히 컸는데요. 오늘 드디어 저축은행업권의 2분기 실적이 발표됐습니다.
<앵커> 저축은행은 올 초부터 부실 우려가 워낙 높았던 터라 많은 사람들이 2분기 성적표 궁금해 했을 것 같은데요. 뚜껑 열어보니 어떻습니까?
<기자> 아쉽게도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진 못했습니다. 지난 1분기에 저축은행업권이 9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었죠. 이번 2분기에도 434억 원의 적자를 내면서 올 상반기 누적 적자는 962억 원, 1천 원에 육박합니다. 적자폭이 1분기 대비로 줄긴 했지만 흑자 전환까지는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올해 들어서 계속 적자가 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금리 인상이 가장 큰 영향을 줬습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의 경우 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시중은행들까지 예금금리를 대폭 인상한 바 있습니다.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은행보다 금리 경쟁력이 있어야 수신 확보, 즉 고객들을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에 예금금리를 잇따라 높였습니다. 당시 연 6%대 예금 상품까지 등장했었는데요.
예대금리차가 축소되다보니 금융사 입장에선 이자이익이 감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올 상반기 저축은행업계의 이자이익은 5,221억 원이나 줄었습니다. 여기에 금리 인상으로 대출자들의 건전성이 악화되다보니 대손충당금을 더 쌓을 수밖에 없겠죠. 대손비용도 이 기간 6,292억 원 증가합니다. 사실상 돈을 벌 수 있는 요인들이 사라진 상황입니다.
<앵커> 저축은행의 건전성도 악화되고 있는데, 문제 없습니까?
<기자> 올 6월말 기준으로 총여신 연체율은 5.33%입니다. 지난해 말보다 무려 1.92%p나 상승한 수치입니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5.76%로 같은 기간 2.93%p나 늘었고 가계대출 연체율은 5.12%로 0.38%p 상승했습니다. 시중은행과 비교했을 때도 연체율이 결코 낮은 수준은 아니죠.
<앵커> 올 초부터 '저축은행 망하는 것 아니냐' 이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는데, 연체율이 계속해서 오른다는 건 위험신호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오르고는 있지만, 아직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하다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들이 위험에 대비해 실제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기도 했고, 저축은행들이 보유한 연체채권도 지속적으로 매각하면서 올 1분기보다는 2분기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다는 설명입니다. 다만 아직까지 연체율이 지속 오르고 있는 것은 맞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 강화는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앵커> 이런 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의 리스크 관리는 어떻게 이뤄집니까?
<기자> 가장 쉬운 방법은, 돈을 못 갚을 우려가 있는 곳에 돈을 빌려주지 않으면 됩니다. 말 그대로 대출문턱을 높인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저축은행들은 연체율 관리를 위해 신용점수가 너무 낮은 사람들보다는 우량등급, 신용점수가 높은 고신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대출을 확대해왔습니다.
이렇게 문턱을 높이다보니 올해 신용점수 600점 이하 차주에게 돈을 빌려준 저축은행은 전체 79개 중 15곳에 불과했습니다. 돈 빌리기가 어려워지자 대출수요가 카드론으로 몰려가는 현상까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앵커> 하반기 전망은 어떻습니까?
<기자> 적자폭이나 연체율 상승폭이 2분기에 둔화됐다고는 하지만 하반기 역시 극적인 개선효과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지난해 하반기 고금리로 유치한 예금들 만기가 1년짜리의 경우 올 하반기 다시 도래하기 때문에, 재유치를 어떻게 할 것이냐가 관건으로 남아있습니다. 결국 또 금리를 올리는 수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되면 유동성 확보를 위한 비용 부담이 또 다시 커지는 셈입니다.
다만 건전성 부분의 경우는 저축은행들이 지금처럼 대출을 보수적으로 운용하고, 하반기부터 부실채권 매각을 본격화할 경우 우려할 만한 수준까진 가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경제부 장슬기 기자였습니다.
장슬기 기자 jsk9831@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