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담나티오 메모리아이
토론토 중심지에 자리잡고 있는 라이어슨 대학이 지난해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는 캐나다의 공립학교 시스템 창립자인 에거튼 라이어슨이 수많은 원주민 어린이들을 학대하고 사악한 방치로 죽음에 이르게 했던 ‘기숙학교’의 설립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이어 토론토 시내 동서를 잇는 23㎞ 길이의 주요 도로 던다스 스트리트도 이름 변경이 결정됐다. 18세기 스코틀랜드 정치인 헨리 던다스가 노예폐지를 지연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이유에서다.
역사적인 인물들을 오늘날의 반인종차별 관점으로 재검토하는 일은 ‘취소 문화(Cancel Culture)’의 한 형태다. 개명뿐 아니라 기념물이나 동상 허물기 등의 다양한 양상을 띠는 이 현상은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1996년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한 일도 이와 상통하지만, 가장 흥미로운 선례는 고대 로마 시대의 ‘담나티오 메모리아이(Damnatio Memoriae)’, 즉 기록말살 형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죄인에 대한 기억을 모조리 지우는 이 망각의 형벌은 명예를 중요시하는 로마인들에게는 특히 극심한 벌이었고, 칼리귤라·네로·도미티아누스·코모두스 등 특별히 악독한 황제들에게 사후 적용되었다. 황제의 얼굴 조각을 다음 황제의 모습으로 재조각하는 관습은 자원을 재활용하는 로마인들의 실용성도 나타내지만, 전 황제를 지웠다는 의도적인 메시지를 확실하게 보내기 위해서였다.
로마의 콜로세움도 담나티오 메모리아이의 산물이다. 원래 자리 잡았던 네로 황제의 200㏊ 크기 쾌락궁전을 허물고 그 자리에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경기장을 지은 것이다. 네로의 금빛 거상(Colossus)은 태양신(Sol)으로 변경되어 철거를 모면했다. 한국은 요즘 이와는 반대의 맥락에서 ‘다시 세우기’가 유행인 모양이다. 끊임없는 역사의 전변(轉變)은 기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기가 무슨 동창회입니까” 재판장도 웃게 한 尹의 호통 ⑯ | 중앙일보
- 가을태풍 3개 한꺼번에…"9호는 中, 10호는 日 향해" 韓영향은 | 중앙일보
- "소주 2병요? 1병만 드세요"…암 환자에도 금주 안 권하는 명의 | 중앙일보
- '추석 6일연휴' 찬성하는 재계…인건비만 4.3조 더 드는데, 왜 | 중앙일보
- 끝내 이루지 못한 챔피언 꿈...'좀비' 옥타곤 떠나다 | 중앙일보
- 정율성·홍범도 논란 이렇게 풀라…이종찬이 수긍한 '尹의 힌트' | 중앙일보
- 15명 죽인 사형수 석방될 뻔…한동훈이 띄운 '가석방 없는 무기형' | 중앙일보
- "장기 매매도 OK"…돈 찍다 폭망한 아르헨, '전기톱맨' 떴다 | 중앙일보
- 지하철 뒤흔든 엄마의 비명…승객들 온몸으로 4살 아이 구했다 | 중앙일보
- 신도시·교통망 늘렸다고? '출퇴근 지옥'만 넓힌 30년 정책 역설 [출퇴근지옥⑦] | 중앙일보